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서울시 50+세대 만 50~64세의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심층보고서를 발표했다.
재단은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 한 50+세대를 위한 일·활동 지원 정책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정책 대상자의 특성을 명확히 규명할 필요성을 느끼고 실태 조사를 진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먼저 2019년에 ‘서울시 50+세대 실태조사-직업 이력 및 경제활동’을 실시하고 여기서 나온 자료를 바탕으로 주된 일자리부터 퇴직 후 일자리까지 생애경력 경로를 유형화하기 위한 심층 분석이 진행됐다.
분석 결과, 서울시 50+세대의 생애경력 경로 유형은 중소기업 정규직 유지형 38.32%, 중소기업 재직 후 자영업 이동형 14.79%, 대기업 재직 후 자영업 이동형 20.79%, 자영업 유지형 10.00%, 직업혼재형 16.73% 등 크게 다섯 집단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소기업 정규직 유지형 38.32%은 대부분 중소기업 정규직 재직 연수가 길고, 이후 공공기관 또는 개인 사업체로 경력을 변경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은 약 30세에 주된 일자리를 시작해 약 48세에 퇴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6:4로 분포돼있다.
두 번째로 비중이 높은 유형은 대기업 재직 후 자영업 이동형 20.79%으로 유형 가운데 대기업 정규직 재직 분포가 가장 많으며, 이후 개인사업체의 자영업으로 경력을 변경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은 약 30세에 주된 일자리를 시작해 약 47세에 퇴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보다 남성이 많고, 집단 가운데 대졸 이상 54.29%이 가장 많은 편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재직 후 자영업 이동형 14.79%의 경우 약 28세의 이른 나이에 주된 일자리를 시작해, 약 40세에 주된 일자리를 퇴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보다 여성이 많은 편이며, 약 8년의 전환기를 두고 다시 노동시장에 진입해 자영업, 프리랜서로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 유지형 10.00%의 경우 주된 일자리부터 개인사업체/자영업 형태로 일생의 경력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혼재형 16.73%의 경우 중소기업, 개인사업체, 정규직 및 자영업의 고용형태가 균형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비중이 95.27%로 압도적이고, 대졸 이상의 비중이 5.92%로 가장 적은 편이다. 이별이나 사별, 미혼의 분포도 다른 유형에 비해 비중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생애경력 유형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서울시 50+세대가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 후 인생재설계를 위해 노력하는 진로준비행동을 유형화하는 심층 분석도 실시했다. 그 결과 생계형 24.69%, 창직추구형 64.27%, 활동추구형 11.04% 등 크게 세 집단으로 나타났다.
진로준비행동은 구직을 희망하는 50+세대가 구직에 있어 진로와 관련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행위를 의미한다.
50+세대의 진로준비 유형별 그룹 중 가장 규모가 큰 창직추구형은 적극적인 구직 행동을 하는 비율이 가장 높고 창업·창직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장기 근속한 도시의 사무직 직종으로 남성의 비중이 특히 높으며 다양한 사회관계망을 통해 구직준비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단은 50+세대 실태조사 및 심층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향후 서울시 50+정책 수립과 사업 추진에 반영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심층 분석결과 서울시 50+세대 중 창직추구형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이들의 창업․창직의 욕구가 높다는 점이 향후 일자리 지원 사업 설계 시 고려해야 할 부분으로 나타났다.
재단은 올 하반기 50+세대 맞춤형 창업·창직 특화 캠퍼스로 강남구에 동남캠퍼스를 개관할 예정이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 김영대 대표이사는 “50+세대에 꼭 필요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책 대상자인 50+세대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서울시 50+정책 및 사업 수립 과정에서 50+세대 실태 조사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 보다 체감도 높은 정책 수행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