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삼성서울병원)

정부가 암 질환 관리를 위해 오는 2025년까지 암환자 300만명의 정보를 모은 ‘국가암데이터’를 구축한다.

암 예방을 위해 위 속 헬리코박터균에 건강보험을 확대 적용하고 대장내시경 검사를 국가암검진의 1차 검진으로 도입하는 조치도 시행된다.

보건복지부는 31일 국가암관리위원회를 개최해 향후 5년 간의 암 관리 정책을 담은 제 4차 암관리종합계획을 의결했다. 이에 2025년까지 암 환자 300만명에 대한 임상정보가 담긴 국가암데이터를 구축한다.

암 데이터가 구축되면 전체 암환자의 70%에 달하는 정보를 포괄한다. 여러 공공기관이 보유한 암 관련 데이터를 공공데이터로 재생산하고 암환자의 유전체, 단백체 정보와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도 수집해 자료화한다.

암 데이터는 개인정보 보호 등 안전성을 갖춘 뒤 민간에도 개방한다. 정부는 대규모 암 데이터가 민간의 항암제 개발 등을 촉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암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익적 암 연구도 강화한다. 신종담배 등 새로 나타나는 암 발생 위험요인을 평가하고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등 첨단기술도 암 관리에 접목한다.

이번 종합계획의 목표는 국가암데이터 구축, 암 신규 환자 20% 이상 감소, 돌봄지원 받는 암 생존자 확대다.

복지부는 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 등 4가지 암은 국가가 보건 정책으로 개입해 암 위험요인을 조기에 제거하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75세 미만의 4가지 암 발생률을 20% 이상 줄인다는 목표를 세운 것.

위암에 대해서는 위험인자인 헬리코박터균의 검사, 제균치료에 건강보험 적용을 확대한다. 대장암에 대해서는 대장내시경 검사를 국가암검진의 1차 검진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