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7일 스마트폰 앱 사용이 어려운 고령층과 디지털 약자를 위해 전화 한 통으로 택시를 부를 수 있는 ‘동행 온다콜택시’ 서비스를 시작하며, 교통약자 맞춤형 교통지원에 나섰다.

서울시는 7월 7일 오후 2시부터 어르신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동행 온다콜택시` 시범 운영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7월 7일 오후 2시부터 어르신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동행 온다콜택시’ 시범 운영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온다콜택시’는 스마트폰 앱 없이도 전화를 통해 택시를 간편히 호출할 수 있는 서비스로, 09시부터 22시까지 콜센터(1855-0120)를 통해 운영된다.

이 서비스는 스마트폰 앱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60대 이상 고령층을 위한 것으로, 서울시에 따르면 60대 이상은 80%가 앱보다는 거리에서 택시를 잡는 ‘배회영업’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40대의 60% 이상은 모바일 앱을 통한 호출을 선호하고 있다.

이용 절차는 간단하다. 콜센터로 전화해 출발지와 목적지를 말하면, 직원이 ㈜티머니모빌리티의 ‘온다택시’ 시스템을 통해 인근 택시를 배차하고, 배차가 확정되면 차량 번호와 위치, 기사 연락처 등이 문자 또는 카카오톡 알림톡으로 발송된다. 이를 통해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시민들도 손쉽게 택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번 서비스는 ㈜티머니모빌리티가 콜택시 시스템 구축과 운영 비용을 전액 부담하고, 운행 1건당 1,000~2,000원의 인센티브를 택시 사업자에게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서울지역 택시 7만1천여 대 중 약 3만6천 대가 티머니 플랫폼에 가입돼 있어 원활한 배차도 기대된다. 개인 및 법인택시조합은 이 사업을 현장에 널리 알리고 택시기사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역할을 맡는다.

서울시는 시범 운영 후 서비스 운영 시간의 24시간 확대 가능성도 검토 중이다. 운영 초기인 만큼 시민의 반응과 수요를 바탕으로 제도 보완과 확대 방안이 모색될 예정이다. 서비스 이용법은 티머니모빌리티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앱 호출 중심의 택시 시장에서 디지털 소외계층의 불편이 커지는 상황을 개선하고자 콜택시 서비스를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사회적 약자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한 교통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