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기간
  • 언론사
    언론사 전체보기
  • 기자명

    기자명

    기자 내 포함 단어

  • 옵션유지
  • 상세검색
    장아찌

    기본검색의 결과 범위를 줄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여러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쉼표(,)로 구분해서 입력하세요.

    도움말 초기화

뉴스

121-130 132

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배영래
    나주 문화 들춰보기: 즙장과 집장의 뜻
    전남인터넷신문 2021-12-09
    [전남인터넷신문]된장은 ‘반죽이나 밥 따위가 물기가 적어 빡빡하다’라는 데서 유래된 ‘된’과 장의 장(醬)으로 내용물이 빡빡한 상태의 장을 가리킨다. 반면에 즙장(汁醬)은 간장, 된장, 고추장 등과 같은 기본장과는 달리 일부 지역에서 단기간에 별미로 담가 먹었던 장으로 액체가 많은 장(사진)으로 된장에 대한 상대적인 말이라 할 수 있다. 즙장은 장기간 발효시켜 만든 된장과 달리 담가서 단기간에 발효시켜 먹는 속성장이다. 독특한 풍미가 있고, 지방마다 원료의 종류, 발효 및 숙성 조건 등이 달라 그 형태 및 품질이 매우 다양하다. 집 ...
  • 김승룡
    광양시 초피나무 잎과 산초 된장국
    전남인터넷신문 2023-08-11
    [전남인터넷신문]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는 전남 동부지역에서 제피, 젬피 등으로 불리며, 향신료로 이용되는 문화가 있다. 봄에는 초피나무의 부드러운 순을 잘라서 장아찌를 담거나 풋김치에 넣어서 이용하고, 열매는 매운탕, 추어탕 등을 끓일 때 많이 사용하는 문화가 있다. 초피나무 잎이나 열매를 이용하는 문화는 대만 원주민, 중국 사천성, 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 이용하는 문화가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산초(山椒)로 불리며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일본에서 초피나무는 새싹, 꽃, 열매, 나무껍질을 식용에 이용하는 ...
  • 김동국
    전남 오일장에서 사라진 곤달비
    전남인터넷신문 2022-05-31
    [전남인터넷신문]지난 4월부터 5월 하순까지 전남지역 오일장에 출하된 산채류를 조사했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전남지역 5일장에 출하된 산채류를 조사한 이후 15-17년만에 조사했는데, 시장에서 찾아볼 수 없는 것들이 많이 늘었다. 대표적인 것이 곤달비였다. 곤달비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전국각지에 분포한다. 꽃과 잎은 곰취를 닮았으나 잎이 곰취보다 조금 작다. 주로 데쳐서 무치거나 묵나물로 이용되며, 쌈 및 장아찌로도 이용된다. 곤달비는 과거 광양의 봉강면, 옥룡면 등지에서 고로쇠수액을 먹으러 온 도시 사람들에게 반찬으로 ...
  • 김소민
    전통식품 품질인증품. 상시관리 체계 구축!
    뉴스포인트 2021-03-18
    [뉴스포인트 김소민 기자]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 신뢰 제고 및 전통식품 산업 활성화를 위해 인증품 관리를 강화한다.전통식품은 국산 농산물을 주원료로 하여 예로부터 전승되어 오는 원리에 따라 제조·가공·조리되어 우리 고유의 맛·향·색을 내는 식품으로서, 국산 농산물의 부가가치 창출 및 농촌경제 활성화와 농가소득 증대를 위해서도 활성화가 필요하다.전통식품 인증품은「식품산업진흥법」에 근거하여 농식품부에서 장류, 김치류, 떡류 등 전통식품 84개 품목을 지정·고시하고 있으며, 2월말 기준 442개 업체 736개 품목 ...
  • 김승룡
    줄기 상추, 궁채 아닌 공채
    전남인터넷신문 2024-02-27
    [전남인터넷신문]요즘 황록색의 아삭아삭한 맛의 줄기채소를 무침이나 장아찌로 내놓는 식당들이 늘어나고 있다. 맛이 좋아 식당 주인에게 무슨 채소인지 질문해보면 각양각색이다. 대답 중에서 많은 것이 연줄기, 연잎 줄기, 상추 꽃대, 궁채라는 것이 많다. 블로그 등에도 소개가 많이 되어 있는데, 궁채, 연줄기나물이라는 이름으로 많이 소개되어 있는데, 원래의 이름은 궁채(宮菜)도, 연줄기 나물도 아니다. 궁채와 유사한 이름의 채소에는 황궁채(皇宮菜)가 있다. 이것은 황궁채, 낙의(落葵) 및 인디언 시금치로 불리며, 두 종류(Basella ...
  • 김동국
    전남의 떡 재료 식물, 개번호추는 어떤 식물일까?
    전남인터넷신문 2020-12-16
    [전남인터넷신문]전남의 전통 음식 중에는 잊혀져 가는 것들이 많다. 떡 하나만 놓고 보더라도 세대 간에 단절된 것들이 많다. 대표적인 것이 절굿대떡과 수리취떡이다. 절굿대와 수리취는 과거 전남에서 분추, 분대, 번추, 본초, 본추 등으로 불린 식물로 만든 고급 떡이었다. 잊혀져 가던 이들 떡과 떡 재료 식물을 찾아서 떡을 맛볼 수 있게 한 것이 5년 넘었다. 과거 전남에서 제비쑥떡, 서리쑥떡으로 불리면서 고급 떡으로 이용되었던 떡쑥떡도 찾아냈다. 나주에 전문점이 창업되어 떡쑥 재배와 떡을 생산하고 있다. 책이나 문헌에 소개된 ...
  • 강계주
    고흥군 청정식품단지 입주기업 ‘맞춤형 특화지원’ 큰 성과 거양
    전남인터넷신문 2023-12-01
    [전남인터넷신문/강계주] 고흥군(군수 공영민)이 고흥 청정식품단지 입주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맞춤형 특화지원 사업을 지원해 입주기업 활성화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된 것으로 밝혀졌다.고흥 청정식품단지는 동강면 장덕리 1118-3번지 일원에 폐수종말처리장과 함께 2011년 7월에 준공됐고, 식품생산 16개 업체에 236명이 고용돼 연간매출액 441억 원(수출 215억 원)과 관내 농수산물이 연간 9천여 톤이 소요되는 농공단지이다.맞춤형 특화지원사업은 농공단지 내 입주기업이 필요한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해당 프로그램 과제별로 전문기관인 ...
  • 김동국
    봄철 해남8미“보리밥으로 웰빙하고, 닭오리로 기살리자”
    전남인터넷신문 2022-05-09
    [전남인터넷신문/김동국 기자]본격적인 일상회복이 시작되면서 해남 관광에도 활기를 띠고 있다.해남군이 5월 5일 해남공룡박물관 일대에서 개최한 어린이날 행사에 1만여명이 몰린데 이어 주요 관광지마다 본격적인 관광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땅끝해남은 전국에서 가장 넓은 농경지와 땅끝의 청정한 바다에서 사시사철 풍성한 먹거리가 생산되는 지역이다. 육해공 풍성한 음식재료를 바탕으로 매년 먹거리축제인 해남미남(味南)축제가 열리기도 한다.해남의 대표적인 음식으로 해남군이 선정한 8미가 있다.과 , 떡갈비, 닭코스 요리, 삼치회, 생고기, 황칠오리 ...
  • 김원유
    목포대학교 글로벌셀링센터, 상품소싱 상담회 개최
    전남인터넷신문 2021-08-31
    [전남인터넷신문/김원유 기자]국립목포대학교 글로벌셀링센터(글로벌셀링RCC)에서는 8월 27일 화상 상품소싱 상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청년 글로벌 셀러 6명과 중화권 온.오프라인 통합수출 지원사업 참여 기업 12개사 등이 참가해 상품소싱 상담을 진행했다. 이번 상담회는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방역 지침을 준수하여 줌(Zoom) 플랫폼을 활용하여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참가기업은 자사 사무실에서, 청년 셀러는 목포대학교 코워킹스페이스 또는 개인 사무실에서 접속해 화상 상담 방식으로 참여하였다. 식품 판 ...
  • 김승룡
    광양시 초피와 일본 산초 절임 청어
    전남인터넷신문 2023-08-10
    [전남인터넷신문]국내 초피나무(제파, 젬피, 젠피)의 최대 재배지는 광양시이다. 과거 광양에서 밭뙈기라도 있는 가정에서는 밭 모서리에 초피나무 한두 그루 심어 놓고 잎이나 열매를 김치를 담글 때 넣거나 매운탕을 끓일 때 넣었다. 여름철에 밥맛이 없을 때는 초피나무 잎사귀로 장아찌를 담아 반찬으로 삼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이 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를 산초(山椒)라고 부르며,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일본 후쿠시마현(福島縣) 아이즈(会津) 지방의 향토 요리인 청어의 산초 절임에도 이 초피나무가 사용된다. 후쿠 ...
10 11 12 13 14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