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기간
  • 언론사
    언론사 전체보기
  • 기자명

    기자명

    기자 내 포함 단어

  • 옵션유지
  • 상세검색
    메모리

    기본검색의 결과 범위를 줄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여러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쉼표(,)로 구분해서 입력하세요.

    도움말 초기화

뉴스

141-150 570

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홍순화
    삼성전자, '8세대 V낸드' 양산... 세계 최고 용량 '1Tb TLC'
    더밸류뉴스 2022-11-07
    삼성전자(회장 이재용)가 세계 최고 용량의 '1Tb(테라비트) 8세대 V낸드' 양산에 들어갔다. 삼성전자는 '1Tb TLC(Triple Level Cell) 8세대 V낸드'가 업계 최고 수준의 비트 밀도(Bit Density: 단위 면적당 저장되는 비트(Bit)의 수)의 고용량제품으로, 웨이퍼당 비트 집적도가 이전 세대 보다 대폭 향상됐다고 7일 밝혔다. 8세대 V낸드는 최신 낸드플래시 인터페이스 'Toggle DDR 5.0'이 적용돼 최대 2.4Gbps의 데이터 입출력 속도를 지원한다. 7세대 V낸드 대비 약 1.2배 향상됐다. ...
  • 신현숙
    SK하이닉스, 국내 반도체 기업 최초 유럽 완성차 인증 획득
    더밸류뉴스 2023-06-20
    SK하이닉스(대표이사 박정호 곽노정)가 차량용 메모리 솔루션 품질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SK하이닉스는 한국 반도체 기업으로는 최초로 ‘오토모티브 스파이스(Automotive SPICE, 이하 ASPICE)’ 레벨2(CL2, Capability Level 2) 인증을 획득했다고 20일 밝혔다. ASPICE는 자동차용 부품 생산업체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신뢰도와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유럽 완성차 업계가 제정한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표준이다.최근 전기차 보급, 자율주행 시스템의 발전 등으로 자동차 산업에서 전장(차량 내부 전기· ...
  • 신현숙
    SK하이닉스, 또 세계 최초…12단 쌓아 올린 'D램' 개발
    더밸류뉴스 2023-04-20
    SK하이닉스(대표이사 박정호 곽노정)가 현존 최고 성능 D램인 ‘HBM3’의 기술적 한계를 다시 한번 넘어섰다.SK하이닉스는 세계 최초로 D램 단품 칩 12개를 수직 적층해 현존 최고 용량인 24GB(기가바이트)를 구현한 HBM3 신제품을 개발하고, 고객사로부터 제품의 성능 검증을 받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HBM(High Bandwidth Memory)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연결해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고부가가치, 고성능 제품이다. 기존 HBM3의 최대 용량은 D램 단품 칩 8개를 수직 적 ...
  • 박찬분
    성남시, 반도체 분야 민간전문가로 조성보 교수 위촉
    경기뉴스탑 2021-10-21
    성남시청(자료사진=경기뉴스탑DB) [경기뉴스탑(성남)=박찬분 기자] 성남시는 판교 지역을 중심으로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를 전략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반도체 분야를 전담하는 민간전문가를 영입했다. 은수미 성남시장은 10월 21일 오후 2시 시청 시장 집무실에서 조성보 가천대학교 전자공학과 교수에게 ‘반도체 분야 민간전문가 위촉장’을 줬다. 조성보 교수(46)는 고려대 석사와 독일 자를란트대 박사학위 취득 후 독일의 국립연구기관 프라운호퍼(Fraunhofer IBMT) 연구원, 지멘스사 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한국반도체학술대회 ...
  • 이승윤
    삼성전자, 업계 최초 LPCAMM 개발... PC·노트북 D램 시장 판도 바꾼다
    더밸류뉴스 2023-09-26
    삼성전자(대표이사 경계현 한종희)가 메모리 산업을 이끌어 갈 LPCAMM 솔루션 시장 확대 기회를 적극 타진한다.삼성전자는 26일 PC·노트북 D램 시장의 판도를 바꿀 LPDDR D램 기반 7.5Gbps LPCAMM을 업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LPCAMM은 LPDDR 패키지 기반 모듈 제품으로 기존 DDR 기반 So-DIMM 대비 성능·저전력·디자인 효율성 측면에서 기술 혁신을 이뤄내며 차세대 PC·노트북 시장에 새로운 폼팩터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기존 PC나 노트북에는 LPDDR 패키지 제품을 메인보드에 직접 탑 ...
  • 김형중
    이재용 부회장, 차세대 반도체 R&D단지 기공식 참석
    케이앤뉴스 KN NEWS 2022-08-21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9일 경기도 용인에 있는 삼성전자 기흥 캠퍼스에서 열린 차세대 반도체 R&D단지 기공식에 참석했다. ▲ (사진) 왼쪽부터 최시영 파운드리사업부장, 진교영 삼성종합기술원장, 경계현 DS부문장, 이재용 부회장, 정은승 DS부문 CTO, 이정배 메모리사업부장, 박용인 시스템LSI사업부장이 기공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삼성전자는 ‘세상에 없는 기술로 미래를 만든다’를 기공식 슬로건으로 내걸고, 기술 리더십을 바탕으로 혁신을 주도해 반도체 사업에서 또 한 번의 큰 도약을 이뤄내겠다고 선언했다. 이날 행사에는 ...
  • 김형중
    삼성전자, 171조원 투자해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케이앤뉴스 KN NEWS 2021-05-13
    삼성전자가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에 나선다.▲ 삼성전자가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에 나선다.삼성전자는 13일 경기 평택캠퍼스에서 열린 ‘K-반도체 벨트 전략 보고대회’에서 향후 2030년까지 시스템반도체 리더십 조기 확보를 위해 ‘시스템반도체 비전 2030’발표 당시 수립한 133조원의 투자계획에 38조원을 추가해 2030년까지 총 171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또 첨단 파운드리 공정 연구개발과 생산라인 건설에 더욱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이번 삼성전자의 시스템반도체 투자 확대는 최근 전례 없는 반도체 부족 사태와 ...
  • 김상중
    삼성전자, 업계 최초 LPCAMM 개발
    케이앤뉴스 KN NEWS 2023-09-26
    삼성전자가 PC·노트북 D램 시장의 판도를 바꿀 LPDDR D램 기반 7.5Gbps LPCAMM(Low Power Compression Attached Memory Module)을 업계 최초로 개발했다.▲ (사진) 삼성전자, 업계 최초 LPCAMM 개발LPCAMM은 LPDDR 패키지 기반 모듈 제품으로, 기존 DDR 기반 So-DIMM 대비 성능·저전력·디자인 효율성 측면에서 기술 혁신을 이뤄내며 차세대 PC·노트북 시장에 새로운 폼팩터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기존 PC나 노트북에는 LPDDR 패키지 제품을 메인보드에 직 ...
  • 신현숙
    [더밸류 리서치] 심텍, 이번주 HOT 리포트 1위…조회수 532건
    더밸류뉴스 2022-05-11
    최근 증권사에서 발표된 종목 중 심텍(222800)(대표이사 최시돈 김영구)에 대한 증권사 보고서가 조회수 1위를 기록했다. 11일 기업분석전문 버핏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최근 1주일(5월 5일~11일) 동안 발간된 보고서 가운데 박형우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이 지난 4일 심텍에 대해 분석한 보고서가 조회수 532건을 기록해 가장 높았다.심텍의 조회수가 1위를 기록한 가운데 원익IPS(240810)(385건), 원익QnC(074600)(373건), 엔에스(217820)(325건), KCC(002380)(321건) 등 순이다.심텍은 인쇄회 ...
  • 전수영
    삼성전자, 시스템반도체에 171조원 투자···반도체 시장서 주도권 강화
    뉴스케이프 2021-05-13
    삼성전자가 앞서 밝혔던 '시스템반도체 비전 2030' 달성을 위해 투자 폭을 확대한다.삼성전자는 13일 경기도 평택캠퍼스에서 열린 'K-반도체 벨트 전략 보고대회'을 열고 향후 2030년까지 시스템반도체 분야에 대한 추가 투자계획을 발표했다.삼성전자는 시스템반도체 리더십 조기 확보를 위해 2019년 4월 시스템반도체 2030 발표 당시 수립한 133조원의 투자계획에 38조원을 추가해 2030년까지 총 171억원을 투자하고 첨단 파운드리 공정 연구개발과 생산라인 건설에 박차를 가한다.비전 선포 후 2년간 삼성전자를 비롯한 반도체 제조 ...
13 14 15 16 17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