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기간
  • 언론사
    언론사 전체보기
  • 기자명

    기자명

    기자 내 포함 단어

  • 옵션유지
  • 상세검색
    나주

    기본검색의 결과 범위를 줄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여러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쉼표(,)로 구분해서 입력하세요.

    도움말 초기화

뉴스

161-170 3,668

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배영래
    나주천연염색재단, 나주밥상 공예 추진
    전남인터넷신문 2022-08-30
    [전남인터넷신문] (재)나주시천연염색문화재단(이사장 윤병태·이하 재단)은 재단이 운영하는 전남공예창작지원센터를 활용해 ‘나주 밥상 공예’ 제품 개발·보급에 나서 눈길을 끈다.  나주 밥상은 나주에서 생산되거나 애용되었던 식재료, 나주 조상들로부터 전해져온 조리법, 나주에서 특성화된 음식, 나주반 목공예품 등이 어우러져 만들어진 향토 음식과 밥상을 뜻한다.  나주 밥상을 브랜드로 육성하기 위한 조건으로는 향토음식에 대한 조사, 식재료 자료 수집, 스토리텔링, 표준 요리법의 개발과 보급, 나주만의 특성화된 조미 재료의 사용, 전문 인력 ...
  • 배영래
    나주 문화 들춰보기: 나주 집장과 부삭장의 쇠퇴 배경
    전남인터넷신문 2022-01-25
    [전남인터넷신문]나주 집장과 부삭장은 과거에는 필수품적인 음식이었으나 지금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쇠퇴했다. 그 배경은 몇가지 측면에서 생각해 보면 발효 장소, 재료 구입, 제조공정, 먹거리 환경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우선 발효 장소 측면에서는 “부삭장은 부엌개량 이후 만들어 먹지 않았어요.”(이0순. 2014년 5월 3일에 나주시 다시면 백동마을회관에서 인터뷰)라는 제보처럼 집장을 발효 및 숙성시킬 수 있는 풀짚이나 부엌이 없어졌기 때문에 집장과 부삭장이 없어졌다는 주장을 한 분들도 있었다. 실제로 풀두엄을 하지 않고 있으며, ...
  • 배영래
    나주 문화 들춰보기: 나주 집장과 부삭장 식문화 보급과 확대 의미
    전남인터넷신문 2022-01-28
    [전남인터넷신문]나주 집장과 부삭장은 현대 사회에서도 식문화의 다양성과 새로운 음식의 개발 자원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음식의 선택이라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으나 제조와 보급 및 소비가 없다면 보존과 전승이 힘들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조법부터 개량해야 한다. 집장과 부삭장은 재료와 만드는 사람에 따라 맛 차이가 매우 크다. 맛있게 만든 것들은 수시로 찾아서 먹을 만큼 맛이 있으나 맛이 없는 것은 다시는 먹지 않을 정도이다. 집장과 부삭장을 활용하여 식문화를 풍부하게 하려면 우선 맛이 있는 집장과 부삭장을 만들어 ...
  • 배영래
    나주 문화 들춰보기: 최부 통해 인연 맺은 나주와 중국 태주, 알고 보니 쪽염색 고장
    전남인터넷신문 2021-08-23
    [전남인터넷신문]최부(崔溥·1454~1504년)는 조선 시대의 문신이다. 1487년 ‘제주삼읍추쇄경차관’으로 제주에 갔으나 이듬해 부친상 소식을 듣고, 급거 고향 나주(羅州)로 향한다. 나주로 향하던 중 추자도 인근에서 풍랑으로 표류하기 시작해 중국 절강성(浙江省, 저장성) 영파부(寜波府) 하산(下山. 샤산, 현 대산)에 표착한다. 중국인들의 도움을 받아 다시 조선으로 항해하던 중 다시 표류하다가 중국 절강성 태주(台州, 타이저우)의 우두외양(牛頭外洋)에 표착한다. 왜구로 오인받아 심한 조사를 받는 등 고란의 행로 끝에 귀향해서 보 ...
  • 배영래
    나주 문화 들춰보기: 나주 영산포의 쪽 염색과 도시 색채 자원
    전남인터넷신문 2021-08-30
    [전남인터넷신문]인구 감소가 심화되면서 지자체들은 도시재생, 지역의 매력 제고, 활용 촉진 및 지역의 매력을 감각적으로 어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감각적인 관점에서 사람의 오감 중 시각은 60%(시각의 비중이 80-90%라는 주장도 있다), 청각은 20%, 촉각은 15%, 미각은 3%, 그리고 후각은 2% 정도로 받아들인다. 오감 중 시각이 높은 비중을 차지함에 따라 색채를 잘 사용한 도시는 방문객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고, 도시의 매력을 마음껏 발휘하면서 도시재생에 큰 도움이 된다. 오늘날 색채로 유명한 도시들은 대체적으로 지역 ...
  • 배영래
    나주 문화 들춰보기: 나주 쪽 염색 유래의 인디고 색 자원과 도쿄올림픽 엠블럼
    전남인터넷신문 2021-08-31
    [전남인터넷신문]지난 7월 23일부터 8월 8일까지 개최된 일본 도쿄 2020 하계 올림픽과 현재 진행 중인 제16회 도쿄 패럴림픽(2021.8.24.-9.5.)의 엠블럼은 청색이 주색이다. 엠블럼뿐만 무대, 자원봉사자 복장 등에 청색이 메인 색으로 사용되었다. 도쿄 2020 하계 올림픽 엠블럼에 청색이 사용된 것은 재팬블루와 관계가 있다. 재팬블루는 일본의 전통 천연염색 연구자인 요시오카 유키오(吉岡幸雄) 씨가 그의 저서 ‘일본의 색을 걷다’에서 소개한 것에 의해 널리 알려졌다. ‘일본의 색을 걷다’에서 재팬블루는 「1875년 일 ...
  • 배영래
    나주 문화 들춰보기: 나주 집장과 부삭장 제조시 메주와 채소의 사용법
    전남인터넷신문 2022-01-07
    [전남인터넷신문]과거 나주에서 집장을 만들 때 메주는 분쇄한 후 어레미 등으로 쳐서 가루만을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부삭장을 만들 때는 메주를 분쇄한 후 작은 덩어리 형태의 것을 사용하였다. 메주의 사용법은 집장의 경우 얼간한 고춧잎에 보리를 고와 죽처럼 만든 것, 소금물을 섞어 찰지게 한 다음 메줏가루와 양념을 넣고 비벼서 숙성시켰다. 부삭장을 만들 때는 메줏덩어리를 손으로 주무르면서 퍼지게 하고, 재료를 한데 버무렸다. 또 메주 덩어리를 쪼개어 김칫국물, 싱건지, 배추김치 등을 섞어서 항아리에 넣어 두었다가 메줏덩어리가 불어나면 ...
  • 김동국
    [기고] 나주 둘러보기: 항일 학생운동의 시발역, 구나주역과 나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
    전남인터넷신문 2020-12-28
    나주 1929년 10월 30일, 광주발 통학열차가 나주에 도착하였을 때였다. 통학생들이 나주역 집찰구로 걸어 나올 때 일본인 학생 몇 명이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박기옥 등 학생들의 댕기 머리를 잡아당기면서 희롱했다. 그때 같이 걸어 나오고 있던 박기옥의 사촌 남동생이 자신보다 고학년이었던 일본인 학생에게 주먹을 날려버렸다. 역전 파출소에서 출동한 일본 경찰은 일방적으로 일본인 학생만 편들며 박준채를 구타했다. 이에 광주고등보통학교 학생 10여 명이 박준채와 합세하여 한·일 학생간의 대결이 계속되었고, 11월 3일에는 1 ...
  • 서성열
    나주소방서, 남양유업 나주공장 화재 예방 강화 컨설팅 실시
    전남인터넷신문 2025-03-14
    [전남인터넷신문/서성열 기자]나주소방서(서장 신향식)는 13일 중점관리대상인 남양유업 나주공장을 방문해 화재 예방 컨설팅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컨설팅은 화재 발생 시 대형 피해가 우려되는 산업시설을 대상으로 사전 점검과 예방 조치를 강화하기 위해 진행됐다.이날 나주소방서는 공장 관계자들과 함께 공정라인 내 설치된 소방시설의 유지·관리 상태를 점검하고,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응 요령을 안내했다. 특히 공장 내 가연성 물질의 안전한 관리, 전기 설비 점검 및 화재 예방 수칙 준수 여부를 중점적으로 확인했으며, 비상구 확보 및 관 ...
  • 배영래
    나주 문화 들춰보기: 나주의 고령자분들이 제보한 집장류의 종류와 뜻
    전남인터넷신문 2021-12-20
    [전남인터넷신문]된장은 ‘반죽이나 밥 따위가 물기가 적어 빡빡하다’라는 데서 유래된 ‘된’과 장의 장(醬)으로 내용물이 빡빡한 상태의 장을 가리킨다. 집장은 즙장(汁醬)에서 유래된 말로 단기간에 별미로 담가 먹었던 장으로 액체가 많은 장을 가리키는데 다양한 종류와 명칭이 있다. 과거 나주에서도 집장류에는 여러 가지 종류와 명칭이 있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집장이라는 명칭 외에 부삭장, 묵덕장, 깻묵장이라는 명칭의 장이 있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부삭장에 관한 제보 내용을 보면 “집장은 여름에 담가 먹었고, 부삭장은 ...
15 16 17 18 19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