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기간
  • 언론사
    언론사 전체보기
  • 기자명

    기자명

    기자 내 포함 단어

  • 옵션유지
  • 상세검색
    컴퓨팅

    기본검색의 결과 범위를 줄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여러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쉼표(,)로 구분해서 입력하세요.

    도움말 초기화

뉴스

81-90 378

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김상중
    SK텔레콤-IDQ-엑스게이트, 양자암호통신 기반 VPN 선보인다
    케이앤뉴스 KN NEWS 2023-05-18
    SK텔레콤이 SK스퀘어 자회사 IDQ, 국내 최고 수준의 네트워크 보안장비 회사 엑스게이트와 양자암호통신 기반 가상사설망(이하 VPN, Virtual Private Network) 기술 개발을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사진) SK텔레콤은 SK스퀘어 자회사 IDQ, 국내 최고 수준의 네트워크 보안장비 회사 엑스게이트와 양자암호통신 기반 가상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 기술 개발에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SKT는 엑스게이트의 VPN 서버 장비에 IDQ의 QRNG(양자난수생성기) 칩셋을 연동해 양자 ...
  • 김형중
    삼성전자-네이버, AI 반도체 솔루션 개발 협력
    케이앤뉴스 KN NEWS 2022-12-06
    삼성전자와 네이버가 차세대 AI 반도체 솔루션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 (사진) 왼쪽부터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전략마케팅실장 한진만 부사장과 네이버 클로바 CIC 정석근 대표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AI 전용 반도체 솔루션 개발은 고도의 반도체 설계·제조 기술과 함께 AI 알고리즘 개발·검증, AI 서비스 경험과 기술의 융합이 필수적이다. 삼성전자와 네이버는 각 분야 기술의 선두 주자로서 이번 협력을 통해 AI 시스템에 최적화된 반도체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초대규모(하이퍼스케일·Hyperscale) AI ...
  • 윤준헌
    [더밸류 금융] KB국민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한화손해보험...디지털 월렛·스타트업 육성·AI 상용화·ISO 인증
    더밸류뉴스 2021-12-21
    ◆KB국민은행, ‘멀티에셋 디지털 월렛’ 개발 성공KB국민은행(은행장 허인)은 지난 17일 블록체인(가상화폐 거래시 해킹방지 기술)기반의 ‘멀티에셋 디지털 월렛(Multiasset Digital Wallet)’의 개발을 완료했다고 21일 발표했다. 이번에 개발된 멀티에셋 디지털 월렛은 금융권 최초이며, 한국은행이 진행 중인 CBDC(디지털화폐)모의실험에 사용된 블록체인 플랫폼인 클레이튼(Klaytn)을 기반으로 개발됐다. 멀티에셋 디지털 월렛은 CBDC 외에도 가상자산, 지역화폐 등 디지털 자산의 충전, 송금, 결제 등이 가능하다. ...
  • 이승윤
    삼성전자, 제7회 '삼성 AI 포럼' 개최... 세계 석학·전문가 기술 교류장 열어
    더밸류뉴스 2023-11-07
    삼성전자(대표이사 경계현)가 7일 경기도 수원시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삼성 AI 포럼 2023'을 개최했다.'삼성 AI 포럼'은 인공 지능(AI)·컴퓨터 공학(CE) 분야 세계적인 석학과 전문가들이 모여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미래 혁신 전략을 모색하는 기술 교류의 장이다.이번 제7회 '삼성 AI 포럼'에 AI·CE 분야 세계적인 석학과 전문가, 학생 등 총 1000여 명이 참석했고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초거대 AI'를 주제로 차세대 반도체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AI·CE 기술 연구 성과와 향후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AI 분야 ...
  • 이수민
    SK네트웍스, 美 AI 기반 디바이스 기업 ‘휴메인’에 2200만 달러 투자
    케이앤뉴스 KN NEWS 2023-03-09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가운데 전 세계적인 혁신 기업들이 AI 영역 투자 및 사업 협력에 속도를 높이는 추세다. 2018년부터 유망 기술 기업에 대한 초기 투자를 지속하며 ‘사업형 투자회사’로 진화를 추진 중인 SK네트웍스가 미국에서 주목받고 있는 인공지능 기반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 플랫폼 스타트업에 투자를 집행해 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사진) SK네트웍스SK네트웍스는 미국 투자법인 하이코캐피탈(Hico Capital)을 통해 ‘휴메인(Humane)’이 상용화 제품 생산 및 기술 개발을 위해 1억 달러 규모 ...
  • 최안나
    다우기술, NIPA 클라우드 서비스 품질·성능 검증 통과
    케이앤뉴스 KN NEWS 2022-01-18
    다우기술은 자사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다우클라우드’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주관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품질·성능 검증을 통과했다고 17일 밝혔다. ▲ (사진) 다우클라우드가 클라우드 컴퓨팅 품질·성능 확인서를 취득했다.이번 다우기술이 진행한 클라우드 서비스 품질·성능 검증은 클라우드 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 수준을 평가해 운영 성능, 지원 체계·절차, 품질 등을 확보하고 있는지 검증하는 제도다. NIPA가 총괄하고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KACI),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품질과 성능에 대한 엄격한 기준에 따라 심사·평 ...
  • 김형중
    커넥티드카 및 자율주행 차량의 데이터 관리 위한 퓨전 프로젝트 착수
    케이앤뉴스 KN NEWS 2021-02-08
    에어비퀴티, 클라우데라, 엔엑스피 반도체, 테라키 및 윈드 리버는 지능형 커넥티드카의 발전을 위한 간소화된 데이터 수명 주기 플랫폼의 세목을 명확히 하기 위한 자동차 업계 공동연구 계획, 퓨전 프로젝트를 8일 발표했다. ▲ 커넥티드카 및 자율주행 차량의 데이터 관리 위한 퓨전 프로젝트 착수커넥티드카는 다른 차량이나 교통 및 통신 인프라, 보행자 단말 등과 실시간으로 통신하며 운전자의 편의와 교통 안전을 돕고 인터넷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커넥티드 카 자체가 통신 기기가 된다는 의미에서 ‘거대한 사물인터넷(IoT) 기기’라고도 ...
  • 박상혁
    가비아, '포스트 코로나' 맞아 쾌속성장 관심↑...클라우드 수요 급증에 훨훨
    더밸류뉴스 2022-07-10
    IT솔루션 코스닥 기업 가비아(대표이사 김홍국)가 '포스트 코로나'를 맞아 실적이 빠르게 개선되면서 관심을 끌고 있다. 코로나를 계기로 기업들이 임직원들의 사무실 외부 근무를 지원하기 위해 전자결제, 메신저, 회의 등의 등의 각종 업무를 디지털화하고 있는 데다 정부가 디지털라이징(digitalizing) 정책을 가속화하면서 가비아의 IT 비즈니스가 날개를 달고 있다. ◆클라우드 부문, 매출액 연평균 35.9%↑ 가비아는 올해 1분기 매출액 552억원, 영업이익 93억원, 당기순이익 8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동기대비 각각 27.78% ...
  • 추부길
    [정세분석] 'EU 디리스킹' 움직임에 중국 초긴장
    와이타임즈 2023-10-06
    [美의 中견제 '소극적'이던 EU, 中 공세에 '태세 전환']유럽의 '디리스킹(de-risking·위험 제거)' 움직임 때문에 중국이 초긴장 상태에 빠졌다. 이미 미국과 각종 경제·안보 이슈로 디리스킹 수준 이상의 갈등과 대립을 하는 상황에서 이젠 유럽연합(EU)마저도 디리스킹을 준비하고 있어 '두 개의 전쟁'을 치러야 하는 상황이 펼쳐지고 있어서다.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지난 3일, “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의 베라 요우로바 가치·투명성 담당 부위원장이 이날 EU와 다른 가치를 추구하는 국가들이 반도체·인공지 ...
  • 이승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상반기 지원 과제 27건 선정...총 486.5억 지원
    더밸류뉴스 2022-04-05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이사장 김성근)과 삼성전자(대표 한종희 경계현)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통해 2022년 상반기부터 지원할 연구 과제 27건을 선정했다. 연구비 지원금액은 총 486억5000만원 규모다.이번에 선정된 과제는 기초과학 분야 12개, 소재 분야 8개, ICT 분야 7개 등이다. 차세대 반도체, 가상화 시스템 운영 체제, 세계 최고속 트랜지스터 등 미래 신기술뿐만 아니라 노화 메커니즘 규명, RNA 백신/치료제 정제 기술 등 전 인류적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과제도 다수 포함됐다.43세 이하 '신진 연구책임자'가 12 ...
7 8 9 10 11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