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11-20 23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넌 나 없이 어떻게 살래?" 사랑일까, 우월감일까
- The Psychology Times 2025-01-31
- [한국심리학신문=강승현 ]사랑에 빠진 적이 있는가? 연인 사이에서 흔히 오가는 애틋한 문장 중 하나인 “넌 나 없이 어떻게 살래?”는 그 자체로 깊은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이러한 문장이 지나치게 남용되면, 건강하지 못한 사랑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바보온달에게 글과 무예를 가르쳐 무관시험에 뛰어난 실력으로 합격하게 한 평강공주의 이야기는 애틋한 사랑 이야기로 유명하다. 온달을 위해 희생하고 내조한 평강공주는 그저 이상적이고 완벽한 아내일까? 어쩌면 평강공주는 지나친 자기우월감에 빠져 있었을지도 모른다 ...
-
-
- 인류에게 꼭 필요한 야한 이야기
- The Psychology Times 2025-01-13
- [한국심리학신문=김정은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이자 현대 인문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로 손꼽히는 지그문트 프로이트. 인문학에 전문적인 지식을 갖고 있지 않은 일반인들도 그의 이름은 들어보았을 것이다.프로이트가 활동하던 19세기 서유럽은 성을 문란한 것으로 간주하고 금기시하는 사회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런 시기에 정신분석학에 기반하여 성과 관련된 욕구를 이론화 하고 20세기 성혁명을 주도한 프로이트의 행보는 충격적일 수 밖에 없었다. 실제로 프로이트는 툭하면 야한 이야기를 꺼내는 미친 사람으로 불렸고, 이는 현대까지도 이어져 ...
-
-
- 개저씨 혐오의 문화적 의미
- The Psychology Times 2022-01-13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개저씨 혐오는 '개저씨'로 표상되는 일부 중년 남성들에 대한 단순한 불만의 표출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갑인 아버지 세대에 대해 영원한 을일 수밖에 없던 자식 세대의 반란이다.진화적으로 볼 때 부모자식 간엔 원래 갈등이 있다. 부모와 자식은 대개 자원의 배분을 두고 의견이 엇갈리는데 보통 자식이 더 많은 자원을 원하는 양상을 보인다. 아무래도 자식이 살아가야 할 날이 더 많기 때문일 것이다.부모 자식의 이러한 관계는 세계 많은 지역의 신화, 문학, 예술에서 부친살해라는 모티 ...
-
-
- 내 첫사랑이 부모님이라고요?
- The Psychology Times 2021-09-27
- [심리학 신문_The Psychology Times=황가연]<참고문헌>- 이성원(2016),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와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한국서양고전학회, 55(1), 5~7, 33~44- 이무석, '정신분석에로의 초대', 이유, 2006- David Ludden, Ph.D, "searching for Evidence of the Oedipus Complex", Psychology Today, 2018.2.15- 사진: Pixabay, 미리캠버스 ...
-
-
- 선진국 콤플렉스(complex)
- The Psychology Times 2022-01-04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콤플렉스란 정신역동이론의 용어로서, 어떤 대상에 대한 여러 감정과 동기가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힘을 말합니다.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대표적인 예인데요. 남자아이가 어머니에게 갖는 성적(性的)인 욕망 정도로 단순히 알려져 있는 이 개념은 사실,남자아이의 어머니에 대한 욕망, 어머니의 남편인 아버지에 대한 적대감과 질투, 자신의 욕망을 눈치챈 아버지가 자신을 해칠 지 모른다는 두려움, 이 두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동일시의 욕구 등이 뒤얽혀 있는, 말 그대로의 복합(co ...
-
-
- 광산구, 연극 ‘호야:好夜’ 공연 개최
- 전남인터넷신문 2021-12-01
- [전남인터넷신문/한상일 기자]광주 광산구(구청장 김삼호)가 주관하는 문예회관 특별기획 공연 연극 ‘호야:好夜’가 12월4일 오후 5시 광산문화예술회관 무대에 오른다.연극 ‘호야:好夜’는 조선시대 궁궐을 배경으로 얽히고설킨 가슴 아픈 사랑이야기로 연극 ‘오이디푸스’ ‘리차드3세’, 뮤지컬 ‘외솔’, 창극 ‘아비, 방언’ 등 수많은 명작을 탄생시킨 서재형 연출과 한아름 작가 콤비가 제작한 공연이다.관람료는 전석 무료이며, 4일 오전 12시까지 광산문화예술회관 누리집을 통해 예매가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광산문화예술회관 홈페이지에서 확 ...
-
-
- 국립극장, 전 세계 최신 화제작 ‘엔톡 라이브 플러스’ 상영
- 전남인터넷신문 2023-02-01
- [전남인터넷신문/임철환 기자]국립극장은 해외 유수의 공연을 영상으로 소개하는 ‘엔톡 라이브 플러스(NTOK Live+)’를 2월 24일(금)부터 3월 5일(일)까지 해오름극장에서 상영한다.엔톡 라이브 플러스는 국립극장이 유럽 각지의 극장 및 배급사와 손잡고 세계 최정상급 화제작을 선보이는 프로그램이다.2~3월 엔톡 라이브 플러스에서는 영국 국립극장 엔티 라이브(NT Live) ‘시련(The Crucible)’과 네덜란드 인터내셔널 시어터 암스테르담의 이타 라이브(ITA Live) ‘더 닥터(The Doctor)’를 국내 최초로 소개 ...
-
-
- 구원자 당신은 어쩌면
- The Psychology Times 2022-12-08
- [The Psychology Times=이유진 ]넌 마치 운명처럼함께 있음이 자연스러워준 적도 없는 내 마음의 조각을넌 이미 가지고 있어절망 없는 사랑 있을까넌 날 어디로 데려가려나정말 너는 언제까지라도내 옆에 있어줄 수 있을까나의 구원자하늘이 내려주셨나너를 안고 슬픈 꿈을 꾸었다너를 본 순간 말없이 알 수 있었다내 인생을 망칠 구원자란 걸넌 마치 영화처럼나를 특별하게 만들어줘숨을 쉬는 것도 의미를 부여하게 돼모든 아름다운 것들에 나를 투영하게 돼쓸데없이 날 살고 싶게 해절망 없는 사랑 있을까넌 날 어디로 데려가려나정말 너는 언제까 ...
-
-
- 모두 나를 사랑해야만 해
- The Psychology Times 2023-12-20
- [The Psychology Times=이예원]최근 성황리에 종방한 드라마 <연인>은 유명 고전 소설인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에서 모티브를 따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각 작품의 배경이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전쟁인 것은 물론, 인물들 간에도 유사한 점이 많다. <연인>의 여자주인공인 유길채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주인공 스칼렛 오하라도 작품의 주인공답게 유사한 점을 가진다. 그중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이 바로 연극성 성격장애의 특성이 있다는 점이다. 두 인물이 지닌 연극성 성격장애란 무엇이며 그 원인과 치료 방 ...
-
-
- 삶은 끊임없는 '장애물'과 투쟁…자녀에게 '내부 복원력' 키워줘야
- The Psychology Times 2021-04-23
-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사망하기 1년 전인 1938년 영국으로 망명했다. 그해 겨울BBC 라디오는 그와 마지막 인터뷰를 했다. 그 인터뷰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정신분석과 자신의 삶을 돌아본다. "정신분석학을 처음 주장한 이래 나는 많은 이에게 비난과 모욕, 핍박을 받았다. 이제 시간이 흘러 세상은 정신분석이라는 학문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고 인정해주고 있다. 나는 이 사실이 자랑스럽다. 그러나 나의 투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실제로 그의 인생은 온갖 오해와 비난, 모욕으로 점철되어 있다. 그리고 그 오해와 비난은 사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