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11-20 56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팔자’ 피는 웃음! 팔자주름 걱정 말고 웃으세요.
- 전남인터넷신문 2022-01-05
- [전남인터넷신문/김동국 기자]한 해를 시작하는 이 시기 많은 사람이 비는 새해 소망에 건강이 빠지지 않는다. 인간의 오복((五福)) 중 하나로 꼽히는 건강을 지키는 손쉬운 방법이 있다. 바로 웃음이다. ‘웃으면 복이 온다’는 말은 단순히 긍정적인 마음가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 같지만 사실 과학적 진실을 담고 있다. 웃음은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인다. 2020년 7월 스위스 바젤 대학 연구팀이 성인 41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웃음은 피로∙두통∙불안 등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킨다. 또한 웃음은 스트레스 ...
-
-
- 한국의 현대사는 트라우마로 가득하다?
- The Psychology Times 2022-01-27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한국의 현대사는 트라우마로 가득하다.트라우마란 재해나 재난, 참사 등으로 인한 커다란 정신적 충격을 뜻한다. 트라우마는 사람들에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남긴다. 당시의 기억이 계속해서 떠올라 불안과 공포에 시달리며 우울과 무기력, 죄책감을 경험한다. (...)우리 주변에는 일제 강점기, 전쟁, 군사 독재 시절을 거치며 가족 몇 명 잃지 않은 이들이 없고, 공장에서 손발을 잃거나 월남전에서 병을 얻어 돌아온 이들, IMF 때 집안이 풍비박산 나서 가족이 뿔뿔이 흩어진 이 ...
-
-
- 마음이 허한 건지, 몸이 허한 건지
- The Psychology Times 2022-07-06
- [The Psychology Times=유지은 ]외모에 관심이 증대되는 지금, 다이어트에 대한 사람들의 욕망은 갈수록 늘어난다. 다이어트의 큰 적인 식욕은 진짜와 가짜로 구분되는데 아무리 밥을 먹어도 배가 부르지 않는 경우는 가짜 식욕일 때가 많다. 진짜 식욕 그리고 가짜 식욕 식사한 지 몇 시간 지나지 않았는데 짭짭할 과자가 당기기도 하고 달콤한 디저트를 먹고 싶은 충동이 충만할 때가 있다. 건강한 진짜 식욕은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데 필수적이지만 마음의 공허함과 스트레스 그리고 우울감에서 비롯된 감정적 식사인 가짜 식욕은 우리 ...
-
-
- 모든 것을 결정짓는 나의 유전자
- The Psychology Times 2023-04-26
- [The Psychology Times=이자은 ]당신은 우울장애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는가? 우울장애는 흔히 우울증이라는 이름으로 우리 곁에 자리하고 있다. 우울장애를 겪는 사람들은 타인의 의도를 알 수 없음에도 계속 멋대로 추측한다. 또 하루 대부분에 걸쳐 기분이 가라앉고 슬프기만 하다. 이들은 왜 우울해졌을까? 힘든 일을 겪었던 것일까? 다른 사람들도 똑같은 일을 겪었다면 모두가 우울해지는 것일까? 사실은 남들보다 조금 더, 우울해지기 쉬운 사람들이 있다. 그것은 모두 유전자로부터 결정된다. 덜 행복하고 더 예민한 그들우울장애를 ...
-
-
- 잠수이별의 흔한 단짝, 회피형 인간
- The Psychology Times 2024-10-10
- [한국심리학신문=이주원 ]잠수이별을 겪다. 대학생 A군은 2년 전 잠수이별을 겪었다. 가끔씩 잠수이별했던 여자친구의 잔상이 떠오를 때 A군의 머릿속은 혼란스럽다. 자동적으로 잠수이별을 겪었던 당시로 돌아가 그 기억을 반추하고는 한다. '잠수이별 당하기 전에 무슨 일이 있었더라? 아무 일도 없었는데, 도대체 걔는 왜 그런 걸까?' 한동안 잠수이별 심리에 골몰한 끝에 A군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아! 나한테 아무 말도 안 하고 사라진 건 걔(상대)가 그냥 회피형 인간이었나 보네.' 이러한 나름의 통찰을 바탕으로 A군은 친구들에게 ...
-
-
- 용서의 미덕
- The Psychology Times 2024-12-19
- [한국심리학신문=김이수현 ]‘원한을 품고 있는 것은 독을 마시고 상대방이 죽는 것을 기대하는 것과 같다.’. 누군가를 용서한다는 것은, 힘든 일일까? 필자는 용서에 대하여 크게 신경 쓰지 않았다. 실은, ‘누군가를 용서한다.’ 보다는 ‘더 이상 그 사람에 대해 신경 쓰지 않는다’는 느낌이 크다. 하지만 용서라는 것은 인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용서는 ‘지은 죄나 잘못한 일에 대하여 꾸짖거나 벌하지 아니하고 덮어 줌.’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잘못을 벌하지 않는다는 것은 생각보다 의미가 크다. 혹시 누군가를 용서한 경험이 있는가? ...
-
-
- 나는 왜 '인기 있는' 사람이 되고 싶은가? (영화 <위키드>를 통해 알아보기)
- The Psychology Times 2025-01-15
- [한국심리학신문=윤재현 ]최근 개봉한 영화 <위키드(wicked)>는 2024년 개봉한 외화 흥행 영화 톱4에 오르며 큰 화제성을 모았다. 특히 영화에서 퀸카인 여자 주인공 글린다(Glinda)는 초록색 피부로 인해 또래 친구들에게 소외된 룸메이트 엘파바(Elphaba)에게 예쁘게 꾸며주겠다고 말하며 부른 ‘Popular’라는 넘버(노래)는 관객들 사이에서 큰 사랑을 받고 있다.<뮤지컬/영화 위키드 (wicked)의 Popular 中 일부>Popular! (인기 많아질거야!)You're gonna be popular! (넌 이제 인 ...
-
-
- 현대인에게 필수적인 심리습관 3가지
- The Psychology Times 2024-06-17
- [한국심리학신문=노상현 ]자신을 옭아매는 부정적인 생각과 잡념에서 벗어나기 어떠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문제의 원인이 자기 자신에게 있다고 생각하며 앞으로 나아가는 것은 현명하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떻게 나아가느냐에 있다. 문제의 원인을 찾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자 상황을 되짚어보는 행위는 일종의 자아 성찰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계속해서 자기반성만 하며 온갖 상상과 억측을 동원해 자기 자신을 괴롭힌다면 이는 ‘비이성적인 반추적 사고’에 지나지 않는다. 자아 성찰의 탈을 쓴 비이성적인 반추적 사고가 ...
-
-
- 비가 오면 기분이 안 좋아
- The Psychology Times 2024-06-24
- [한국심리학신문=신지아]오늘의 날씨출근하기 위해 아침에 일어나 준비를 하고 나갔는데 하늘이 어두컴컴하면 기분이 좋지 않다. 금방이라도 비가 쏟아질 것 같은 하늘은 괜스레 나를 우울하게 만든다. 또 해가 쨍쨍한 아침에 바람이 살랑살랑 불면 그렇게 맑고 상쾌할 수가 없다. 이렇게 기상 상태는 때때로 우리의 기분을 좌지우지하기도 한다.그 예로 독일의 '회색 하늘 우울증'을 들 수 있다. 독일 기상청에 따르면 독일의 평년 1년 일조 시간은 총 35시간이라고 한다. 가장 일조량이 적은 지역은 10시간밖에 안 된다. 이 때문에 독일에서는 햇빛 ...
-
-
- 내 나이가 어때서: 우리 사회가 노인을 바라보는 방식
- The Psychology Times 2024-02-26
- [The Psychology Times=박지우 ]“전 서른 살 넘으면 자살할 거예요. 뭘 구질구질하게 칠팔십까지 살아요?” 영화 <수상한 그녀>의 도입부 中 한 여학생이 대학 교양시간에 무심코 툭 던진 말이다. 청자 입장에서는 무슨 말을 저렇게 심하게 할까라는 생각이 절로 들게 만든다. 그러나 이는 오늘날 한국 사회가 노인을 바라보는 시선과 태도를 가장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사이기도 하다. 우리가 보통 노인을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이미지는 ‘느리다’, ‘나약하다’, ‘쓸데가 없다’ 등의 부정적 속성이 강하다. 이러한 현상은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