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191-200 856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어른이 왜 그림책을 읽어요?
- The Psychology Times 2023-05-09
- [The Psychology Times=남지민 ]그림책테라피, 처음 들어봐요우리는 어린 시절 가장 먼저 접하는 책이 ‘그림책’이다. 가족, 친구, 동물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진 그림책에는 내포되는 의미들은 가득하다. 미취학아동 때부터 초등학교 저학년 때 집중적으로 읽는 시기 말고는 우리는 딱히 그림책을 접할 상황도, 동기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면서 더더욱 ‘그림책은 어린아이들만 읽는 책’이란 의미로 굳어간다. 하지만 자존감, 자아, 힐링과 위로 등의 요소들이 화두에 오르면서 그림책에 대한 수용자가 어른들까지 넓어지고 있다. 단순한 ...
-
-
- 이달의 책 추천, 사람 먹는 이야기를 아시나요?
- The Psychology Times 2023-05-29
- [The Psychology Times=이해름 ]'학자금 대출 중이거나 대출 후 갚지 못한 성인은 심혈관 질환 위험이 10% 이상이나 더 크다.' 애덤 리퍼트 콜로라도대 사회학과 교수 연구팀에서 미국 예방의학저널에 발표한 학술지이다. 이 학술지에서 볼 수 있는 현실은 이달의 추천 책으로 들고 온 아래 도서에서 가장 마음 아픈 요소이기도 하다.내던져진 채 성인이 된 주인공들, 가난한 삶, 그래서 더욱 궁핍해지는 마음들.구와 담이 사는 세상은 “아직 아무것도 시작하지 않았는데도 실패는 예정되어 있는 것 같고, 할 수 있는 일은 정해져 ...
-
-
- 이 세상에서 나답게 존재하며 어울려 살아가기
- The Psychology Times 2023-05-01
- [The Psychology Times=권소연 ]우리는 세상에 태어나 여러 사람과 부대끼며 사람 때문에 울기도 웃기도 한다. 수많은 사람 속에서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며 살아가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바운더리를 가지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 ‘바운더리’라는 용어는 정신과 의사인 문요한 작가의 저서 ‘관계를 읽는 시간’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 용어를 간단히 소개하자면, 나를 해치지 않고 사람들과 건강한 교류를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일종의 심리 필터 같은 것이다. 이 글에서는 위의 책 내용에 기반해 바운더리의 역사와 건강한 바운더리를 재 ...
-
-
- 내 안에 아이가 있다
- The Psychology Times 2022-01-26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김혜령 ]최근에 이직을 한 친구에게서 전화가 왔다. 퇴근길에 기분이 싱숭생숭하여 서점에 가려는데, 책을 추천해달라는 것이었다. 내성적인 성격의 그녀는 새 직장에 적응하느라 꽤 긴장된 시간을 보내고 있는 듯했다. 떠오르는 대로 세 권의 책을 불러주었지만 나는 그 책들이 몇 페이지 넘어가지 못할 거란 것을 안다. 사실 그녀가 바라는 것은 책 자체가 아니라 마음의 평안을 위한 작은 조치다. 이를테면 서점에서 책 한 권을 손에 꼭 쥐고 나오기, 혹은 고민이 많아지는 한밤중 침대에 반쯤 ...
-
-
- MZ시대의 퇴사에 대한 고찰
- The Psychology Times 2023-04-28
- [The Psychology Times=전다빈 ]MZ 세대. 이제 현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익숙해진 단어일 것이다. MZ세대는 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까지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M세대)와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에 출생한 Z세대를 통칭하는 말로,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트렌드를 따라가려는 그런 특성을 가진 세대이다. 요즘 이런 MZ세대 중 특히 미국의 MZ 세대 사이에서는 이슈가 되는 단어가 있다. 바로 ‘Quiet Quitting’. 직역하면 조용한 사직인데, 말은 사직이지만 회사를 그만두는 것은 아니고, ...
-
-
- 우리는 더 이상 사랑에 빠지기를 바라서는 안 된다
- The Psychology Times 2024-03-26
- [The Psychology Times=황세현 ]개인주의 사회에서의 인간관계치열한 경쟁 속 각자 살아남아야 하는 혹독한 현재 사회에서 우리 중 다수는 자기 자신을 지키기 위해 개인주의를 택했다. 타인과의 친밀한 교류를 통해 힘을 얻기보다는 타인을 나의 생존을 위협할 수 있는 존재로 여기게 되었고 이는 곧 모두가 모두를 경계하는 상황으로 이어졌다. 개인은 모든 에너지를 최소화함으로써 생존 에너지를 비축해야만 한다. 따라서 감정적 에너지는 가장 비효율적이고 쓸모없는 소모의 대상이 된다.이렇게 극도로 경쟁적인 사회가 건강한 것인가 하는 ...
-
-
- 내가 잘하는 것을 어떻게 알지?
- The Psychology Times 2024-02-02
- [The Psychology Times=최서영 ]"너 자신을 알라.", "내가 잘하는 게 무엇인지 알아야 성공한다.", "저 사람은 자기가 무엇을 잘하는 것을 충분히 아는 사람이야." 라는 말에서는 곧 자기 자신을 잘 알고, 자신의 강점이 무엇인지를 잘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는 이야기하고 있다. 최근까지도 심리학에서 가장 큰 인기를 얻고 있는 학문인 '긍정심리학'의 아버지, 셀리그만에 의하면 강점을 가지면 가질수록 자신의 강점을 찾아내는 과정을 통해 행복을 실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강점인식이란 내면뿐만 아니라 자 ...
-
-
- 내가 주인공이어야 해! : 연기성 성격
- The Psychology Times 2022-09-21
- [The Psychology Times=노주선 ]자신에게 관심이 집중되기를 원함부적절한 성적 유혹이나 도발적인 행동을 함감정의 깊이가 부족하며 변덕이 심함외모를 이용한 관심 끌기피상적이고 막연한 이야기 패턴과장된 감정 반응을 보이나 깊이 있는 관계 상 어려움주변이나 환경의 변화에 민감(발췌 및 인용 From DSM-IV)1.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스칼렛 오하라'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너무도 유명한 영화이다. 워낙 오래전 영화이기 때문에 직접 보지는 못한 분들이 많겠지만 아마도 그 이름과 내용은 대부분 알고 있을 것이다. 그중 ...
-
-
- 한국인과 일본인의 문화적 방어기제
- The Psychology Times 2021-08-27
- 방어기제는 욕구의 좌절로 인한 불안에서 자아를 보호하기 위한 무의식적인 기제입니다. 문화는 욕구 충족의 체계입니다. 자연히 충족되지 못한 욕구를 처리하거나 대응하는 체계도 나타나겠지요. 제가 문화와 방어기제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된 것은 박영숙의 연구 ‘속담으로 본 한국인의 방어기제’를 보고 나서였습니다. 빌헬름 분트가 <민족심리학>에서 주장하듯이 속담에는 신화나 전설, 동화와 같이 해당 민족의 무의식적 욕구와 이에 대한 해결방법 및 자아방어방식이 제시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연구자는 8,000개의 속담 중, 내용이 방어기제와 ...
-
-
- 딱 한 권만큼의 의지
- The Psychology Times 2022-04-01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김혜령 ]어른이 되면서 겪는 어려움 중의 하나는 사회적인 존재로서의 나를 다루는 일이다. 어렸을 때는 무엇이든 마음대로 할 수 있고,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 자연스러웠다. 하지만 성숙해야만 하는 시기가 되면 누가 시키지 않아도 상황에 맞게 말과 행동을 조심하게 된다. 그런 것들이 쉬운 일은 아니라서 어떤 때는 에너지가 바닥나버리기도 하고 상처받는 일도 더러 있다. 손해를 보는 일도 생긴다. 관계 안에서의 불편이나 어려움을 피할 수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대인관계에서 발생하는 불안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