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기간
  • 언론사
    언론사 전체보기
  • 기자명

    기자명

    기자 내 포함 단어

  • 옵션유지
  • 상세검색
    견해

    기본검색의 결과 범위를 줄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여러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쉼표(,)로 구분해서 입력하세요.

    도움말 초기화

뉴스

231-240 832

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신경민
    한국에서만 발생하는 정신질환이 있다고?
    The Psychology Times 2024-12-02
    [한국심리학신문=신경민 ]한 사회의 문화는 그 사회에 속한 구성원들의 생활 방식과 행동 양식, 가치관, 정서 등 전반적인 삶에 크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우리는 같은 사회에 속한 구성원들과 대개 비슷한 가치관과 삶의 방식을 공유하고 있는 반면, 문화의 차이가 큰 다른 사회의 구성원들과는 서로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다른 생각과 행동을 보여주기도 한다. 많은 사람에게 익숙한 대표적인 문화 차이의 예는 서양의 개인주의적 문화와 동양의 집단주의적 문화가 있다. '사회적 자기(social self)'에 관한 한 연구에 따르면, ...
  • 추부길
    [정세분석] “스톰섀도우 공격으로 쿠르스크서 북한군 500명 사망”
    와이타임즈 2024-11-25
    [우크라의 쿠르스크 공격, 북한군 500명, 러군 18명 사망]우크라이나군이 스톰섀도우(Storm Shadow) 장거리 순항 미사일을 통해 쿠르스크를 집중 공격했을 때 북한군 500여명과 러시아군 장교 18명 등이 함께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는 보도가 나왔다. 그동안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북한군의 사망 가능성은 여러 번 나왔지만 북한군의 사망숫자까지 구체적으로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우크라이나 현지매체인 RBC-Ukraine는 24일, “텔레그램 채널인 도시에 슈피오나에 따르면 스톰섀도우 순항미사일을 통한 ...
  • 추부길
    [정세분석] 존재 이유가 사라진 중국공산당, 존망의 길로 달려가고 있다!
    와이타임즈 2025-01-27
    [중국 공산당 존재 이유가 무너진 사회, 시진핑은 안전할까?]중국 사회를 주도하는 공산당의 존재 이유가 사라지면서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좌까지도 흔들릴 조짐이 보이고 있다. 공산당을 지탱하는 핵심 기둥인 경제성과가 무너지면서 사회 기반의 붕괴가 코 앞에 닥쳐와 있기 때문이다.영국의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24일, “중국 당국이 지난 17일 발표한 2024년 경제 성장률이 목표치인 5%에 근접했다는 발표는 중국의 소셜 미디어에서 광범위한 불신으로 받아들여졌다”면서 “경제가 흔들리고 사회적 합의가 약화되면서 시진핑 주석은 위기를 맞고 있다” ...
  • 추부길
    [정세분석] 트럼프팀이 만든 휴전제안 거부한 푸틴, 우크라 전쟁 장기화 불가피
    와이타임즈 2024-12-28
    [뭔가 크게 착각하고 있는 푸틴, 진짜 승리자로 판단?]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이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팀이 만든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안을 전면 거부했다. 한마디로 푸틴이 제안한 휴전 방식이 아닌 어떤 제안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인데, 이렇게 되면 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고, 취임 하룻만에 전쟁을 끝낼 것이라 장담했던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도 푸틴과의 정면 대결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으로 몰릴 가능성이 높아졌다.우크라이나 현지매체인 우크라인스카 프라우다는 미국의 전쟁연구소(ISW)의 보고서를 토대로 “러시아의 푸 ...
  • 추부길
    [정세분석] 시진핑 숭배가 사라진 중국,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나?
    와이타임즈 2025-01-31
    [군부행사와 관영언론에서조차 시진핑 우상화 사라져]중국의 경제위기가 더욱 심화되고 중국공산당 내에서도 분열 조짐이 보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 군부는 물론이고 관영언론에서조차 돌연 시진핑 우상화가 사라지면서 대외적으로는 공개가 되지 않는 지각변동이 벌어지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일본의 닛케이아시아는 30일, 닛케이의 중국지국장을 지냈던 카츠지 나카자와 편집인이 쓴 “시진핑 개인 숭배가 중국내에서 사라지고 있다”는 헤드라인 기사를 통해 “최근 ‘죽(竹)의 장막’이라 할 수 있는 중국에서 열린 군부 행사에서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기묘한 일 ...
  • 추부길
    [정세분석] 푸틴에 배신감 느낀 김정은, “추가 파병 않을 것”
    와이타임즈 2025-01-20
    [러시아 파병 북한군, 추세대로면 4월 중순 궤멸]파병 북한군 사상자가 지금처럼 속출할 경우 4월 중순이면 12,000명 규모의 전체 북한군이 죽거나 다칠 것으로 보이며, 이렇게 몰살 당하듯 사상자를 내는 북한군을 보며 김정은도 푸틴에 대해 배신감을 느끼면서 추가 파병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전망이 미국 군사전문가로부터 나왔다.우크라이나의 군사전문 매체인 ‘디펜스 익스프레스’는 18일(현지시간) “러시아 쿠르스크주에 파병돼 우크라이나군 상대 전투에 투입된 북한군이 손실 추세로 볼 때 올해 4월 중순에 궤멸될 수 있다”면서 “작년 ...
  • 추부길
    [정세분석] 식량 부족에 가격도 폭등한 북한, “이러다 다 죽는다!” 아우성
    와이타임즈 2025-01-13
    [풍년이라 선전한 북한당국, 완전 가짜였다!]북한 당국이 지난해 식량 생산량을 107% 달성했다며 ‘풍작’이라고 선전했지만, 북한 주민은 여전히 식량 부족에 가격까지 폭등하면서 “이러다 다 죽는다”는 아우성까지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지난 9일(현지시간) “북한에서는 지금 식량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런 상황에서 쌀과 옥수수 등 식량 가격까지 폭등하면서 풍작이라는 북한 당국의 말을 전혀 신뢰하지 않고 있다”면서 “시장에서 곡물 거래를 강력히 통제하는 북한 당국의 정책이 오히려 식량 가격 상 ...
  • 추부길
    [정세분석] 새해 벽두부터 무너진 中, 위안화 가치 16개월만에 최저
    와이타임즈 2025-01-09
    [인민은행 대처 따라 위안화 대량 매도 가능성까지 제기]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을 앞두고 중국 경제 성장 전망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면서 미국 달러화 대비 중국 위안화 가치가 16개월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문제는 이러한 경향이 앞으로 더욱 더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이고 경우에 따라 위안화의 대량 매도 사태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동향이 주목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8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의 급격한 관세 인상 가능성 등이 제기되는 가운데 세계 제2위 경제대국 중국의 성장전망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
  • 추부길
    [정세분석] 비참한 경제현실에 좌절한 중국인들, “경제성장 5%는 사기다!”
    와이타임즈 2025-01-17
    [중국 인민들, 중국 정부 발표 전혀 신뢰하지 않아]중국의 인민들이 정부당국의 공식적인 발표를 전혀 신뢰하지 않고 있으며, 특히 경제 부문에 대한 통계는 불신의 대상이라는 보도가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이러한 중국 당국의 발표를 믿지 못하도록 만드는 결정적인 계기가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5%에 이르렀다는 공식 발표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수치가 현실과는 너무나 괴리가 크기 때문이다.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는 16일(현지시간) “중국 정부는 2024년 GDP가 약 5% 성장할 것이라고 발표할 예정이지만 많은 사람들은 경제가 ...
  • 추부길
    [정세분석] 美의 초강수 ‘대만 독립 공식화?’, 화들짝 놀란 시진핑
    와이타임즈 2025-02-18
    [트럼프 대만지지 공식화, ‘대만 독립 반대’ 문구 삭제]미국이 그동안 중국과 대만과 관련해 일국양제를 공식적으로 지지해 오면서 ‘대만 독립 반대’ 의사를 표명해 왔지만 그러한 미국의 외교적 스탠스가 ‘대만 독립 찬성’ 쪽으로 급회전을 하게 될 것으로 보여 중국의 반응이 주목을 끌고 있다.영국의 더타임스는 17일(현지시간) “미 국무부가 대만과 관련해 일국양제 개념을 계속 유지할 것이지만 대만의 독립반대 문구는 삭제하기로 했다”면서 “이는 중국을 격노하게 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실제로 미 국무부는 홈페이지의 '대만과의 관계에 ...
22 23 24 25 26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