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411-420 6,749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침묵의 교실》 10화
- The Psychology Times 2025-05-30
- “얘들아, 고윤태가 남긴 그림 봤어?”그 말은 쉬는 시간,누군가의 입에서 툭 튀어나왔다.말을 꺼낸 건 체육부장 이승훈이었다.“얼굴 없는 그림 말이지?그거 무섭더라.”아이들은 키득이며 수군댔지만나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그 그림은,내가 유일하게 본 사람이니까.방과 후.나는 다시 교실로 돌아갔다.가방에 고이 접어 넣은 윤태의 스케치북을 꺼냈다.책상에 펼쳐본다.지워진 얼굴.그림 아래,다시 보이지 않았던 글자가 눈에 들어왔다.‘숫자…?’그림 아래 조그맣게,‘3-7-4-2’이라는 숫자가 적혀 있었다.나는 그것이 무엇인지 알 수 없었지만,뭔 ...
-
-
- 《매화는 겨울에 핀다》 2화
- The Psychology Times 2025-04-29
- 경성, 1936년 1월 17일.새벽.서서히 빛이 번지는 골목.눈발은 잦아들었지만, 길가엔 여전히 희끗한 잔설이 남아 있었다.장해윤은 두 손을 깊숙이 외투 주머니에 찔러 넣은 채,서촌 뒷골목을 따라 걷고 있었다.옷깃을 스치는 바람은 뺨을 아프게 찔렀다.그럼에도 그는 고개를 들지 않았다.손끝이 얼어가도, 걸음을 멈추지 않았다.그의 가슴 안에는,조금 전 책방에서 김성진에게서 받은‘다음 지시서’가 고스란히 들어 있었다.'박진우, 감시 대상.내부고발 가능성 확인.긴급 조치 필요.'짧은 지시였지만,그 의미는 무겁고 냉혹했다.‘진우가 걸렸다.’ ...
-
-
- 《매화는 겨울에 핀다》 9화
- The Psychology Times 2025-05-13
- 경성, 1936년 1월 23일. 새벽.하얀 안개가 경성 전역을 감싸고 있었다.잿빛의 새벽 하늘 아래,조선총독부 청사 주변은 비상 경계령이 내려진 상태였다.인쇄소 쪽에서 사라진 기밀문서,그리고 감시 대상이었던 장해윤의 실종.총독부는 알아챘다.이 싸움이 더는 그림자 속의 전투가 아님을.“박진우에게 처형 명령이 떨어졌습니다.”김성진의 말은 단호했다.해윤은 말없이 고개를 떨구었다.“내일, 새벽 다섯 시.남산 형무소 내부 사형장입니다.”“…시간이 없군요.”그의 손엔,김병수의 책상에서 빼낸 문서와그가 직접 쓴 자백서가 쥐어져 있었다.그 문서는 ...
-
-
- 《침묵의 교실》 6화
- The Psychology Times 2025-05-26
- 최윤재는 반에서 조용한 축에 속하지 않았다.그는 인기 있는 아이는 아니었지만,그렇다고 투명한 존재도 아니었다.그는 늘 적당한 위치에 있었다.중앙이 아니라,중앙에서 살짝 비껴난 곳.‘중립’이라는 방어막 속에서.하지만 그런 그가윤태에게 마지막 메시지를 받은 사람이라는 건전혀 알려지지 않았다.그가 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그리고 아무도 묻지 않았기 때문이다.윤재는 상담 요청에 처음엔 응하지 않았다.하지만 ‘읽지 않은 메시지’에 대한한 통의 쪽지가 그의 사물함에 꽂힌 뒤,그는 내 앞에 나타났다.“그건… 진짜로 말하면 안 되는 거잖아요.”그의 ...
-
-
- 《매화는 겨울에 핀다》 1화
- The Psychology Times 2025-04-28
- 1936년 1월. 경성. 새벽 5시 40분.세상은 아직 어둠에 잠겨 있었다.그림자가 빛보다 많던 시간.경성 한복판, 조선총독부 청사 외벽엔 눈이 소복이 쌓여 있었고,청사 3층 사무국의 창문 하나에서만 조심스럽게 등불이 깜박이고 있었다.그 불빛 아래,책상 앞에 앉은 청년의 손끝이 멈춰 있었다.장해윤.조선총독부 소속 사무 타자수.스물셋의 조선 청년.표정 없는 얼굴로 활자를 치고 있는 그는,세상 그 누구보다 ‘조용한’ 방식으로 싸우고 있었다.찰칵. 찰칵.타자기의 리듬은 일정했지만,그 속에 담긴 문장은 그러하지 않았다.「경성지방 사상범 감 ...
-
-
- 《매화는 겨울에 핀다》 6화
- The Psychology Times 2025-05-08
- 경성, 1936년 1월 21일. 새벽.여관방은 추웠다.벽 틈으로 찬바람이 스며들었고,방 안엔 새벽의 어둠이 무겁게 내려앉아 있었다.장해윤은 아직 단도 하나를 손에 쥔 채,문 앞에서 꼼짝 않고 서 있었다.바깥에선 누군가가 계단을 오르고 있었다.무게를 감춘 조심스러운 발소리.그러나 해윤의 귀는 그것을 놓치지 않았다.그는 호흡을 죽이고, 한 발 뒤로 물러섰다.문이 열렸다."……!"하지만 들어온 이는,일본 순사가 아니었다.낯익은 얼굴.하얀 저고리, 남장한 여자.그는 그 여인을 기억했다.윤지화.예전에 독립신문 전달책으로 몇 번 본 적이 있는 ...
-
-
- 《매화는 겨울에 핀다》 8화
- The Psychology Times 2025-05-12
- 경성, 1936년 1월 22일. 밤 11시 45분.총독부 인쇄소.벽돌 건물과 철창으로 둘러싸인 구조.밤이면 더욱 차가운 침묵이 내려앉는 공간.그러나 그 속에서도잉크 냄새와 기계음은 멈추지 않는다.조선의 아침을 지배할 일본어 신문들이이곳에서 태어난다.그리고 오늘 밤,장해윤은 그 공간으로 들어갔다.회색 작업복,검정 장갑,모자 끝으로 얼굴을 가린 채.그는 예전에 잠시 외부 작업 인력으로 위장해출입했던 기록을 이용해,보안 창고 측의 좁은 문으로 침투했다.문틈 하나, 발소리 하나까지 조심스러운 순간.밤샘 인쇄 작업 중이라작업장 안엔 직원 셋 ...
-
-
- <제18화> 복종의 경계
- 경기뉴스탑 2025-01-26
- 회사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 공통의 목표를 향해 움직이는 작은 사회다. 경제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곳이면서도, 인간관계와 조직문화라는 복잡한 요소들이 얽혀 있는 공간이다. 사람들은 회사에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며 성장하기도 하고, 때론 좌절하기도 한다. 회사는 생계의 수단이며, 자아실현의 장이고, 작은 전쟁터이며, 네트워크의 중심공간이다. 결국 회사는 단순히 '일하는 곳' 이상의 의미를 갖고 회사라는 무대에서 우리는 일을 통해 스스로를 증명하기도 하고, 때로는 잃어버린 자유를 되찾으려 분투한다. 중요한 건 그 안에서 자신의 방향성을 잃 ...
-
-
- 《매화는 겨울에 핀다》 7화
- The Psychology Times 2025-05-09
- 경성, 1936년 1월 22일. 오후.성북동의 찻집 지하.햇빛이 들지 않는 비밀 공간.그 안에서 장해윤은 조용히, 그러나 눈동자만은 날카롭게 빛나고 있었다.눈앞엔 갈색 서류철.박진우가 체포되기 전 전달한 연락망 수첩과조직원 명단 일부가 담긴 문서.그 문서 위엔,한 사람의 이름이 반복적으로 언급되어 있었다.김병수.겉으로는 신문 인쇄소 조판공.실제로는 연락 책임자 중 한 명이었다.그는 몇 주 전부터 이유 없이 자취를 감추었고,연결되었던 연락선 중 3개가 연달아 무너진 시점과도 일치했다."김병수…"해윤은 조용히 중얼이며, 종이 위에 손끝 ...
-
-
- 《침묵의 교실》 8화
- The Psychology Times 2025-05-28
- 윤태가 사라진 자리에는아무도 앉지 않았다.처음 며칠은 그랬다.교실의 분위기는 애매한 공기로 가득했다.누구도 말하지 않았고,누구도 그 자리를 향해 고개를 돌리지 않았다.그 자리는,마치 살아 있는 듯했다.그러다 어느 날,아무 말 없이김도현이 앉았다.도현은 원래 말이 많았다.장난도 심했고,가끔은 선을 넘는 농담도 서슴지 않았다.그런 그가윤태가 사라진 다음 날부터조용해졌다.아무도 묻지 않았지만,모두 알고 있었다.그가 마지막까지윤태를 밀어붙였다는 걸.“김도현 학생, 잠깐 괜찮을까요?”내 말에 도현은 피식 웃으며 고개를 끄덕였다.“설마 또 윤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