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41-50 446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비가 오면 기분이 안 좋아
- The Psychology Times 2024-06-24
- [한국심리학신문=신지아]오늘의 날씨출근하기 위해 아침에 일어나 준비를 하고 나갔는데 하늘이 어두컴컴하면 기분이 좋지 않다. 금방이라도 비가 쏟아질 것 같은 하늘은 괜스레 나를 우울하게 만든다. 또 해가 쨍쨍한 아침에 바람이 살랑살랑 불면 그렇게 맑고 상쾌할 수가 없다. 이렇게 기상 상태는 때때로 우리의 기분을 좌지우지하기도 한다.그 예로 독일의 '회색 하늘 우울증'을 들 수 있다. 독일 기상청에 따르면 독일의 평년 1년 일조 시간은 총 35시간이라고 한다. 가장 일조량이 적은 지역은 10시간밖에 안 된다. 이 때문에 독일에서는 햇빛 ...
-
-
- 평생 20대로 살 수는 없는 걸까?
- The Psychology Times 2024-06-13
- [한국심리학신문=조수빈B ]어느덧 2024년의 거의 절반이 지나갔다. 이렇게 새로운 달을 몇 번 더 지나 보내면 우리는 또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해야 한다. 당신은 새로운 한 해를 시작할 때 어떤 기분이 드는가?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할 때 새로운 시작에 대한 설렘을 느끼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나이를 한 살 더 먹는 것에 대한 공허함을 느끼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사실 필자는 하루하루 늙어가는 것이 두렵다. 언젠가 청년 시기를 떠나보내고 새로운 시기를 맞이해야 한다는 사실 또한 참 두렵게 느껴진다. 나이가 드는 것은 모든 인간이 피해 ...
-
-
- 고흥군 점암면, 어르신들 찾아 뵙고 경로효친 실행
- 전남인터넷신문 2025-05-08
- [전남인터넷신문/강계주] 고흥군 점암면(면장 김일우)이 7일 어버이날을 앞두고 지역 어르신들을 위한 따뜻한 효 실천과 나눔 활동을 진행해 지역사회에 깊은 감동을 선사했다.김대현 향우(왼쪽 4번째)가 김일우 면장(5번째)에게 어르신들의 보양식으로 토종닭 100마리를 기탁했다(이하사진/고흥군 제공)점암면장과 직원들은 점암면 분회경로당을 방문해 어르신 한 분 한 분께 카네이션을 달아드리며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전했다. 또한, 간식과 위문품을 전달하며 따뜻한 인사를 건네는 한편, 거동이 불편한 독거어르신 가정 3곳을 직접 방문해 안부를 살 ...
-
-
- 남도치유한식연구회 회장 장영애
- 전남인터넷신문 2025-05-02
- [전남인터넷신문]오월이 시작되었다. 오월은 ‘가정의 달’이라 불린다. 가정은 단지 가족 구성원이 한 지붕 아래 머무는 공간만은 아니다. 가정은 우리가 처음으로 공동체를 경험하고 배워나가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다. 부모와 자녀, 형제자매 사이의 관계는 그 어떤 조직보다 밀접하고, 그 안에서 협력과 양보, 책임과 사랑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이 공동체를 가장 잘 드러내는 일상은 ‘식사’다. 그리고 우리나라 가정의 식탁에는 늘 한식이 중심에 있다. 한식은 구조 자체가 공동체적이다. 서양 음식이 1인 1접시로 분리되어 제공되는 반면, ...
-
-
- 도봉구, 코로나19 마음방역 ‘심리상담 서비스’ 운영
- 뉴스케이프 2020-09-02
- [뉴스케이프=김민지 기자] 도봉구(구청장 이동진)는 코로나19 감염병 유행에 따른 구민들의 불안과 우울, 스트레스 극복을 위해 심리상담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코로나19 확진자와 자가격리자는 입원 치료 및 격리과정 중에 불안, 불면과 낙인, 우울감, 무기력 등의 심리적인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 일반 구민들 역시 코로나19 장기화로 스트레스, 무기력, 과도한 불안감을 경험할 수 있다.이에 구는 올해 2월부터 심리상담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7,800여건의 서비스를 제공했다. 심리상담 서비스 대상자는 확진자와 그 가족 ...
-
-
- 행복에 대한 오해
- The Psychology Times 2022-03-28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김주원 ]행복의 오해: 행복은 삶의 궁극적인 목적이다.행복은 당신에게 수단인가? 목적인가? 아마 많은 사람들은 행복을 '삶의 목적'으로 바라볼 것이다. 행복을 목적으로 둔 사람이라면 행복해지기 위해서 좋은 대학에 가고, 행복해지기 위해ㄱ서 좋은 회사를 취직하고자 하는 미래지향적인 생각을 하게 된다. 이런 목적론적 행복론에 기반한 보통의 사고를 뒤집는 책이 있다. 바로 서은국 교수의 저서 <행복의 기원>이다. 본 저서에서 서은국 교수는 행복은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라고 주장한다. 그 ...
-
-
- 나에게도 ‘쉬는 시간’이 필요해!
- The Psychology Times 2022-08-07
- [The Psychology Times=유지은 ]100세 인생이란 말처럼 우리 인생은 짧지 않다. 긴 인생을 찬란하게 가꾸기 위해 달리다 보면 한 번씩 지쳐 넘어질 때가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심리학 용어로 번아웃 증후군이라 지칭한다. 번아웃 증후군 일과 삶의 균형, 개인의 자유시간이 강조되는 현재 사회적 피로의 증가와 현실과 이상의 괴리감 등 사회적으로 지쳐 넘어지는 번아웃 증후군은 의욕적으로 일에 몰두하던 사람이 극도의 신체적, 정신적 피로감을 호소하며 무기력해지는 현상이다. 번아웃 증후군은 심리, 신체적인 극도의 피로감으로 인해 ...
-
-
- 홀로서기 심리학 (라라 E. 필딩 (Lara E. Fielding))
- The Psychology Times 2020-12-11
- 15년 이상을 임상심리학자이자 심리 상담가로서, 많은 이들의 문제를 살펴 온 전문가가 발견한 인간 삶의 핵심적인 문제! 바로 홀로서기이다. 그녀는 겉으로 드러나는 양상은 모두 달라도 마음속을 들여다보면 삶의 주도권을 지니지 못한 이들이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스스로를 부족하고 결핍된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겸손과는 다른데, 이와 같은 결핍을 잘못된 방식으로 충족시킨다고 한다면 우리는 반복적인 실패로 인한 무기력에 쉽게 빠져들고는 한다. 이렇게 홀로서지 못하는 사람들은 삶의 기준을 외부에 두는 경우가 많다. 그 ...
-
-
- “아무것도 하기 싫어…” 이런 나, 무기력증일까?
- The Psychology Times 2023-04-06
- [The Psychology Times=남혜원 ]무기력증이란? 전신적인 피로감과 집중력의 저하로 인해 간단한 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의미한다. 무기력증은 단순히 하기 싫은 일을 하고 싶지 않을 때 생기는 것이 아니다. 회사 업무, 공부, 심지어 취미 활동을 할 때에도 힘이 나지 않는 증상을 보인다. 이러한 무기력증이 찾아온 원인은 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번아웃이 왔을 확률도 높다. ‘번아웃 증후군’이란 의욕적으로 성실히 삶을 살아오던 사람이 갑자기 무기력 해져 정신적인 그리고 신체적인 만성적 피로감을 느끼며 전체적 ...
-
-
- 3월, 새 학기의 시작이 우울하기만 해
- The Psychology Times 2022-03-24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고다현 ] “나 개강하니까 갑자기 몸이 아프고 우울해. 개강 우울증 같아.”“개강 우울증? 그런 것도 있냐?ㅋㅋ 근데, 나도 개강하고 나서부터 무척 피곤해졌어.” 위 대화는 필자의 친구와 나눈 메신저 내용이다. 우스갯소리로 꺼낸 친구의 ‘개강 우울증’ 이란 단어가 필자의 궁금증을 불러일으켰다. 정말 친구의 말처럼 개강하니까, 기운이 축 빠지고 의욕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증상은 필자뿐만 아니라 꽤 많은 학생이 경험하고 있었다. 그런데, 문제는 학생들이 학기가 시작되고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