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741-750 2,263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I의 목소리도 들어줘!
- The Psychology Times 2025-04-15
- [한국심리학신문=김가은A ]한 조직이 성장할지 정체할지는 구성원들의 직무 태도에 달려있다. 직무 태도는 조직 성과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학계와 기업이 꾸준히 연구해 온 주제다. 조직행동 분야의 저명한 학자인 배리 M. 스타우(Barry M. Staw)는 개인의 기질과 성격이 직무 태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라 강조한다. 이에 따라 조직원들의 성격을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직무를 배정하는 것이 기업 성과를 높이는 핵심 전략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중에서도 Big 5 성격 특성 검사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이론으로, 심 ...
-
-
- 너무 싫은데 눈을 뗄 수가 없다.
- The Psychology Times 2025-05-23
- [한국심리학신문=유예림 ]한국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얼마나 가까이하고 살까? 2023년 6월부터 같은 해 8월까지 전국의 4천6백 가구에 거주하는 만 13세 이상 남녀 7,055명을 조사한 결과 2022년 대비 스마트폰 보유율은 1.4% 증가하여 총 94.8%가 되었다. 10대부터 50대까지는 무려 99%에 육박하는 보유율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면 이 많은 스마트폰 소지자들은 어떤 SNS를 얼마나 많이 사용하고 있을까? 2025년 2월 6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은 2024년 소셜미디어 이용자 조사에서 카카오톡 98.9%, 유튜브 84.9 ...
-
-
- 분명 아는데... 떠오를 듯 떠오르지 않는 단어들
- The Psychology Times 2025-04-16
- [한국심리학신문=이지언 ]“아는데! 그 배우 이름이 뭐였더라…...? ”혹은 “ 왜 그거! 단어가 기억이 안 나~” 일상생활 속 기억이 날 듯 말 듯, 분명히 아는 단어와 정보인데 혀끝에서 맴도는 단어들이 차마 입 밖으로 나오지 않는 순간들을 경험해 본 적 있을 것이다. 기억이 날 듯 말 듯 우리의 일상생활에서도 자주 보이는 이 현상. 바로 ‘설단현상’이다. 설단현상이 뭐야?설단 현상이란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어휘의 이름을 산출하려고 할 때 일시적으로 무엇인지 생각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어휘의 이름을 완전하게 떠올릴 수는 ...
-
-
- 나는 왜 '인기 있는' 사람이 되고 싶은가? (영화 <위키드>를 통해 알아보기)
- The Psychology Times 2025-01-15
- [한국심리학신문=윤재현 ]최근 개봉한 영화 <위키드(wicked)>는 2024년 개봉한 외화 흥행 영화 톱4에 오르며 큰 화제성을 모았다. 특히 영화에서 퀸카인 여자 주인공 글린다(Glinda)는 초록색 피부로 인해 또래 친구들에게 소외된 룸메이트 엘파바(Elphaba)에게 예쁘게 꾸며주겠다고 말하며 부른 ‘Popular’라는 넘버(노래)는 관객들 사이에서 큰 사랑을 받고 있다.<뮤지컬/영화 위키드 (wicked)의 Popular 中 일부>Popular! (인기 많아질거야!)You're gonna be popular! (넌 이제 인 ...
-
-
- 흑인의 백설공주와 인어공주, 우리는 여전히 디즈니에 열광하고 있는가
- The Psychology Times 2025-05-22
- [한국심리학신문=전세희 ]“내가 알던 공주가 아니야...”“원작에 대한 모욕이다”“디즈니는 언제나 봐도 향수같은 느낌이 들었는데...”2023년 5월, 디즈니는 실사화 한 인어공주를 영화계에 내놓았다. 디즈니를 좋아하는 한국이지만 국내 관객 수는 147만 명에 그쳤다. 이전 2019년에 많은 인기를 불러왔던 디즈니의 또 다른 작품인 ‘알라딘’이 1,258만 명을 기록한 것에 비하면 확연히 차이 나는 수치이다. 사실 상영 전부터 저조한 실적은 예견되어 있었다. 인어공주는 예고편의 발표를 시작으로 끊임없는 논란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S ...
-
-
- 소셜미디어의 '마인드셋' 열풍, 정말 효과가 있을까?
- The Psychology Times 2025-03-20
- [한국심리학신문=이종훈 ]최근 소셜미디어에서 자주 보이는 키워드 중 하나는 다름아닌 '마인드셋'이다. 인스타그램 릴스를 내리다 보면 "성공하는 사람들의 마인드셋", "긍정 확언(affirmation)으로 자존감 높이기", "단 5분으로 인생을 바꾸는 마인드셋 습관" 같은 콘텐츠가 무수히 쏟아진다. '#동기부여', '#자기계발' 같은 해시태그가 붙은 짧은 영상들은 몇 초 만에 사람들의 이목을 사로잡는다. 그러나, 이런 콘텐츠가 정말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는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까? 극히 단편적인 동기부여가 오히려 역효과를 내지는 ...
-
-
- 나 지금 너무 기뻐, 눈물 네가 나올 때가 아니란 말이야!
- The Psychology Times 2025-04-29
- [한국심리학신문=정세현]우리는 슬프거나 힘들 때, 답답한 마음에 눈물을 흘리곤 한다. 그래서 "눈물" 하면 자연스럽게 "슬픔"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너무 기쁘거나 감격스러울 때도 우리는 눈물을 흘린다. 오랫동안 간절히 바라던 일이 이루어졌을 때, 혹은 예상치 못한 위로를 받았을 때, 우리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이 밀려오면서 눈물을 흘리게 된다. 슬프지 않고 오히려 너무 행복한 순간인데도 말이다. 기쁘고 감격스러울 때 우리는 왜 눈물을 흘릴까?눈물이 나오는 원리눈물은 눈의 바깥쪽 위에 위치한 눈물샘에서 ...
-
-
-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는 그놈
- The Psychology Times 2025-03-18
- [한국심리학신문=이지언 ]아쉽게 끝나버린 인간관계, 이루고 싶던 꿈, 사지 못한 물건. 이미 지나가 버린 것들이지만 우리의 머릿속에선 여전히 선명하다. 우리의 마음속에서 계속해서 살아가며 차마 쉽게 버리지 못하고 계속 생각하는 것들이 있다. 이러한 감정은 점차 깊어져 집착으로 변하기도 한다.집착이란 어떤 것에 대해 계속 얽매여 잊지 못하고 계속해서 마음이 쓰이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일상 속에서 의식하지 못한 상태로 집착하곤 한다. 사람, 일, 과거의 기억, 자신에 대한 기대 등 여러 면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 많은 ...
-
-
- 국제 정치의 이모저모-정치 현상에도 심리학이 있다
- The Psychology Times 2025-02-05
- [한국심리학신문=허정윤 ]전 세계적으로 복잡한 인간 군중 심리의 실상이 잘 드러나는 것 중 한 분야는 바로 ‘정치‘라고 할 수 있다.최근의 이슈들만 봐도 계속되는 북한 김정은의 핵 위협, 이스라엘 네타냐후 총리의 팔레스타인 탄압과 그에 대응하는 아랍 세계의 여러 국가와 무장 단체들, 우크라이나를 선제공격한 러시아 푸틴 대통령, 과격한 발언들로 재선에 성공한 미국 트럼프 대통령 등 크고 작은 일들에서 국제 정치의 주요 지도자들의 심리를 면밀히 살필 수 있다.국제 정치 심리학국제 정치는 지도자들 혹은 국민들, 국가들의 상황에 따라 예상 ...
-
-
- 범죄자의 뇌를 탐험하다
- The Psychology Times 2025-04-07
- [한국심리학신문=이윤서 ]신경과학과 범죄 행동 이해범죄 행동은 단순한 개인의 선택이나 도덕적 결함으로 설명할 수 없는 복잡한 현상이다. 다양한 사회적, 심리적, 생물학적 요인이 얽혀 있으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신경과학은 범죄 행동의 원인을 탐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뇌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여 범죄자의 심리적 특성과 행동 패턴을 분석하는 데 기여한다. 신경과학적 접근은 여러 방식으로 범죄 심리학에 기여한다. 첫째, 범죄자의 뇌 기능과 구조를 분석하여 특정 범죄 행동의 생리적 요인을 규명할 수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