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1-10 16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용인시, 농서근린공원 유휴공간에 철쭉 2만본 심어
- 경기뉴스탑 2021-05-24
- 농서근린공원 내 유휴공간에 철쭉 2만본이 식재됐다.(사진=용인시 제공)[경기뉴스탑(용인)=박찬분 기자]용인시는 24일 기흥구 농서동 농서근린공원 내 유휴 공간에 철쭉 2만본을 심었다고 밝혔다. 공원 내 방치된 공간의 활용 방안을 찾고, 주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공원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도시숲 리모델링 사업’의 일환이다. 이 공원은 서천지구 내 공원과 녹지를 연결하는 둘레길 구간으로 경사가 심하지 않아 이용하는 주민이 많은 곳이다. 시는 경기도 도시숲 리모델링 사업비 등 시·도비 3억원을 투입, 공원 내 유휴공간 3000㎡에 산철쭉 ...
-
-
- 나주 문화 들춰보기: 조선 시대와 과거 나주에서 쪽 재배법
- 전남인터넷신문 2021-10-05
- [전남인터넷신문]조선 후기 농학서에 기록된 쪽의 재배법은 근대의 쪽 재배법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조선 후기 농학서인 색경(穡經, 조선 숙종 때의 문신인 박세당이 지은 농서), 산림경제(山林經濟, 조선 숙종 때 실학자 홍만선이 엮은 농서 겸 가정생활서),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 영조 42년 유학자 유중림이 홍만선의 ‘산림경제’를 늘리고 보충하여 간행한 농업책), 해동농서(海東農書, 8세기 후반에 서호수 편찬한 농서)의 재배법을 종합해 보면 음력 3월에 파종→5월에 정식→7월에 수확, 쪽즙 만들기→ ...
-
-
- 나주읍성 순대와 술지게미
- 전남인터넷신문 2024-11-26
- [전남인터넷신문]순대(sundae, soondae)는 한국의 음식으로, 돼지의 창자에 채소나 당면을 비롯한 각종 속을 채우고 선지로 맛과 색깔을 낸 후 수증기에 쪄내어 만든 음식으로 남한과 북한에서 모두 인기 있는 분식이다. 순대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 중국 북위(北魏)의 고양(高陽: 山東省) 태수(太守) 가사협(賈思勰)이 532-549년 경에 펴낸 종합적 농서(農書)인 《제민요술(齊民要術)》에 양 피순대와 양고기 순대 그리고 선지 순댓국에 대한 조리법이 등장한다. 산둥(山東) 지역은 지리적으로 한반도와 가깝고, 그 당시 고구려 ...
-
-
- 나주 문화 들춰보기: 집장의 유래와 발전
- 전남인터넷신문 2021-12-10
- [전남인터넷신문]은 만들 때 부재료로 가지, 오이, 무, 고추, 등의 채소를 혼합하여 담금을 하는 장이다. 담글 때 채소가 사용되기 때문에 장아찌류와 비슷하지만 제조법이 다르고 담금원도 함께 식용한다는 측면에서 장아찌와 다르다. 식용측면에서는 간장, 된장, 고추장, 청국장 등의 장류(醬類)가 일반적으로 조리 재료나 조미료로 사용되는 것에 비해 은 그대로 반찬으로 이용된다. 따라서 독자적인 고유성을 가지는 장류의 하나이다. 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조선 중기 안동에서 살았던 김유(金綏, 1481-1552)가 1540년경에 지은 전통 조 ...
-
-
- 순천 웃장 5일장에 나온 고비
- 전남인터넷신문 2022-05-06
- [전남인터넷신문]전남 전통 시장에서 유통되는 나물류의 종류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다. 올 4월 1일부터 전남 각 지역 5일장에서 유통되는 산나물류를 조사한 결과 10여 종을 넘지 않았으며, 산채에 의한 것들은 과거보다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달(2022년 5월) 5일 순천 웃장 5일장에 나온 산나물류를 조사한 결과 고사리, 돌나물, 비비추, 달래, 쑥부쟁이, 두릅, 산부추, 참취가 주종으로 15년 전에 조사했을 때에 비해 종류 수가 1/2로 줄었다. 그런 가운데 담양을 제외한 5일장에서 볼 수 없었던‘고비’를 판매하는 곳이 ...
-
-
- 금천구, `녹색도시 금천`을 더욱 푸르게…숲과 계곡의 향기 담은 오미생태공원 조성
- 서남투데이 2024-11-27
- `오미생태공원` 조성사업은 자연과 공존하며 발전하는 `녹색도시 금천`을 만들어 나가기 위한 `그린 SOC 확충`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구는 총 사업비 48억 원을 들여 100개의 매력 있는 정원 `백인백향기원`, 물어귀 쉼터, 황톳길, 장미정원 등을 조성해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권공원 면적을 확충했다. 공원의 이름인 오미(五美)는 조선 성종 때 문신 강희맹의 핵심 사상인 오상(인의예지신)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시흥계곡에서 느낄 수 있는 숲, 꽃, 흙, 사람, 물 등 5가지 향기를 통해 정원의 매력을 높이고자 이름을 붙였다. ...
-
-
- 관악구, 도시농업 복합공간 '강감찬 도시농업센터' 개관
- 뉴스포인트 2021-05-27
- [뉴스포인트 김용호 기자] 관악구가 26일, 서울 남부권을 대표하는 도시농업 복합시설 ‘강감찬 도시농업센터’를 개관했다고 밝혔다.‘강감찬 도시농업센터’는 총 사업비 25억 원을 투입해 지난해 5월부터 올해 1월까지 봉천동 253-8번지(낙성대동) 일대에 건립한 연면적 905m², 지상 2층 규모의 온실 복합형 건축물이다.‘강감찬 도시농업센터’라는 명칭은 지난해 10월 실시한 주민 공모 총 459건의 명칭 중 명칭심사위원회를 거쳐 최종적으로 선정된 것으로, ‘강감찬 도시, 관악’의 도시 브랜드와 잘 조화되고 주민들에게 친숙하다는 평가 ...
-
-
- 나주 문화 들춰보기: 나주에서 재배된 쪽의 종류
- 전남인터넷신문 2021-09-24
- [전남인터넷신문]인디고 식물에 대한 한국 고유어는 쪽(Jjok)이다. 식물명 쪽의 유래는 불명확한 가운데, 쪽(Jjok)은 인디고 식물 가운데, 요람(蓼藍, Polygonum tinctorium)만을 지칭하는 이름으로 많이 사용된다. 인디고 염료와 인디고 색 등을 가리킬 때는 재료로 사용된 인디고 식물의 종류와 관계없이 쪽염료(Jjongmul), 쪽색(Jjoksaek), 쪽빛(Jjokbit)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쪽(蓼藍, Polygonum tinctorium)이 재배되고 있으나 인디고 식물은 세계 각지에 ...
-
-
- 나주 문화 들춰보기: 나주 쪽염색 발달 배경이 된 풍부한 조개류와 물
- 전남인터넷신문 2021-09-27
- [전남인터넷신문]우리나라에서 쪽 염료를 만들 때 반드시 필요한 것 중의 하나가 석회류이다. 쪽 염료르 만들기 위해 쪽식물을 물에 담가 놓았다가 꺼낸 후 이 추출액에 소석회를 넣고 교반하면 인독실(indoxyl)이 공기 산화되어 인디고로 변화되어 목적으로 하는 니람(泥藍)이 생성된다. 쪽 추출물에 석회를 넣으면 벤젠 1개를 갖는 인독실이 알칼리 조건하에서 공기산화에 의해 벤젠환 2개를 갖는 인디고로 변화된다. 그러므로 이때 투입하는 석회의 품질은 니람의 품질이나 수량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과거 우리나라에서 니람 제조 시 석회의 사용 ...
-
-
- 순천시, 혁신농업인센터 개관
- 전남인터넷신문 2022-11-21
- [전남인터넷신문/김동국 기자]순천시(시장 노관규)는 21일 혁신농업인센터(지현길 96)를 개관했다. 혁신농업인센터는 기존의 덕월동 농업교육관이 지은 지 33년이 지나 시설이 노후되어 교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농촌진흥청 사업에 공모해 건립했다. 연면적 1490㎡, 지상 3층 규모다. 총 39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시설은 200석 규모의 대강당, 실습교육장과 정보화교육장, 최근 소비업계에서 각광받고 있는 라이브 방송국 설비도 갖추었다. 2층에는 농업인단체 사무실과 회의실, 농서북카페를 설치해 농업인 및 농업단체 간 소통과 공유의 ...
-
1
2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