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1-10 194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공허함과 상실감
- The Psychology Times 2024-07-29
- [한국심리학신문=신동진 ]얼마전 지인이 갑작스럽게 심도 깊은 질문을 해왔다. ‘공허함과 상실감은 어떻게 구별하나요? 어떤 것이 더 깊은 감정인가요?'라고. 가벼운 질문을 할 줄 알았는데 꽤나 어려운 주제의 질문이라 순간적으로 말문이 막힐 뻔 했으나 그래도 최선을 다해서 답했다. ‘공허함은 더 어릴 적에 형성되는 깊은 감정이고 상실감은 그것보다는 조금 더 얕은 감정이에요. 그래서 대체로 공허함은 더 극복하기가 어렵고 반복적으로 찾아오는 경향이 있죠.’라고. 지인이 나름 수긍하는 듯하였으나 헤어지고 나서 혼자서 생각을 해보니 충분한 답 ...
-
-
- 죽음과 애도, 복합적 비애와 지속적 비애 장애
- The Psychology Times 2024-11-26
- [한국심리학신문=박소영 ]“저자는 사별 이후의 감정적 과정을 크게 비애와 애도로 구분한다. 비애는 상실을 맞닥뜨린 인간의 뇌가 해결해야 하는 고통에 관한 감정 상태이고, 애도는 누군가가 사라진 상태에서 세상을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과정이라고 저자는 정의한다.”- 유원모 기자, 동아일보지난 기사 동안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낸 후 애도하며 겪는 여러 감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많은 사람들이 말하듯, 이별 후 상실감은 끝날 것 같지만 끝나지 않는 경험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하지만, 과연 이러한 상실감의 끝을 정말 볼 수 없는 막막한 순간 ...
-
-
- [심리 현상] 자녀를 떠나보낸 부모의 슬픔 '빈 둥지 증후군'
- The Psychology Times 2021-04-02
- 얼마 전, 하나밖에 없는 딸을 시집보낸 B(55세)씨는 요즘 들어 이상하게 마음이 공허하다. 17년 전에 일찍이 남편을 떠나보내고, 자식만 바라보며 악착같이 살아왔는데 막상 당신 손을 떠나보내고 나니 하루하루가 외롭고 슬프기만 하다. B씨는 현재 빈 둥지 증후군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빈 둥지 증후군이란 자녀가 독립하여 집을 떠난 뒤에 부모나 양육자가 경험하는 슬픔, 외로움과 상실감을 뜻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 현상으로, 가정 내에서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주 양육자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라고 판 ...
-
-
- 남겨진 사람들의 슬픔과 아픔들
- The Psychology Times 2022-04-07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노주선 ]즐거운 여행길에서 불의의 사고로 고인이 되신 분들의 명복을 빕니다.그리고 그로 인하여 큰 슬픔과 아픔을 겪고 계신 유가족 분들에게 진지한 위로를 드립니다.그분들의 슬픔과 아픔을 조금이나마 공감하고 위로하는 마음으로 부족한 글을 바칩니다.살다 보면 예상치 못한 사건으로 소중한 사람들을 떠나보내는 일들이 있습니다. 최근 헝가리에서 발생한 사고가 그러하며, 혹은 다양한 이유로 충분히 준비되지 않은 채 소중한 사람들을 떠나보내게 되는 경우도 이에 해당합니다.제 직업 상 이런 분 ...
-
-
- 중대본 "경북·경남 산불 주불 모두 진화…범정부 이재민 구호 등 만전"
- The Psychology Times 2025-03-31
-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장관 직무대행)은 30일 "지난 21일부터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은 관계기관의 총력 대응 끝에 경북은 지난 28일에, 경남은 10일 만인 오늘 주불이 모두 진화됐다"고 밝혔다.고 본부장은 이날 오후 경북도청에서 주재한 '울산·경북·경남 산불대응 중대본 제9차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이번 산불은 인명과 재산 피해 모두에 있어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같이 설명했다.그러면서 "피해지역에 머물며 이재민과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있다"며 ...
-
- 사랑의 상처, 이별 극복법은?
- The Psychology Times 2023-05-26
- [The Psychology Times=노주선 ]1. 사랑해서... 아프다...사랑은 인간이 경험하는 감정 중 가장 강렬한 감정 형태이다. 누군가에게 호감을 가지고 좋아하기 시작하며, 서로의 시간과 심리적 공간을 나누며 사랑은 더 깊어진다. 그리고는 어느새 서로 간에 심리적 영역, 즉 감정과 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존재로 자리 잡게 된다. 사랑 속에서 만족과 즐거움을 얻으며, 행복을 경험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긍정적 감정들은 다른 생활 상의 영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한참 열애 중인 사람은 굳이 얘기를 ...
-
-
- 죽음과 애도, 감정의 변화에 대한 이해
- The Psychology Times 2024-11-21
- [한국심리학신문=박소영 ]사랑하는 사람, 가족, 친구, 지인을 떠나보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상담 속에서 볼 수 있듯이, 사랑하는 사람을 잃으면서 느끼는 상실감, 비통함, 그리고 슬픔은 잠깐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평소 즐겼던 일들에 더 이상 기쁨을 느끼지 못한다거나 그리고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현상을 경험할 수 있다. 큰 상실감에 빠져 많은 사람들이 우울증의 증상을 겪는데, 놀랍게도 이는 애도의 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부정, Denial부정이란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몸과 마음이 감당 ...
-
-
- 빈 둥지 증후군
- The Psychology Times 2024-12-24
- [한국심리학신문=박소영 ]가정마다 다르지만, 보통 대학이나 취업을 하고 자녀들은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함께하던 부모 곁을 떠나 자취를 시작하며 독립한다. 20몇년간 삶을 함께했던 부모님께 자녀들의 독립은 당연하고 대견한 듯 느껴질 수 있지만, 마음 한편이 헛헛하고 속상해지는 분들도 계신다. 이러한 증상을 바로 빈 둥지 증후군 (Empty Nest Syndrome)이라고 한다. 보통 40대에서 60대에서 흔하게 나타난다고 하며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 빈 둥지 증후군을 경험하는 부모들이 43% 정도 있었다고 한다 (Song ...
-
-
- 자녀의 독립 후 나타나는 상실감 - 공소증후군
- The Psychology Times 2022-12-07
- [The Psychology Times=선수민 ]지난 기사걱정이 많으면 독이 된다: 램프 증후군악플러의 심리 - 그들은 왜 악플을 다는가이게 다 날 사랑해서 그러는거라고?웃고 있어도 우울해요 - 스마일마스크 증후군이솝우화로 알아보는 방어기제:합리화 ...
-
-
- 자살 줄이는 것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가족·친지에 대한 배려
- The Psychology Times 2021-12-10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성열 ]“아들이 우울증이 있고 병약한 편이었지만 이렇게 제 곁을 훌쩍 떠나 버릴 줄을 꿈에도 생각을 못했습니다. 금방이라도 문을 열고 ‘엄마’하고 달려올 것 같은 느낌에 사로잡힐 때가 많습니다. 저는 아들이 죽음과도 바꿀 만큼 고통스러워 했는데도 엄마가 전혀 도움이 되지 못했다는 것에 대해 죄책감에 사로잡혀 있습니다. 교회에 가서도 기도가 잘 안됩니다. 교인들이 위로해 주는 말이 오히려 상처가 될 때도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 만나는 것이 두려워 혼자 집에서 울 때가 많습니다.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