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기간
  • 언론사
    언론사 전체보기
  • 기자명

    기자명

    기자 내 포함 단어

  • 옵션유지
  • 상세검색
    신경가소성

    기본검색의 결과 범위를 줄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여러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쉼표(,)로 구분해서 입력하세요.

    도움말 초기화

뉴스

1-7 7

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신연우
    뇌가 바뀐다고?
    The Psychology Times 2025-05-27
    [한국심리학신문=신연우 ]신경가소성이란?뇌는 끊임없이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행동을 변화시키고 영향을 주는 동시에, 이러한 행동 패턴과 환경적 영향에 의해 다시 형성되는 적응 가능한 시스템이다. 이러한 상호작용적 관계는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이라는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는데, 이는 뇌가 내부적 혹은 외부적 변화에 반응하여 그 구조를 수정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신경가소성은 뉴런 간의 시냅스 연결이 형성되거나 해체되는 과정을 통해 일어난다.신경가소성은 크게 기능적 가소성(functional plasticity ...
  • 권주영
    과학이 밝혀낸 뇌와 몸을 변화시키는 마음챙김 명상의 효과
    The Psychology Times 2025-06-26
    [한국심리학신문=권주영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는 끊임없는 스트레스와 불안감 속에서 살아간다. 과도한 업무, 복잡한 인간관계,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등 셀 수 없이 많은 스트레스가 우리를 짓누른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단순한 피로감을 넘어, 집중력 저하, 만성적인 불안, 심지어 신체 건강 문제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 가운데, 마음챙김 명상이 스트레스 해소를 넘어 우리의 뇌와 몸에 긍정적인 생물학적 변화를 일으킨다는 과학적 연구 결과들이 주목받고 있다.과연 마음챙김 명상이 어떻게 우리의 생물학적 시스템을 변화시킬 수 있을까? 이번 ...
  • 김혜령
    우울과 분노에 잡아먹히지 않으려면
    The Psychology Times 2022-09-05
    [The Psychology Times=김혜령 ]기질을 이기는 뇌의 유연성안타까운 소식과 희망적인 소식을 하나씩 알려드리겠습니다.안타까운 소식은 상대적으로 심리적으로 취약한 사람들이 분명히 있다는 겁니다. 똑같이 슬픈 일을 겪더라도 우울의 강도가 더 높고, 공감능력이 높아서 남의 고통까지 내 고통으로 느끼고, 감정의 동요를 더 크게 느끼는 사람들이죠. 자존감이 낮은 것도 여기에 영향을 줄 것이고요. 아무튼 외부의 자극에 대한 반응이 훨씬 민감하게 일어나서 상대적으로 사는 게 녹록지 않은 분들이 분명히 있습니다. 저도 거기에 속합니다 ...
  • 김도완
    우리 아이가 더 행복하게 살았으면 하는 마음에
    The Psychology Times 2025-04-14
    [한국심리학신문=김도완]중학교 당시, 우리 동네는 체벌이 사라지고 있었지만 여전히 남아 있기도 했다. 그중 한 선생님은 자신의 키의 절반만 한 크기의 각목을 들고 다녔었다. 학교에 다닌 지 얼마 안 됐을 4월 무렵 반에서 잘못한 친구가 있으면 본보기로 모두의 책임이라는 말씀과 함께 커다란 각목으로 엉덩이를 맞았다. 그때를 생각하면 여전히 억울함만이 남아있다. 아직도 체육대회 당시 점심을 선생님과 반 친구들이 함께 먹었는데, 용기 있는 친구들만 바로 옆 친구에게 조용히 장난을 쳤고 그 외에는 아무도 대화하지 않고 밥만 먹었던 기억이 ...
  • 박정훈
    트라우마, 극복의 심리학(에디스 시로 지음)
    The Psychology Times 2024-12-26
    홀로코스트 생존자 3세대로 9·11 테러, 서프사이드 건물 붕괴 사건 등국제 PTSD 치료 프로그램에 공헌하며 트라우마 센터 설립한 에디스 시로 25년에 걸친 트라우마 다학제적 연구 결과를 집대성한 역작 PTSD 사회 국내 최초 선보이는 강력한 트라우마 치유 모델 PTG 5단계 ♛아마존 베스트셀러 ♛6개국 베스트셀러 ♛펜 크래프트 어워드 ♛인디펜던트 퍼블리셔 북 어워드 ♛임팩트 북 어워드 ♛라티노 북 어워드 조예은(작가) · 하지현(정신과 전문의) · 강남(뮤지컬 작가) 추천책 소개세월호 참사, 이태원 핼러윈 비극… 반복되는 집단 ...
  • 박지우
    내 나이가 어때서: 우리 사회가 노인을 바라보는 방식
    The Psychology Times 2024-02-26
    [The Psychology Times=박지우 ]“전 서른 살 넘으면 자살할 거예요. 뭘 구질구질하게 칠팔십까지 살아요?” 영화 <수상한 그녀>의 도입부 中 한 여학생이 대학 교양시간에 무심코 툭 던진 말이다. 청자 입장에서는 무슨 말을 저렇게 심하게 할까라는 생각이 절로 들게 만든다. 그러나 이는 오늘날 한국 사회가 노인을 바라보는 시선과 태도를 가장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사이기도 하다. 우리가 보통 노인을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이미지는 ‘느리다’, ‘나약하다’, ‘쓸데가 없다’ 등의 부정적 속성이 강하다. 이러한 현상은 ...
  • 배윤정
    [한국상담심리학회 교육연수위원회] 2022년 7월 하계 교육연수 안내
    The Psychology Times 2022-06-10
    [The Psychology Times=배윤정 ]2022년 7월 하계 교육연수 안내지난 동계 교육연수에 이어 상담 및 심리치료의 핵심 개념이자 다양한 정신병리의 근원으로 알려진 ‘애착 트라우마’에 대한 다각적 이해와 치료 방안 강구를 위해 본 하계 교육연수에는 ‘감각운동 심리치료’와 ‘정신화 기반 상담’ 을 마련하였습니다. 학회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본 연수도 COVID-19 상황을 고려해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할 예정입니다.감사합니다.1. 주제 : 애착 트라우마 상담의 실제2. 세부 프로그램 7월 1일 (금)7월 ...
1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