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기간
  • 언론사
    언론사 전체보기
  • 기자명

    기자명

    기자 내 포함 단어

  • 옵션유지
  • 상세검색
    프로이트

    기본검색의 결과 범위를 줄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여러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쉼표(,)로 구분해서 입력하세요.

    도움말 초기화

뉴스

111-120 135

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서민서
    동양 최고의 문학 작품, 석가모니의 생애
    The Psychology Times 2022-12-10
    [The Psychology Times=서민서 ]불교에서 '붓다'는 '깨달은 자'라는 의미로 진리를 깨달은 성인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그리고 최초의 붓다는 모두가 알고 있다시피 불교의 창시자 석가모니이다. 불교 신자가 아니라면, 오늘날 석가모니가 왜 성인으로 추대받는지, 그의 가르침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관심 있는 사람들을 위해, 석가모니의 생애를 소개하려고 한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석가모니의 생애는 다양한 지혜와 깊은 의미를 담은 비유로 가득 찬 이야기라는 점을 알게 될 것이다.1. 영적 지도자가 될 운명을 타고 ...
  • 김성우
    그들은 왜 카메라를 꺼내들었는가?
    The Psychology Times 2022-10-13
    [The Psychology Times=김성우 ]기사에 앞서, 이 기사를 통해 언급되는 사건들의 가해자가 모두 심리적 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단정 짓는 것은 아닙니다. 이 기사는 몰카(몰래카메라)를 이용해 이성의 노출을 보려 한 행동을 심리적으로 봤을 때 어떻게 설명되는가를 다룬 기사입니다.끊이지 않는 몰래카메라 2번의 연세대 의대생 몰카 사건, 아주대 의대 몰카 사건.올해만 해도 벌써 세 번째 몰카 사건이다. 이러한 몰래카메라 사건은 비단 최근의 문제만은 아니다.1997년에 서울 신촌에 위치한 그레이스 백화점의 3층 화장실 천장에서 ...
  • 이예빈
    우리는 왜 유난히 '더글로리, 모범택시' 등에 빠져들까?
    The Psychology Times 2023-04-27
    [The Psychology Times=이예빈 ]"너 더글로리 봤냐? 완전 사이다더라...""그게 뭔데? 난 넷플릭스 안 봐"라고 말했던 필자가 넷플릭스 구독까지 하게 만든 드라마.최근 대한민국을 뒤흔들었던 넷플릭스에서 방영된 화제의 드라마 '더글로리' 대사 중 문동은(송혜교)의 대사이다. 문동은은 극 중 학교폭력 피해자의 역할로 가해자들을 복수하는 캐릭터로 그려진다. 해당 대사는 피해자에게 전하는 대사로 일명 '사이다'라는 명대사를 자아냈다. 드라마 '더글로리'의 스토리 테마는 '복수'이다. 더글로리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
  • 장철우
    이보영의 창의성은 "질보다는 양이다"
    The Psychology Times 2023-12-04
    [The Psychology Times=장철우 ]고아인(이보영 역)은 흙수저에 지방대 출신, 부모 없이 혼자서 독학으로 일하고 공부해서 대기업 VC그룹의 광고 대행사인 VC기획에서 최초 여성 상무가 된 입지전적 인물이다.비록 회장딸 강한나(손나은 역)를 위한 카펫 역할로 1년짜리 한시적인 임원이었지만 그녀는 이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여 정적인 최창수 상무(조성하 역)와 한판 대결을 펼치면서 VC그룹의 후계 구도 전쟁에서 활약을 하며 그룹의 중심부로 들어가게 되는데...이런 주인공 고아인이 어떻게 지방대 흙수저에서 최고의 광고전문가로 ...
  • 정세영
    위대한 개츠비를 통해 알아보는 방어기제
    The Psychology Times 2023-06-19
    [The Psychology Times=정세영 ]한 이솝우화가 있다. 주인공인 여우는 길을 가다 나무에 매달린 포도를 발견하고 이를 먹기 위해 여러 번 점프를 시도한다. 그러나 여우의 손은 포도에 닿기에는 턱없이 짧았고, 이후 그 자리를 떠나면서 “저 포도는 너무 시어서 맛이 없을 거야.”라고 말을 덧붙인다. 과연 포도는 맛이 없었을까? 분명히 여우는 포도가 맛있어 보였기 때문에 점프하였다. 그러나 자신이 포도를 따지 못했다는 현실을 인정하고 싶지 않아서, 실패를 받아들이지 않기 위해 핑계를 만들어 스스로 합리화한 것이다. 필자는 ...
  • 정연수
    난화로 알아보는 나의 무의식
    The Psychology Times 2023-08-03
    [The Psychology Times=정연수 ]난화란 영어의 ‘scribble‘을 번역한 ’긁적거리기‘란 의미를 가지고 있는 말로 미분화 내지 유아의 단계에서 볼 수 있는 착화의 상태를 일컫는 것이다.대부분 만 2세에서 5세까지 인간 발달 단계에서 난화기로 보는데, 이 시기에는 유아의 운동 신경 조절에 대한 욕구의 표출이라는 점에서 초기의 난화 형식은 아무런 목적의식이 없는 놀이가 되는 동시에 곧 그들의 정서나 희열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난화는 유아의 미분화 단계에서 볼 수 있는 착화상태를 말하며, 그리기 도구로 종이 위 ...
  • 스테르담
    13화 동기와 욕구가 이끄는 삶
    The Psychology Times 2022-01-03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스테르담 ]Part2. 사람 공부가 필요하다 #2사람들은 하루 동안 얼마나 자신의 행동을 바라볼까?24시간을 관찰자 입장에서 자신을 본 적이 있는가? 또는 주관적이라 하더라도 내가 하는 모든 행동에 대해, '왜 그랬는지?'에 대해 100% 설명할 수가 있을까?아마, 우리는 다른 사람의 행동을 더 눈여겨볼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다른 사람의 행동에 대해 평가하고 왜 저러는지에 대한 이유를 곱씹어대기 일쑤다. 물론, 이러한 다른 사람에 대한 행동 관찰도 띄엄띄엄 부분적이다. 부분이나 ...
  • 스테르담
    우리가 알게 모르게 표현하고 있는 것들
    The Psychology Times 2024-01-16
    [The Psychology Times=스테르담 ]마음과 욕구는 송곳을 닮았다.마음은 송곳을 닮았다.아니, 정확히 말하자면 우리의 욕구가 그렇다. 주머니 속 송곳은 언젠간 옷을 뚫고 나온다. 뾰족한 그 끝은 잠시 숨겨지는 듯 하지만, 이내 그 본색을 드러내고 있다. 송곳은 그 쓰임새가 명확하지만, 시도 때도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은 아니다. 필요할 때 쓰이면 그것은 도구가 되지만, 그러하지 않을 때 그 뾰족함이 도사리면 그것은 흉기가 된다.송곳을 주머니에 넣는 그것을 우리는 '억압'이라 비유할 수 있다.우리 마음은 시도 때도 없 ...
  • 지성용
    ‘보스’는 사라지고, 역사는 기억한다
    가톨릭프레스 2023-06-22
    프로이트의 ‘정신분석’과 C.G.융의 ‘분석심리학’을 통한 인간 마음 치료의 시작은 ‘기억’하는 일이다. 즉, 과거의 것을 ‘기억’하는 작업이 치료의 시작이다. 그 다음은 내담자가 말하게 한다. 자신의 기억을 말하게 하고, 상담자는 그 기억이 만든 불안과 분노, 그리고 우울을 안전하게 표현하도록 돕는다. 과거의 불편한 기억들은 내담자와 그 가까운 이들이 ‘지금 여기’ 현재를 온전히 살아가지 못하게 하며 장애(disorder)를 만들고, 때로는 지옥을 만들기도 한다. 그리고 그의 ‘미래’마저도 절망으로 만들어 살아갈 의미와 가치를 숨 ...
  • 한민
    선진국 콤플렉스(complex)
    The Psychology Times 2022-01-04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콤플렉스란 정신역동이론의 용어로서, 어떤 대상에 대한 여러 감정과 동기가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힘을 말합니다.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대표적인 예인데요. 남자아이가 어머니에게 갖는 성적(性的)인 욕망 정도로 단순히 알려져 있는 이 개념은 사실,남자아이의 어머니에 대한 욕망, 어머니의 남편인 아버지에 대한 적대감과 질투, 자신의 욕망을 눈치챈 아버지가 자신을 해칠 지 모른다는 두려움, 이 두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동일시의 욕구 등이 뒤얽혀 있는, 말 그대로의 복합(co ...
10 11 12 13 14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