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151-160 8,755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나를 믿는다는 것
- The Psychology Times 2022-06-29
- [The Psychology Times=스테르담 ]한국을 감동시킨 혼잣말젊은 펜싱 선수가 올림픽에서 혼잣말로 국민에게 감동을 준 적이 있다.결승전 도중, '나는 할 수 있다'라고 홀로 읊조리는 모습이 화면에 잡힌 것이다. 실제로 그 선수는 남자 에페 개인전 결승에서 상대를 꺾고 1점 차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세계랭킹 21위의 젊은 검객이 랭킹 3위 헝가리 선수를, 그것도 대역전극으로 이긴 그 상황은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없지만) 자기 확신의 영향이 컸다고 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았다.물론, 금메달을 따지 못했더라도 그 선수의 혼 ...
-
-
- 내가 나를 상처내는 '자기비난'
- The Psychology Times 2023-12-18
- [The Psychology Times=김혜령 ]과연 자신을 아프게 하고 싶은 사람이 누가 있을까요. 하지만 많은 분들이 스스로를 할퀴고 찌르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건 바로 '자기비난' 때문이죠. 엄격한 기준 때문에 스스로를 채찍질하고, 기대를 채우지 못하는 자신을 보며 비난하고 비하합니다. 그러는 동안 우리 마음은 어떨까요. 쿨한척, 씩씩한척 하고 있지만 마음은 쪼그라들고 있어요. 아파하고 위축되어 있죠. 그런데 그 비난의 목소리가 어디서 왔는지 생각해 보셨나요? 나를 아프게 하는 그 채찍질이 처음부터 내 것은 아니었답니다. 그 ...
-
-
- 진정한 자기존중감을 가지는 방법
- The Psychology Times 2021-05-24
- 제 직업 상, 다른 사람들에게는 잘 안 드러내는 한 개인의 깊이 있는 내면을 보게 됩니다.세상의 일반적 기준에서 보면 잘 나가고 인정받고 있어 세상 부러울 것 없을 것 같은 사람이 알고 보면 불안정하고 취약한 자신감과 자기존중감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이와 같은 경우 겉모습과는 달리 내면에서는 끝도 없이 불안해하고 전전긍긍하게 됩니다.역으로 어떤 사람의 경우에는 평범한 생활인처럼 보였으나 그 내면은 아주 건강하고 안정적인 자기존중감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일상적 상황에서는 크게 다를 바 없어 보이나 상황적 스트레스가 증가하거 ...
-
-
- 나쁜 x에게 끌리는 이유
- The Psychology Times 2024-03-04
- [The Psychology Times=김민지 ]스스로에게 도취된 모습을 타인에게 숨기지 않는, 언뜻 보기에 무척 매력적으로 느껴지는 ‘나쁜 x’들. 이들을 제외하고 나면, 세상에는 두 부류의 사람들이 남는다.나쁜 x의 자기중심적인 성향을 빠르게 알아차린 뒤에 그들과 거리를 두는 사람들. 그리고 마치 자석처럼 나쁜 x에게 더욱 강렬하게 끌리는,'당신 같은' 사람들.당신이 사랑했었던, 혹은 사랑하고 있는 연인이 ‘나쁜 x’ 즉,‘나르시시스트’ 라고 한다면, '당신'은 그들에게 끌릴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1. 도파민 중독 : "자극, ...
-
-
- 혼자 있고 싶은데 혼자 있는 게 싫어
- The Psychology Times 2023-06-13
- [The Psychology Times=김민지 ] 여기 사회적으로 성공한 여러 명의 사람들이 있다. 열심히 살아왔고, 많은 사회적 성과를 이뤘다. 그런데 그들 모두 입을 모아 말한다. “아무리 열심히 채워 넣어도 공허해요.” 그들 모두 내면에 밑 빠진 독이라도 든 것처럼, 늘 어딘가 채워지지 않는, 원인도 알 수 없는 공허함에 고통받는다. 그들의 공통점은 바로, 자기 내면을 소홀히 했다는 것 이다.그리고 이 공허함은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의 타인까지 피폐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슬픈 점은, 이것이 사회적인 성공 여부와 성별의 유무 등 ...
-
-
- 방어기제를 건강하게 이해하기
- The Psychology Times 2023-05-10
- [The Psychology Times=김혜선 ]‘방어기제’를 아는가? 알고 있다면 어디까지 이해하고 있는가? 우선 방어기제는 갈등과 같은 상황 속에서 무의식적으로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나타나는 심리적 작용 중 하나다. 우리는 저마다 인간관계 속 스스로를 지키기 위한 방어 수단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일상 속에서 부정적인 상황에 직면해야 할 때 마음의 안정을 찾기 위해 방어기제를 겉으로 내비치곤 한다. 고통을 유머로 승화하거나 또는 현실을 회피하고 다른 것에 몰두하거나, 다르게는 감정을 억압하는 것이 그 예시이다. 그리고 이것들은 ...
-
-
- 당신이 고민이 많은 이유..
- The Psychology Times 2022-07-25
- [The Psychology Times=김태림 ]나는 어떤 일을 하기 전 또는 무언가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면 끊임없이 고민을 한다. 스스로에게 몇 번이고 되묻기를 반복하고, 하나의 질문은 꼬리에 꼬리를 물어 끝날 줄을 모른다. 최근에는 이런 일도 있었다. 하루는 치팅데이라고 탄수화물을 먹을 수 있는 날이었다. ‘떡볶이’와 ‘치킨’중 뭘 먹어야 할지 고민거리가 생겼다. 둘 중 어느 것이 더 내 체중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 또는 뭐가 더 몸에 조금이라도 좋은지 인터넷을 열어 검색을 해보기도 했다. 이렇게 쓸데없는 고민을 하는 사 ...
-
-
- epochē, 판단을 멈추기로 했다
- The Psychology Times 2023-04-28
- [The Psychology Times=최지우 ]에포케(epochē)는 그리스어로 ‘판단중지’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개념이다. 배움이 깊어지고 경험이 쌓일수록 모르는 것은 더 많아지고, 알면 알수록 더 모르겠는 게 세상인 것 같다는 말을 누군가에게 한 적이 있다. 그때 그 사람은 자기가 에포케의 태도로 살아가고 있다고 답해주었다. ‘나는 아직 모른다’는 마음으로, 굳이 모든 것을 판단하고 모든 것에 답을 매기려 하지 않는다고, 그저 흘러가는 대로 받아들인다고. 그 이후로는 필자도 생각이 과도하게 깊어질 때마다 에포케를 떠올리며 살 ...
-
-
- 소셜미디어가 스트레스가 되는 이유
- The Psychology Times 2023-06-14
- [The Psychology Times=김혜령 ]사람들과 소셜미디어에 대한 얘기를 하다가 놀라곤 합니다. 화려하고 밝은 모습으로 넘쳐나는 SNS상의 겉모습과 오프라인에서 접한 뒷모습이 사뭇 다르기 때문입니다. SNS 때문에 핸드폰 중독이라며 심각하게 고민이라는 얘기부터 인스타그램을 할수록 우울해져서 계정을 없앴다는 얘기, ‘좋아요’ 수가 작으면 불안하다는 얘기까지. 마치 온라인 속 빛나고 밝기만한 모습 뒤 안타까운 그림자를 보는 것 같았어요. SNS는 현대인에게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게 틀림없습니다. 또 정보 공유나 커뮤니티 형 ...
-
-
- 성장의 첫걸음, 당신을 존재 그 자체로 존중해요
- The Psychology Times 2023-03-14
- [The Psychology Times=이지민 ] 누군가를 아무 조건 없이 사랑하고,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동시에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서 우리 삶에 있어 꼭 필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이 중 ‘존중’은 사전적으로 ‘높이어 귀중하게 대하는 것’이라는 뜻으로 정의되지만, 여전히 모호하게 와닿을 뿐, 어느 정도의, 그리고 어떤 방식의 존중이 필요한지에 대해서 확실히 정의 내리기는 어렵다. 이에 대해 상담 및 심리치료에 지대한 공헌을 한 인본주의 심리학자 칼 로저스(Carl Rogers)는 “무조건적 긍정적 존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