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181-190 331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글쟁이 심리상담사
- The Psychology Times 2024-08-23
- [한국심리학신문=박소영 ]안녕하세요. 심꾸미 9기 기자 박소영입니다.지금까지의 기사들과 다른 점이 있다면, 9기 때는 사람, 박소영뿐만 아니라 심리 상담사, 박소영이 일을 하며 궁금했던 점, 해결하지 못했던 부분들에 대해 스스로 찾아보고 공부해 보면서 공유하는 기회도 있었던 것 같은데요. 상담사라는 일을 하면서 심꾸미를 통해 실질적인 내용과 경험들을 공유할 수 있어서 더욱더 뜻깊고 유용하였던 시간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내담자와의 상담을 떠올리며 이러한 예시들을 기사를 통해 적용하는 부분들이 많았는데요. 산후우울증과 매우 예민한 사 ...
-
-
- 심리학에 더 가까워지는 시간
- The Psychology Times 2023-02-17
- [The Psychology Times=계성민 ]안녕하세요. 심꾸미 6기 콘텐츠 기자로 활동한 계성민입니다. 활동을 시작할 때는 5개월이 이렇게 금방 지나갈 줄 몰랐는데, 시간이 쏜살같이 흘러 놀라울 뿐입니다.사실 저는 심꾸미로 활동하기 전까지는 관심이 있을 뿐 심리학에 대해서 잘 모르는 사람이었습니다. 심리학에 대해서도 더 알아보고 싶고 기자 활동도 해보고 싶었기 때문에 심꾸미에 지원하게 된 것인데, 제 생각대로 5개월 동안 심리학과 더 가까운 사이가 된 것 같습니다. 저는 총 10번의 기사 중에서 2번은 웹툰을, 나머지 8번은 ...
-
-
- 시작의 마무리
- The Psychology Times 2023-08-07
- [The Psychology Times=정채빈 ]저의 첫 대외활동 심꾸미를 마무리합니다. 1월, ‘심리학과니까 잘 할 수 있겠지’라고 단순하게 생각하며 심꾸미 지원서를 작성했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심꾸미 발대식 때만 해도 2주에 한 번씩 송고를 하는 거면 그렇게 타이트한 스케줄은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주제를 선정하고, 구체화하고, 논문을 읽고 글을 적는 일을 2주 안에 하기란 생각보다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반년 동안 꾸준히 타이트한 마감 기한을 맞춰 글을 쓰는 것은 저의 나태함과 시간 관리에 대한 도전이었습니다. 활동하 ...
-
-
- 값진 의미로 남게 될...
- The Psychology Times 2023-02-10
- [The Psychology Times=류자림 ]심리학 관련 대외활동을 알아보던 중에 심꾸미를 처음 접하게 되었습니다. 활동에 대한 설명을 읽어보니, 정말 참여해보고 싶었습니다. 참여하게 된 후, 매번 기사 쓸 때마다 어떤 주제를 쓰면 좋을지 많이 고민했었습니다. 그런 고민 중에 책도 찾아보고, 논문도 찾아보는 등의 과정들이 저의 시야를 넓혀주는 역할을 해준 것 같습니다. 이 대외활동은 앞서 말한 기사 참고 자료를 찾아보면서 평소에 바쁘다는 이유로 잘 읽지 못했던 도서들, 잘 접해보지 못한 논문들을 접해보게 하면서 본인을 성장케 해 ...
-
-
- 나의 퍼즐을 맞춰나가며
- The Psychology Times 2024-02-13
- [The Psychology Times=한서연 ]안녕하세요 심꾸미 8기 원고형 기자로 활동한 한서연입니다.해가 바뀌고 여러 환경들에 속하며 시간의 흐름을 경험했지만 어제 있었던 일인 것만 같은 심꾸미 발대식을 지나 후기를 작성할 시간이 다가옴을 확인하며 한 번 더 빠르게 지나가는 시간의 아쉬움을 경험하는 것 같습니다.저는 처음 심꾸미에 지원하기 전 고민이 많았습니다. 기사를 작성한다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이라는 것을 분명 알고 있었고 오직 심리에 대한 관심, 사람에 대한 관심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글과 마음을 전달한다는 것이 어렵다고 ...
-
-
- 올여름의 할 일은 모르는 사람의 그늘을 읽는 일
- The Psychology Times 2023-08-11
- [The Psychology Times=이해연 ]‘쓰는 기쁨’을 잔뜩 누렸던 것이 심꾸미 7기 활동으로 얻은 큰 수확이었다. 그간 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그러나 어디에서도 할 수 없었던 이야기를 기사의 형태로 쓰다 보면 그런 이야기를 마음껏 할 수 있다는 것에 큰 감사를 느꼈다. 또 내가 어떤 사람인지, 무엇을 말하고 싶어 하는 사람인지 이전보다 더욱 명확히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기사 쓰기가 마냥 쉬웠던 것은 아니었다. 가장 애를 먹었던 것은 ‘무엇을 쓸까’였다. 쓰고자 하는 이야기가 명백할 때는 그나마 수월했지만 그렇지 않을 때 ...
-
-
- 그 누구도 아닌 나를 돌아보다.
- The Psychology Times 2023-02-10
- [The Psychology Times=김영언 ]안녕하세요. 심꾸미 6기 원고 기자 김영언입니다! 벌써 2023년이 됐네요. 저의 첫 대외활동을 열심히 진행하는 동안 시간은 가을이 지나고 또 겨울을 버텨내는 중입니다. 지난 8월으로 돌아가서 심꾸미를 신청하던 날을 떠올려 보면 참 도전적이었던 것 같습니다. 마냥 글 쓰는 것을 좋아하는 학생이 생소한 분야인 심리학을 알아보고자 뛰어들었습니다. 저와는 전혀 관련 없다고 생각했던, 단지 재미 삼아 심리 테스트를 해보는 정도가 다라고 여겼던 심리학이 자연스레 제 일상에 녹아들었습니다. 지난 ...
-
-
- 심리학과 글을 사랑하는 나에게 주어진 소중한 기회
- The Psychology Times 2023-08-10
- [The Psychology Times=허정윤 ]영광스럽게도 심꾸미 기자단의 기자로 활동하면서 12편의 기사 작성을 마무리했다. 2주에 한 번씩 돌아오는 송고 일정에 맞추어 기사를 쓰면서 매번 이번에는 어떤 이야기를 담아볼까, 고민하고 글을 쓰는 재미로 2023년의 상반기를 보냈던 것 같다. 처음에 기자단의 일원이 되면서 아직은 그리 심오하지 않은 나의 심리학적 지식과 주관성이 가미된 생각들을 풀어놓는다는 것이 한편으로 부담이 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그만큼 책임감 있게 기사를 써보고 싶기도 하였다. 그러한 각오와 다짐 ...
-
-
- "처음과 끝은 같은 원이기에, 새로운 끝은 다른 시작이래"
- The Psychology Times 2024-02-16
- [The Psychology Times=정지혜 ]처음과 끝은 같은 원이기에새로운 끝은 다른 시작이래수도 없이 반복되는 출발점에내 얘길 완성할 수 있길-엔시티 드림(NCT DREAM)의 My Page- 고등학생 시절 우연히 알게 된 이 노래(My page)는 여름의 상큼함과 세상에 대한 호기심이 떠오르는 노래로, 푸른 빛깔을 생각나게 한다. 새로운 시작을 향한 발걸음이 나타나는 노래인만큼, 새로운 분기점에서 출발하게 됐을 때 이 노래를 듣고는 한다. 2023년 여름, 나의 첫 번째 대외활동이 시작하게 되었다. 무언가를 시작한다는 것은 ...
-
-
- 글쓰기란, 이상하면서도 보람찬 일
- The Psychology Times 2022-05-06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이해림 ] ▲ 내 생각을 글로 쓰면서 가장 공감되었던 그림지금까지 해온 대외활동 중, 심꾸미 기자단은 가장 어렵고 보람 있는 대외활동이었다고 생각한다. 글쓰기만큼 어려운 활동이 없다는 생각을 이전부터 가지고 있었지만, 심꾸미 활동으로 이를 다시 한번 확인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폴더에 남겨진 여덟 편의 기사를 보면, 작성 후의 뿌듯함이 가장 먼저 생각나기 때문에 보람찼던 활동이기도 하다.마지막 기사와 첫 기사를 작성할 때의 공통점은 여전히 ‘송고’ 버튼이 낯설게 느껴졌다는 것이다.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