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기간
  • 언론사
    언론사 전체보기
  • 기자명

    기자명

    기자 내 포함 단어

  • 옵션유지
  • 상세검색
    자아

    기본검색의 결과 범위를 줄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여러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쉼표(,)로 구분해서 입력하세요.

    도움말 초기화

뉴스

231-240 856

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스테르담
    15화 사람 때문에 힘들다고? 나도 사람인 것을 잊지 말자!
    The Psychology Times 2022-01-12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스테르담 ]Part 2. 사람 공부가 필요하다 #1우리는 앞서 우리의 마음은 어디에 있는지, 그리고 그 마음을 공부하는 심리학은 무엇이고 어떠한 이론들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봤다. 두 번째 주제로 넘어가, 이번엔 사람에 대해 공부해보고자 한다. '사람'은 다름 아닌 '우리'다. 그리고 직장은 '사람'들로 구성되어져 있다. 국가의 3요소는 국민, 주권, 영토다. 직장도 마찬가지, 굳이 표현하자면 회사의 3요소는 사람, 자본, 물자라고 할 수 있다. 그 둘 모두 '사람'을 공통으로 하 ...
  • 이강용
    도교육청, 디지털 기술수업 방안 모색 ‘GPT 시대의 디지털 시민교육’포럼 개최
    오산인터넷뉴스 2023-05-11
    【오산인터넷뉴스】경기도교육청이 11일 오후 디지털 시민교육 관점에서 GPT 시대의 교육 방안 모색과 실천 사례를 공유하는 ‘GPT 시대의 디지털 시민교육’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초·중·고 교원과 교육전문직원 150명이 참석하며 참석자 사전 질의 내용으로 주제 발표와 질의응답이 진행된다. 포럼에서는 ▲GPT 시대, 디지털 시민교육의 방향(이화여대 교육학과 정제영 교수) ▲GPT 시대, 디지털 창의역량교육 실천 방안(고려대 컴퓨터교육과 김자미 교수) ▲GPT 시대, 생성형 AI 윤리교육 실천 방안(정보통신정책연구원 이현경 부연구 ...
  • 서원택
    그럴 리가 없어
    The Psychology Times 2022-11-16
    [The Psychology Times=서원택 ]방어기제‘방어기제’에 대해 알고 있는가? 아마 심리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몇 번 들어본 단어일 것이다. 방어기제는 자아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무의식에서 자신을 속이며, 상황을 다른 방식으로 해석하고, 감정적인 상처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심리 의식, 그리고 행위를 가리키는 정신분석 용어이다. 방어기제에는 부정, 분리, 투사, 합리화, 퇴행, 취소 등 여러 종류가 있다. 필자는 이번 기사에서 이러한 방어기제들 중에서 ‘부정’을 다뤄보고자 한다.부정‘부정’은 발달단계 중 최초이고, 가 ...
  • 조민경
    저의 가면이 나쁜건가요?
    The Psychology Times 2022-08-02
    [The Psychology Times=조민경 ]페르소나 혹은 가면, 이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가? 한 집단에 들어가기 위해 나는 어떠한 사람인 척을 했고 어떠한 가면을 낀 채 살아가는가? 나의 가면을 통해 나를 들여다 보는 사람들은 나를 진정으로 아는 사람들인가 그렇지 않은 사람들인가?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그리고 대학을 진학하며 내가 마주했던 가장 큰 고민은 인간관계에 관한 것이었다. 타인이 보는 나에 대해 언제나 고민하였다. 선생님들께 좋은학생으로 보이고자 애썼고 친구들에게 좋은 친구가 되고자 애썼다. 그러나 모든 나의 행동 ...
  • 김유림
    나의 스물다섯 스물하나는 그 어떤 기억보다 생생하다: 회고 절정에 관한 이야기
    The Psychology Times 2022-05-31
    [The Psychology Times=김유림 ]여러분이 종종 부모님께 과거에 어떤 분이셨냐고 물어보면, 대부분은 대학생 시절, 혹은 사회초년생 시절을 이야기해주십니다. 그것도 방금 겪은 듯 아주 생생하게 말이에요. 부모님도 그들의 청춘 시절을 그리워하시는걸까요? 혹은 20대에 기억력이 가장 좋아서일까요? 물론 그것들도 이유가 될 수 있지만, 아래에서 그 과학적인 이유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회고 절정, 그리고 세 가지 가설 한 실험에서 40세 이상의 참가자들에게 평생에 걸친 생활 사건들을 회상하도록 요청했을 때, 모든 사건들 중 1 ...
  • 정지혜
    과거가 빛나는 이유는 우리가 지나왔기 때문일 거야
    The Psychology Times 2023-08-30
    [The Psychology Times=정지혜 ]내 눈앞에 있는 현실의 벽들이 높게 느껴지고, 미래가 어두컴컴하게 보일 때면 문득 과거의 추억에 잠기게 된다. 미래에 관한, 더 나아가 삶에 대한 고찰 없이 즐겁게 호흡할 수 있었던 시절, 사회의 관념 속에 갇히지 않고 내가 가장 나로서 존재했던 시간. 다시 그 순간이 돌아오지 못하리라는 것을 알아서 그럴까, 우리는 늘 과거를 욕망한다. “청춘이란 무엇인가? 기껏해야 미숙하고 설익은 시간, 얄팍한 감정과 불안한 생각들로 가득한 시간이 아니던가.” -오스카 와일드,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
  • 서혜주
    자존감 없는 사랑에 대하여
    The Psychology Times 2022-07-18
    [The Psychology Times=서혜주 ]대학생이 되고 나서 주변에 연애하고 있거나 연애하고 싶어 하는 사람을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나 어쩐지 연애가 두려워서 시작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도 종종 보게 된다. 연애가 왜 두려운지 질문하면 대부분은 그 사람을 너무 좋아해서 내 일상을 잃게 될까 두렵다고 말한다. 자존감과 사랑의 관계란?자존감이 높을수록 누군가에게 거부당할까 두려워하는 거부 민감성은 낮아지고 공감 능력은 높아지며 연애 관계 만족도 또한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자존감과 연애 관계 만족의 높은 ...
  • 김채현
    바쁘디 바쁜 당신이 여행이 고픈 이유
    The Psychology Times 2023-05-16
    [The Psychology Times=김채현 ]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라는 말처럼 현 사회를 사는 사람들을 저마다의 목표와 이유를 가지고 쉴 틈 없이 바쁜 삶을 살고 있다. 그런데 어떻게 하루가 흘러가는지 모를 정도로 정신없는 하루를 보낼 때 많은 사람은 “여행 가고 싶다”라는 말을 내뱉곤 한다.바쁜 일상을 살며 마음속 깊이 눌러놓고 지나간 것들이 많을 텐데 왜 그 중 하필 “여행”을 떠올리게 되는 것일까?“여행은 인간의 삶에 있어 치유와 소통의 역할을 한다.”라고 한다. 왜냐하면 인간은 현실이라는 틀 속에서 작고 크게 떠나고 ...
  • 이지현
    화재경보기 소리에도 가만히 있는 나, 정상인가요?
    The Psychology Times 2022-01-12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이지현 ]“따르르르릉!”아파트 전체에 화재경보기가 울려 퍼진다. 놀라서 1층으로 내려가면, 같이 걱정스러운 표정으로 내려온 사람은 고작 서너 가족 남짓. 내려온 사람들마저도 ‘아니겠지?’라고 쑥덕거리며, 챙겨온 건 휴대전화 하나에 불과하다. 그들도 진짜 불이 났다고 생각했다면 그렇게까지 빈손으로 나오지는 않았을 것이다. 정말 “나한테” 불이 났을까요? 이런 일을 경험해본 적이 있는가? 아마 대부분 한 번은 있을 것이다. 화재경보기 오작동에 대해 말하는 게 아니다. ‘화재경보기에 ...
  • 박연우
    프루스트 현상: 과거로의 향기로운 여행
    The Psychology Times 2024-02-22
    [The Psychology Times=박연우 ]인간의 기억은 때때로 예상치 못한 순간에 가장 강렬하고 섬세한 방식으로 우리를 과거로 인도한다. 이 현상의 가장 유명한 예는 마르셀 프루스트의 대표작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작가는 홍차에 적신 마들렌 과자로 인해 겪게 되는 강렬한 기억 회상을 통해 이 현상을 완벽하게 묘사한다. 이 이야기에서 비롯된 '프루스트 현상'은 맛이나 냄새, 감각과 같은 일상적 요소들을 매개로 평소 잊고 지내던 기억을 돌발적으로 떠올리게 하거나 회상의 감각을 작동시키는 현상이다.기억과 ...
22 23 24 25 26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