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31-240 351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여행을 떠나면!
- The Psychology Times 2024-01-09
- [The Psychology Times=서진원 ]한해가 끝나가고 새해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새해가 된다면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이 있나요? 저는 이번 1월 한 달 동안 여행을 떠나려고 합니다. 처음으로 한 달 동안 혼자 떠나는 여행이기에 많이 기대되기도 하면서, 걱정되기도 합니다. 여행을 준비하면서 이런 질문을 받았습니다. “너는 여행을 가는 목적이 뭐야? 여행을 가야 하는 이유는 뭐라고 생각해?”. 제가 생각하는 여행을 가는 이유로 첫 번째는, 새로운 환경을 접하며 내가 어떻게 적응해야 하는지 배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는, ...
-
-
- 화훼산업, 반려동물 변수 시대
- 전남인터넷신문 2024-02-28
- [전남인터넷신문]화훼산업에 반려동물이 변수가 되고 있다. 반려동물은 꽃을 사거나 선물할 때 잊어서는 안 되는 존재가 되었다. kb경영연구소의 ‘2023 한국 반려동물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국내 반려동물 양육가구(반려가구)는 552만 가구로 전체의 25.7%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개를 기르는 ‘반려견 가구’는 394만 가구(71.4%)로 가장 많았으며, 고양이를 기르는 ‘반려묘 가구’는 149만 가구(27.1%)로 두 번째였다. 반려견 양육자는 901만명, 반려묘 양육자는 342만명으로 추산됐다. 반려동물이 증 ...
-
-
- 무기력함에서 벗어나기 위한 필수행동
- The Psychology Times 2022-06-03
- [The Psychology Times=이지현 ]친구들과 놀다가도, 집에서 혼자 침대에 누워있다가도 시도 때도 없이 찾아오는 우울감. 그리고 이 우울감과 동반하는 무기력감, 피로감. 경험해 본 적이 있지 않은가?피로와 우울, 그리고 스트레스‘피로’는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이 느끼는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이다. 국내의 피로(혹은 만성피로)와 관련된 조사는 부족하지만 1993년 신호철 등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 산업장 내 피로를 호소하는 근로자는 남자 20.7%, 여자 26.4%라고 보고했다. 이것만으로도 큰 수치이지만 2022년인 ...
-
-
- 세상을 다채로운 색으로 꾸며나가길 바라며,
- The Psychology Times 2022-10-14
- [The Psychology Times=이소연 ]4년마다 있는 올림픽에는 세계 각국을 대표하는 선수들이 참여합니다. 이 선수들은 각 나라를 대표하는 만큼 재능을 가지고 있고 우리는 상상도 하지 못할 노력을 한 선수들입니다. 이 선수들이 다 모인 올림픽이라는 자리는 실력뿐만 아니라 그날의 컨디션은 물론이고 운도 포함하여 1등, 2등, 3등이라는 서열을 정합니다. 전 세계인의 축제에 그 나라를 대표하는 사람으로 출전한 만큼 모두 다 최선을 다하고 운동을 사랑하는 사람입니다. 서열이 정해져서 1등, 2등, 3등을 하게 된다면 너무 좋지만 ...
-
-
- “나... 지금.. 떨고 있니..?” 혹시 나도 새가슴?
- The Psychology Times 2023-02-21
- [The Psychology Times=현동민 ]축구나 농구 경기를 보다 보면 분명, 평소에는 월드클래스의 폼을 보여주던 선수가 승패가 갈리는 상황에서 어이없는 실책으로 기회를 날려 먹는 모습을 보았을 것이다. 이러한 선수들을 보통 ‘새가슴’이라고 부른다. ‘새가슴’이란 사전적으로 겁이 많거나 도량이 좁은 사람의 마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쓰는 말로 스포츠에서는 평균적으로 좋은 활약을 보여주지만 중요한 경기나 순간에 평소답지 않은 활약을 보여주는 선수를 이르는 뜻으로 자주 쓰인다. 우리 또한 살면서 이와 비슷한 경험들이 있다. 중 ...
-
-
- 나 자신이 너무나도 한심하고 미워 보이면 어떡해야 하나요 선생님.
- The Psychology Times 2024-01-31
- [The Psychology Times=이지현 ]“하루하루가 의미 없게 느껴져요, 다른 사람은 잘만 하는데 왜 저만 안될까요, 뒤처지는 게 불안해요” 현대인이라면 한 번쯤은 가져본 생각이 아닐까 싶다. 뛰어난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며 내 자존심은 나날이 낮아져만 가며, 심할 경우 우울증, 불안장애 등 정신병리로 이어지기도 한다. 우리는 어떻게 스스로를 지킬 수 있을까? 나의 자존감은 왜 낮을까?‘자존감’이란, 자신의 가치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를 의미한다. 자기 능력, 성격, 특성에 대한 태도, 기대, 감정 등을 나타내며 평가와 감정에 ...
-
-
- 난 왜 완벽주의자가 되었나. -완벽주의에 관하여 1부-
- The Psychology Times 2023-10-30
- [The Psychology Times=김정현B ]잘했어! 완벽해!“완벽해!”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는가? 학교나 사회생활 중에 과제나 일을 잘 처리해 가면 저런 반응을 들어본 적 있을 것이다. 완벽하게 무언가를 처리하는 것은 현대 사회에서 추구해야 할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우리는 완벽주의를 추구하는 태도 때문에 비현실적으로 높은 기준을 설정하거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리하기도 하고, 만족하지 못해 절망에 빠지기도 한다. 완벽주의란?지나친 완벽주의는 오래전부터 상담이나 심리 치료 분야에서 치료적 관심을 받아왔다. 오래전부 ...
-
-
- 당신은 하루에 몇 번 ‘진짜 미소’를 짓나요?
- The Psychology Times 2023-03-23
- [The Psychology Times=김채현 ]사람은 얼마나 많은 표정을 지을 수 있을까?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연구진이 얼굴 근육의 수축과 이완, 그리고 수많은 사진을 토대로 분석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이 지을 수 있는 표정은 1만 6,384개라는 결론이 나왔다. 이처럼 사람은 다양한 표정을 갖고 있다.표정은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일종이다.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이란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는 다르게 말로만 전달하는 것이 아닌 상대의 표정, 몸짓, 자세, 공간, 목소리, 말투, 억양 등을 통해 다차원적으로 전달되는 정보 전달 방식이다. ...
-
-
- 거절당하지 않아도 되는 당신에게
- The Psychology Times 2022-12-21
- [The Psychology Times=전예은 ]당신은 살면서 적어도 최소 1번의 거절을 당한 적이 있을 것이다. 우리가 살아가며 부탁, 제안, 혹은 고백에 대해 거절의 경험을 겪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거절을 당하면 절망하거나 기분이 상하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현상이지만, 이것에 대해 과잉반응하는 경향성은 문제로 대두된다. 이를 '거부민감성'이라 하는데, 거부민감성은 타인과 의사소통을 거치며 타인이 확실한 신호를 준 것이 아니라, 애매모호한 여지를 남겨두는 신호를 주었을 때 그것을 거절로 지각하고 거절에 대해 과잉반응을 하는 ...
-
-
- 내가 가진 떡이 남의 떡보다 더 맛있는 이유
- The Psychology Times 2023-05-22
- [The Psychology Times=성민기 ]이상하게 내가 고른 음식보다 옆 테이블에 있는 다른 사람이 고른 음식이 더 맛있어 보일 때가 있고 내가 다니는 학교 혹은 직장보다 친구가 다니는 학교나 직장이 더 괜찮아 보일 때가 살면서 한 번 정도는 있을 것이다.이런 상황에서 쓰는 말이 우리나라의 속담 중 하나인 "남의 떡이 더 커 보인다"라는 말이다.이는 자신이 가진 것보다 남이 가진 것이 더 많아 보이거나 혹은 좋아 보이는 상황을 이를 때 쓰이는 표현이다.대부분의 사람들이 살면서 이러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그렇다면 정말 다른 사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