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1-30 183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유익한 교양 추천(학교 상관없음)
- The Psychology Times 2022-12-11
- [The Psychology Times=이소연 ]현대 교육은 인지적 능력에 기반한 문제해결 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지적 문제해결 능력을 지나치게 중시함으로 인하여 개인의 감정 또는 정서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한계가 제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성격의 전체적인 과정에서 감성을 중추적인 역할자로서의 위치를 부여하는 성격 이론들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성격 이론들이 연구되고 있는 과정에서 Salovey와 Mayer은 감성지능이라는 이론을 ‘자신과 타인의 감성을 평가하고 표현하는 능력, 또는 자신과 타 ...
-
-
- 긴 터널을 지나는 이들을 위해
- The Psychology Times 2024-08-20
- [한국심리학신문=허정윤 ]심꾸미 9기를 마치며 한국 심리학 신문에 기사를 기재한 것도 1년 반이 지났습니다.며칠 전 7년 동안 연락 한 통 없었던 고등학교 시절 같은 반이었던 친구가 마음이 많이 힘들다며 연락을 해 왔습니다. 자신이 없어진다면 어떨지를 계속 생각한다고, 그리고 정신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고 있다고 했습니다. 얼마나 마음이 안 좋았으면 잘 알지도 못했고 졸업 이후 연락한 적 없었던 저에게 연락을 했을지 생각하니 마음이 아팠습니다.그 친구가 그리고 마음이 좋지 않은 모든 이들이 어둠의 통로를 지나 언젠가 밝은 햇살을 ...
-
-
- 하되, 함이 없다는 것
- The Psychology Times 2024-06-26
- [한국심리학신문=허정윤 ]‘응무소주이생기심’이라는 말을 아는가?개인적으로 이 용어는 현대 시대 행복과 가장 근접한 의미를 담고 있다고 생각한다.능력주의의 현대 사회흔히들 현대 사회를 어지러운 시대라고 이야기들 한다.정말 그렇다. 새로운 시대의 막을 여는 2030 세대는 그 어느 때보다도 능력주의를 중시하는 모습을 보인다. 능력주의에 자신과 사회를 가두어 놓고, 그 안에서 잠깐이라도 멈추면 바쁜 사회에서 도태될 것이라는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능력주의가 만연한 2030 세대를 이기주의로 치부할 수는 없다. 누구보다 성공과 자기 발전을 ...
-
-
- 잠시 쉼, 그리고 감사하기
- The Psychology Times 2024-05-30
- [한국심리학신문=허정윤 ]이러 저러한 이유들로 쉴 새 없이 바쁘게 달려왔던 2024년의 상반기를 돌아보고 잠시 쉬어가자는 마음에서 얼마 전 템플 스테이를 다녀왔다. 바람이 불 때마다 기와 아래 매달아 놓은 풍경 소리가 은은하게 울려 퍼지는 것, 시간이 가는 줄 모르고 연못에 둥둥 띄워진 연꽃을 바라보고 있는 것, 무거운 세속의 옷을 내려놓고 나누어 주신 가볍고 시원한 승복을 입고 넓디넓은 절 안을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것, 아침에 일어나 산사를 가득 채운 새의 지저귐을 들으며 갓 태어난 맑은 공기를 한가득 들이쉬는 것까지 모두 너무 ...
-
-
- 조작적 정의? 변인? 어려워 보이는 심리학 용어 알아보기!
- The Psychology Times 2024-04-19
- [한국심리학신문=허정윤 ]심리학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이 학문을 단순히 ‘마음’과 관련된 공부라고 생각하지만, 조금만 깊게 들여다보면 심리학이 굉장히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하는 학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심리학과 관련된 실험이 행해지는 모든 연구와 실험에서는 ‘독립 변인’, ‘종속 변인’과 같은 변인들에 대한 정의가 심심치 않게 등장하고, 어려워 보이는 단어들은 어쩌면 심리학에 흥미를 느껴 다가가는 사람들을 주춤하게 하기도 한다. 무시무시하게 들리는 각종 과학적인 정의와 달리 막상 들여다보면 그렇게 어렵지 않은 심 ...
-
-
- 뇌과학의 화
- The Psychology Times 2024-07-15
- [한국심리학신문=허정윤 ]살면서 머리 꼭대기까지 화가 치밀어 올라 화를 주체할 수 없을 것 같은 기분을 한 번씩은 느껴봤을 것이다.예전에 입시 공부를 할 때 어떤 수학 문제를 두 시간 동안 고민했는데 답이 나오지 않아 참을 수 없이 화가 났던 기억이 있다. 나는 화가 별로 없는 편인데, 이때는 인생에서 가장 화가 난 순간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분노에 치를 떨었다. 아직도 또렷이 기억나는데, 너무 화가 나서 눈물이 그렁그렁해져서는 주먹으로 무언가를 내려치거나 무언가를 부수고 싶다는 생각이 계속 들었다. 그 생각을 잠재우느라 다리를 ...
-
-
- 자존감과 자존심, 평가와 비교 사이 어딘가에서
- The Psychology Times 2024-08-05
- [한국심리학신문=허정윤 ]당신은 자존감과 자존심이 어떻게 다른지 알고 있는가?자존감은 대부분 좋은 맥락으로 많이 사용되는 반면, 자존심은 ‘저 사람은 항상 자존심을 부려’ 등과 같이 대부분 좋지 않은 맥락에서 많이 사용되는 단어이다.우리는 자존감과 자존심의 차이에 대해서 어렴풋이 알고 있지만, 둘을 명확히 개념 지어 구분하기는 어렵다. 자존감과 자존심자아 존중감의 줄인 말인 자존감의 사전적 의미는 자기 자신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느낌을 말하며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라고 인식하는 마음이다. 자존심의 사전적 의미는 ‘남에게 굽히지 않고 ...
-
-
- '럭키비키'사고와 긍정 심리학
- The Psychology Times 2024-06-19
- [한국심리학신문=허정윤 ]‘원영적 사고’, ‘럭키비키’ 라는 말을 한 번쯤은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유행의 빠른 생성과 소멸, 각종 밈의 대중화가 이루어지는 요즘 가장 핫한 말 중 하나는 아이돌 장원영의 ‘럭키비키’일 것이다. 네잎클로버 이모지, 예쁜 말투와 함께 쓰이는 이 밈의 시초는 장원영이 줄을 서서 빵을 주문하는 과정에서 앞 사람까지의 구매로 나와 있는 빵이 다 떨어진 것에서 시작된다. 장원영은 새로 나올 빵을 기다리는 것에 대해 불평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 나온 스콘을 먹을 수 있게 되다니 자신은 역시 운이 너무 좋다고, ...
-
-
- 누군가의 표정이 나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 The Psychology Times 2024-04-08
- [The Psychology Times=허정윤 ]얼굴 표정은 강력한 사회적 신호 중 하나이다. 우리는 상대방의 얼굴 표정을 보고 상대방의 기분 상태를 알 수 있기도 하고 그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우리가 누군가의 얼굴 표정을 보고 어떠한 선택을 해야 할 일이 생긴다면, 과연 우리는 선택에 있어서 그 표정에 영향을 받을까? 의식적이지 않더라도 우리가 모르는 새에 영향을 받을 수도 있지 않을까?Piotr Winkielman과 Jennifer L.Trujillo는 감정이 드러나는 얼굴 표정이 도박과 같은 위험한 선택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
-
-
- 인생은 붉은 여왕처럼
- The Psychology Times 2024-07-09
- [한국심리학신문=박연우 ]붉은 여왕의 효과(Red Queen Effect)는 진화 생물학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1973년 리 반 베일른 (Leigh Van Valen) 박사가 처음 제시한 이론이다. 이 효과의 이름은 루이스 캐럴의 소설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 등장하는 붉은 여왕의 말에서 따온 것으로, 끊임없이 달려야 제자리일 수 있다는 말에서 유래했다. 이는 생물들이 지속적으로 진화하지 않으면 경쟁에서 뒤처지게 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생물학적 의미붉은 여왕의 효과는 주로 생물학적 진화에서 종 간의 진화 경쟁을 설명하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