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91-300 314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위기의 청년들...늘어가는 청년 우울증, 자살률
- The Psychology Times 2023-07-18
- [The Psychology Times=현동민 ]언론과 정치권에서 흔히 일컫는 MZ세대, 소신대로 할 말 다 하면서 살아가는 당찬 청년으로 미디어에 비추어지는 이들이 세간의 인식과는 다르게 심리적으로 고통받고 스스로 목숨을 끊어가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우울증 증상으로 인해 병원을 찾은 환자는 지난 4년 동안 약 34% 정도가 늘었으며 이 중에서도 20~30대는 약 45%가 늘어나 환자의 증가 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라고 밝혔다. 우울증 환자 10명 중 3~4명이 청년 우울증을 앓고 있는 것이다. 더해 자살률 역시 ...
-
-
- 재택근무, 해보니 어떠셨어요?
- The Psychology Times 2022-06-15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임혜련 ]곳곳에서 초록의 새 생명이 눈에 띄는 따뜻한 봄이 왔습니다.그러나 상시 마스크를 착용해야만 하는 두 번째의 아쉬운 봄이기도 하지요.이제 우리 삶에서 안전과 위생은 최우선순위가 되었지만,여전히 혼란스럽기만 합니다.특히 일과 관련하여서는무엇을 뉴노멀(new normal)이라 정의내리기 쉽지 않을 만큼어떠한 것도 지속성을 담보하기가 어려운데요,오늘은 일터의 다이내믹한 환경 변화에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할지 함께 얘기해보고자 합니다.갑작스러운 팬데믹 상황에 의도치 않은 매출 신장 ...
-
-
- 민주주의가 왜 무너질까?
- The Psychology Times 2022-04-21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장동우 ]최근 국제사회에서는 민주주의의 위기를 다루는 연구와 책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대부분 민주주의에서 권위주의로 회귀하는 국가들이 많아지고 있는 현상을 다룬다. 정치외교학을 공부하고, 민주주의의 위대함을 잘 알고 있는 학생으로서 자연스럽게 이 주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프리덤하우스, EIU 등 여러 조사에서 민주주의가 쇠락하고 있음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민주주의의 후퇴는 갑작스러운 증상이 아닌 지난 10년에 걸쳐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그 여파로 국제적인 시스템뿐만 ...
-
-
- 묻지마 범죄, 왜 발생할까?
- The Psychology Times 2023-09-18
- [The Psychology Times=백지혜 ]묻지마 범죄최근 대한민국을 떠들썩하게 만들고 있는 사건들이 연달아 발생하고 있다. 바로, ‘묻지마 칼부림 사건’이다. 묻지마 칼부림 사건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도 이미 우리 사회는 충분히 패닉에 빠져있지만, 인터넷에 실시간으로 업로드되는 수많은 묻지마 칼부림 예고들이 우리 사회의 혼란을 더더욱 가중하고 있다. 이런 칼부림을 예고한 사람 중 검거된 사람의 대부분이 10대 청소년들이었고 이는 또 다른 사회에 또 다른 충격을 가져다주며 사법 체계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지고 있다. 묻지마 ...
-
-
- 의정부시,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사업 추진
- 경기뉴스탑 2020-12-03
- 먼저 온 통일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사업(사진=의정부시 제공)[경기뉴스탑(의정부)=이윤기 기자] 의정부시는‘먼저 온 통일’북한이탈주민이 우리사회에 신속하게 정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착지원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입국 규모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의정부시에는 2020년 11월 기준 400여 명의 북한이탈주민이 정착해 살고 있다. 시는 지역사회에 적응하기 어려운 북한이탈주민이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시민의식 개선 및 포용적 사회 분위기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안정적인 정착 환경 제공 사업 의정부시는 ...
-
-
- 곱게 늙는 것에 대하여
- The Psychology Times 2023-02-23
- [The Psychology Times=김남금 ]연애와 결혼에 대한 환상은 없지만 비혼의 중년으로서 연애와 결혼에 대한 환상은 거의 없다. 어딘가에 운명적 인연이 아직 숨어있을 거라는 생각은 더더욱 안 한다. 연애는 매일 심쿵 하는 이벤트로 채워질 거라는 환상을 품기에 나는 너무 늙었다. 연애는 감정의 롤러코스터를 타는 일인데 체력도 딸리고 의지도 부족하다. 결혼 생활은 성별이 다른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함께 살 배우자는 교감이 있으면 좋겠지만 교감을 나누지 못한 채, 살아가는 데 필요한 행위만 공유하는 경우도 ...
-
-
- 고통 속에서도 살아가야 하는, 나는 생존자입니다.
- The Psychology Times 2024-01-15
- [The Psychology Times=김나연 ]최근 넷플릭스 시리즈인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속에는 한 개인의 자살로 인해 고통을 겪는 주변인의 모습이 다양하게 잘 묘사되어 있다. “아내는 집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나는 첫 목격자였다. 길을 걸어도, 밥을 먹어도, 잠을 자려고 눈을 감아도 끊임없이 그 장면이 떠올랐다. 걷잡을 수 없는 공포가 몸을 휘감았다. 후회가 꼬리에 꼬리를 문다. 내가 그날 아내를 혼자 내버려두지 않아다면 달라졌을가. 힘들어할 때 같이 엉엉 울어줬더라면. 죄책감은 일상이 됐다. 다시는 예전의 일상으 ...
-
-
- 프라하의 연인 대신 카프카
- The Psychology Times 2024-03-20
- [The Psychology Times=김남금 ]낭만적 허구를 실현하려는 꿍꿍이로 프라하 여행은 시작되었다. 프라하에서 누군가는 ‘연인’을 만나기를 꿈꾼다면 나는 ‘프란츠 카프카’를 만날 꿈을 꾸었다. 자신이 속한 사회에 적응하지 못한 채 평생 경계인으로 살았던 카프카. 본능적으로 카프카의 삶에 감정이입이 되어 끌렸다. 그는 법학을 전공하고 노동보험공단에서 일하면서 밤에 소설을 썼다. 요즘 유행하는 말로 하면 ‘본캐’와 ‘부캐’를 운영했다. 그는 본캐와 부캐 사이에 놓인 깊은 강 사이에 자신만의 다리를 놓았다.카프카는 지독하게 권위 ...
-
-
- 나만 제자리라고 느껴지는 사람들을 위해
- The Psychology Times 2022-10-31
- [The Psychology Times=유시연 ]가끔 바쁜 일상을 살다가 주변을 돌아보면, 나보다 더 치열한 하루하루를 살고 있는 사람들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럴 땐 오히려 숨이 차 멈춰 선 내가 무능력하게 느껴지고, 지금까지 해온 모든 노력이 부정당하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우리는 이를 ‘포모 증후군’이라 부른다.‘포모 증후군(FOMO Syndrome)’이란?‘포모 증후군(FOMO Syndrome)’이란, ‘소외되는 것의 두려움’이라는 의미를 영어로 풀어 쓴 ‘Fear Of Missing Out’의 앞 글자만 따서 만든 ‘포모(F ...
-
-
- 자유를 버린 사람들
- The Psychology Times 2022-12-30
- [The Psychology Times=이효림 ]자유를 버린 사람들 우리는 세계사를 ‘자유를 향한 투쟁의 역사’로 정의한다.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권리를 얻기 위한 시민혁명, 노예가 아닌 한 인격체로서 대우받기 위한 노예해방운동, 투표할 수 있는 자유를 얻기 위한 참정권 운동과 자유 민주주의를 위한 민주화 운동까지. 역사 속 많은 사람들은 무수한 노력 끝에 ‘자유’를 얻었고, 이것이 위대한 역사를 만들어냈다. 그런데 여기. 자유를 버린 사람들이 있다. 20세기 초, 근대 자본주의의 눈부신 발전과 함께 도래한 ‘자유’의 시대에 역행하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