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기간
  • 언론사
    언론사 전체보기
  • 기자명

    기자명

    기자 내 포함 단어

  • 옵션유지
  • 상세검색
    학회지

    기본검색의 결과 범위를 줄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여러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쉼표(,)로 구분해서 입력하세요.

    도움말 초기화

뉴스

321-330 368

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김나연
    '나 좀 살려주세요'라고 외치는 위험한 흔적
    The Psychology Times 2024-01-29
    [The Psychology Times=김나연 ]*해당 기사는 민감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살고 싶어서 자해를 했어요.”언뜻 보면 앞뒤가 맞지 않는 말이다. 그러나 이것이 현실에서 발생하고 있는, 그것도 꽤 높은 수치로 발생하고 있는 일이라면 믿을 수 있겠는가?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2 손상유형 및 원인 통계'에 따르면 10대 청소년의 자해, 자살 시도 비율은 2012년 11.4%에서 2021년 18.2%까지 증가하였다. 자해를 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나쁜 기분을 멈추기 위해서가 44.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
  • 박은지
    타자를 향한 질문: 당신은 누구십니까?
    The Psychology Times 2022-03-29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박은지]‘안녕하세요. 저는 000입니다.’ 모두 한 번쯤은 자기소개를 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서로가 낯선 상황 속에서 우리는 소개를 통해 자신을 알려주고, 상대가 어떤 사람일지 짐작한다. 사실 우리가 세상과 교류하는 방식 또한 ‘소개’라고 할 수 있다. 교육, 독서, 경험 등을 통해 우리는 세상을 소개받고, 이를 통해 세상에 대한 지식을 형성해나간다.하지만 모든 지식이 직접적인 소개를 통해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세상에는 너무 많은 정보가 있고, 그 정보들을 일일이 처리하기엔 ...
  • 황세현
    어떻게 사랑하지 않을 수 있겠어?
    The Psychology Times 2024-06-12
    [한국심리학신문=황세현 ]테니스로 이해하는 인간영화 <챌린저스>에는 테니스를 사랑하는 인물 ‘타시’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뛰어난 테니스 유망주였던 그는 테니스를 “관계”라고 표현한다.그에게 테니스란, 공을 치고 맞받아치는 단순한 랠리가 아닌 상대를 파악하는 과정인 것이다. “나를 알고 적을 알라”는 지피지기의 정신이 적용되는 스포츠인 것이다. 따라서 상대를 파악하는 과정 속에서 나 자신에 대해서도 알게 된다. 이것은 인간 행위 전반에 적용된다. 나 자신을 알고 싶다면 오히려 독수공방을 고집해서는 안 된다. 고독한 시간을 갖는 것은 ...
  • 이다경
    심리상담법, 뭐가 문제야?
    The Psychology Times 2022-08-06
    [The Psychology Times=이다경 ]"법이 통과되면, 범죄자도 심리상담소를 차릴 수 있어요"내가 SNS에서 접한 ‘심리상담사법’에 대한 한 줄 요약이었다. 어떻게 범죄자가 상담할 수 있는 법이 생길 수 있다는 말인가? 라는 생각이 내가 심리상담에 관한 법에 관심을 두게 된 이유였다.심리상담이 무서워요코로나 발병 이후 심리상담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2021년 1분기 보건복지부에서 조사한 일반 심리상담에 대한 수요인식은 전혀 필요 없다는 응답이 0점, 필요하다는 응답이 2점일 때, 1.02점에서 1.46점까지 증가했다고 ...
  • 이서진
    당신의 자존감, SNS가 무너트리고 있지는 않나요?
    The Psychology Times 2021-04-23
    [The Psychology Times=이서진 ]사진 출처: https://www.pexels.com/ “인스타를 하다 보면 예쁜 다른 여자들 사진이 계속 보여. 왜 나는 그런 외모를 가지지 못한 걸까?” 인스타그램 유저라면 한 번쯤 해 봤을 생각, 과연 실제로도 그럴까? 스마트폰이 상용화된 이래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현실 세계에서 나와 전혀 접점이 없는 사람의 일상을 엿보고 동시에 나의 일상을 전 세계에 공개하여 공유할 수 있는 거대한 가상 세계로 자리 잡았다. 인스타그램은 우리의 ...
  • 최서영
    "당신의 가정은 안녕하신가요?"
    The Psychology Times 2023-03-22
    [The Psychology Times=최서영 ]학교폭력 피해자 문동은(송혜교)의 처절한 복수극을 담은 드라마 <더 글로리>. 극 중 가해자들의 악랄하며 폭력적인 장면들이 계속해서 연출되며 시청자들이 청소년들의 폭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교육부 「2022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에 의하면,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은 1.7%(5.4만 명)로 2021년 1차 조사 대비 0.6%P 증가했다. 또한, 코로나19 감염병 확산 이전 실시된 2019년 1차 조사 대비 0.1%P 증가했다고 밝혔다. 학교폭력을 비롯하여 청소년 ...
  • 김정현B
    나도 예술가가 되려면 우울해야 할까?
    The Psychology Times 2023-08-29
    [The Psychology Times=김정현B ]유명한 예술가는 우울증 환자다?헤밍웨이, 빈센트 반 고흐, 버지니아 울프.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우울증을 앓았던 예술가라는 점이다. 이들 외에도 예술가 중에서 정신질환, 특히 우울증을 겪은 사람들이 많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예술적 생산력과 정신질환의 관계에 많은 관심이 있었고, 심리학자인 ‘프로이트’는 “예술창조는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방식인 본능의 승화”라며 의미 있는 관계로 여겼다. 우울증과 예술이 관계가 있을까?우울증과 예술이 관계가 있을까? 정말 예술을 하려면 정신 ...
  • 최서영
    "너 잘 되라고 하는 소리야"
    The Psychology Times 2023-10-27
    [The Psychology Times=최서영 ]“문단속을 잘해라”와 같은 물리적 범죄 예방으로는 손을 쓸 수 없을 정도로 현대 우리 사회의 범죄는 더욱 치밀해지고 악랄해졌다. 가해자는 취약한 마음을 가진 피해자에게 일부로 접근하여 그들의 심리를 교묘하게 파고드는 수법들이 만연화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그 예로, 언론에서는 그루밍 성범죄, 가스라이팅과 같은 개념으로 더 많이 통용되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두 개념은 같은 듯, 미묘하게 다른 범행 수법이다. 과연 그루밍과 가스라이팅, 그 의미가 무엇일까?그루밍(Groom ...
  • 한다혜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면접 필승 전략
    The Psychology Times 2023-04-02
    [The Psychology Times=한다혜 ]당신의 첫 면접 경험은 언제인가? 대학 입시 면접일 수도 있고, 동아리 면접일 수도 있고, 회사 면접일 수도 있다. 대부분의 채용 과정에서 ‘면접’은 필수 요소로 포함되어 있다. 그렇다면 누군가를 선발할 때 왜 면접을 보는 것일까? 면접을 보는 그 짧은 시간 동안 우리는 지원자의 모든 것을 알 수는 없다. 하지만 면접관 개인의 사람에 대해 쌓인 데이터, 즉 고정관념에 따라 상대를 평가한다. 그렇게 같이 일할 사람을 뽑는다. 여기까지만 들어도 우린 알 수 있다. 면접은 객관적이지 않다. ...
  • 정연수
    전문상담사와 함께 성장과 회복을 위해 노력하는 공간
    The Psychology Times 2023-04-03
    [The Psychology Times=정연수 ]교복을 벗고 예비 사회인이 되는 과정 '대학생'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교에 입학한다는 것은 개인 삶의 큰 변화를 의미합니다. 사회적으로 입시 위주의 고등학생 신분을 빠져나와 한껏 '자유로움'이 허용되는 대학생으로의 신분 변화를 경험할 수 있으며, 개인적으로는 발달상의 청소년기를 지나 과도기적 성인으로의 변신을 시작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인기의 초기에 해당하는 대학 생활에 적응하며 예비 사회인으로서의 전문적인 지식을 쌓고, 동시에 다양한 배경을 지닌 학우들과의 광범위한 관계를 ...
31 32 33 34 35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