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기간
  • 언론사
    언론사 전체보기
  • 기자명

    기자명

    기자 내 포함 단어

  • 옵션유지
  • 상세검색
    감정

    기본검색의 결과 범위를 줄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여러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쉼표(,)로 구분해서 입력하세요.

    도움말 초기화

뉴스

1,351-1,360 4,599

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전다빈
    유아미술치료, 아이들의 마음을 만지다
    The Psychology Times 2023-05-13
    [The Psychology Times=전다빈 ]필자는 아동학과 재학생이다. 우리 학교 아동학과에서는 보육 트랙과 심리 트랙을 모두 배우는데, 이 두 트랙 중 지금까지도 줄곧 관심있는 트랙은 심리 트랙이다. 심리 분야와 관련해서 이전에 ‘근거기반 심리치료’라는 주제로 기사를 작성한 적이 있었는데, 이번 기사에는 아동,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치료인 ‘유아미술치료’에 관한 이야기를 전하고자 한다.우선 유아미술치료에 앞서, 미술치료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자. 미술치료(art therapy)란 미술과 심리치료가 접목된 것으로, 미술활동을 통 ...
  • 이선민
    누군가를 진심으로 위로하고 싶다면
    The Psychology Times 2021-09-28
    [심리학 신문_The Psychology Times=이선민 ] 살면서 누군가를 위로해야 할 순간은 누구에게나 한 번씩 찾아온다. 남자친구와 싸운 친구를, 시험에 떨어진 가족을, 그리고 가족을 잃은 지인을. 그들의 슬픈 눈을 맞닥뜨릴 때마다 당장 슬픔에 잠긴 그들에게 따뜻한 말 한마디를 건네야 하는 건지, 혹은 더 슬퍼지지 않게 모른 척 다른 이야기로 화제를 돌려야 하는 건지.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몰라 되려 미안해졌던 경험을 대부분 해봤을 것이다.위로란 무엇일까? 가장 좋은 위로란 현실적인 도움이라고 생각하던 때가 있었다. 그렇지 ...
  • 박예진
    [논문] 코로나19와 팬데믹(pandemic) 상황이 우리의 꿈에 미치는 영향
    The Psychology Times 2020-09-29
    코로나19는 우리의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력이 우리의 꿈에도 미친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최근 심리학계에서는 팬데믹(pandemic) 상황이 꿈의 내용과 특성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있습니다.많은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깨어있는 동안의 경험은 꿈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전쟁과 자연재해, 테러와 같은 극도의 스트레스 상황은 불안한 꿈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죠. 이와 비슷한 현생이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이며 이는 꿈의 연속성 가설을 입증하고 있 ...
  • 노주선
    사랑이 깊어질수록 더 힘들어지는 이유
    The Psychology Times 2023-05-11
    [The Psychology Times=노주선 ]남녀가 만나 사랑을 나눈다. 첫눈에 반했을 수도 있으며, 한동안 신중하게 생각하고 조심스럽게 시작했을 수도 있다. 어떤 식으로든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는 순간 달달한 핑크빛 미래를 꿈꾼다! 그런데 막상 본격적인 사귐이 시작되면, 그렇게 좋은 일들만 있는 것은 아니다. 사랑하고 좋아하는 만큼 부딪치고 싸우는 것도 늘기 마련이다.대체 사랑하고 아끼며, 모든 것을 다 이해하고 수용해줄 것 같던 사이인데, 왜 사랑이 깊어지는 만큼 마음의 아픔도 커져가는 것일까?1. 사랑은 마음의 공유하는 과정 ...
  • 김창식
    서울교통공사, 7월까지 ‘신분증 녹음기’ 지급...직원 보호 나선다
    서남투데이 2022-07-21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가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폭행ㆍ폭언 피해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이달 18일부터 신분증 녹음기를 지급한다고 21일 밝혔다. 기존 지급된 녹음기 수량과 합하면 지급되는 신분증 녹음기는 총 957개로 근무 중인 모든 역의 역 직원 및 지하철 보안관이 1인당 1개씩 활용할 수 있는 수량이다. 공사 직원들에 대한 폭행ㆍ폭언 사례는 정식으로 접수된 건수만 집계하더라도 최근 2년 연속 100건이 넘었다. 올 상반기에도 89건이 집계되었기에 2022년 역시 예년 수준을 웃돌 것으로 보인다. 폭행ㆍ폭언 피해 직원들의 대 ...
  • 서작가
    공감의 부재와 흥미 위주의 관심사(4)
    The Psychology Times 2022-06-03
    [The Psychology Times=서작가 ]나는 다시금 깨달았다. 아이가 본능적으로 깨닫는 욕구와 활동을 제외한 다른 일련의 과정들은 아이가 배워야만 깨우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지 않으면 아이는 아주아주 어렵게 배우게 된다. 친구들의 따돌림, 타박, 견제 등을 통해서 말이다. 왜냐하면 내가 그렇게 알게 되었고, 깨닫게 된 것들이 많기 때문이다. 그 과정은 눈물로 쌓아왔고, 아픔으로 다듬어 왔다. 나도 adhd였으니까.아이가 어려움을 겪을 때마다, 그 자리에 어린 내가 있다. 그리고 과거에 아팠던 경험들이 떠오른다. 친구들의 ...
  • 남혜원
    “아무것도 하기 싫어…” 이런 나, 무기력증일까?
    The Psychology Times 2023-04-06
    [The Psychology Times=남혜원 ]무기력증이란? 전신적인 피로감과 집중력의 저하로 인해 간단한 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의미한다. 무기력증은 단순히 하기 싫은 일을 하고 싶지 않을 때 생기는 것이 아니다. 회사 업무, 공부, 심지어 취미 활동을 할 때에도 힘이 나지 않는 증상을 보인다. 이러한 무기력증이 찾아온 원인은 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번아웃이 왔을 확률도 높다. ‘번아웃 증후군’이란 의욕적으로 성실히 삶을 살아오던 사람이 갑자기 무기력 해져 정신적인 그리고 신체적인 만성적 피로감을 느끼며 전체적 ...
  • 최윤서
    나는 어떠한 애착유형일까?
    The Psychology Times 2023-01-04
    [The Psychology Times=최윤서 ]사람은 사회적 동물로서 살아가면서 많은 사람과 다양한 관계를 형성해간다. 사람은 그러한 대인관계를 통해 삶의 만족과 안정을 찾거나, 큰 상실을 겪으면서 매우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이는 사람마다 그러한 관계를 맺는 성향이 모두 다르게 나타나면서, 어떤 이는 타인과 관계 맺는 데에 적극적이고 즐거워하지만 어떤 사람은 그를 힘들어하고 불안해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사람마다 그러한 차이는 왜 생기는 것일까? 수많은 이유가 있지만, 그중 한 가지 요인은 ‘애착유형의 차이’이다.애착이란?‘애착 ...
  • 노주선
    잠은 잘 주무세요? : 불면의 심리학
    The Psychology Times 2021-06-02
    '잠은 잘 주무세요?'대부분의 내담자분들께 확인하는 대표적인 체크리스트 항목 중 하나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심리적인 장애나 문제들에 동반되는 보편적 증상이기도 합니다. 게다가 일반인들의 경우에도 여러 가지 이유로 자주 불면을 경험하곤 합니다. 이처럼 불면이라는 것은 우리가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이슈이며, 우리 마음의 상태를 알아볼 수 있는 대표적 지표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1. 잡생각불면의 가장 큰 원인 중에 하나는 바로 '잡생각'입니다. 생각이 많은 분들은 불면을 자주 경험합니다. 또한 평상시에는 잠을 잘 자던 사람도 고민이 ...
  • 유시연
    나만 제자리라고 느껴지는 사람들을 위해
    The Psychology Times 2022-10-31
    [The Psychology Times=유시연 ]가끔 바쁜 일상을 살다가 주변을 돌아보면, 나보다 더 치열한 하루하루를 살고 있는 사람들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럴 땐 오히려 숨이 차 멈춰 선 내가 무능력하게 느껴지고, 지금까지 해온 모든 노력이 부정당하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우리는 이를 ‘포모 증후군’이라 부른다.‘포모 증후군(FOMO Syndrome)’이란?‘포모 증후군(FOMO Syndrome)’이란, ‘소외되는 것의 두려움’이라는 의미를 영어로 풀어 쓴 ‘Fear Of Missing Out’의 앞 글자만 따서 만든 ‘포모(F ...
134 135 136 137 138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