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151-160 856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좌절 후 이겨내는 마음의 힘 '회복탄력성'
- The Psychology Times 2023-09-11
- [The Psychology Times=김서연 ]우리는 인생을 살아가면서 긍정적인 상황과 더불어 어려움과 고난도 겪게 된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겪는 다양한 상황 중 어려움에 빠졌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모른 채 좌절에 빠질 수 있다. 좌절만 하고 있기엔 우리의 시간이 아깝다. 물론 바로 다시 일어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지만 좌절을 겪은 후 다시 일어났을 때 우리는 더 성장하기에 그 힘을 길러야 한다. 회복탄력성회복탄력성은 자신이 겪는 온갖 역경과 어려움을 오히려 도약의 발판으로 삼는 힘이다. ‘회복탄력성’ 책을 쓴 저자 ...
-
-
- 청소년들 이상주의자 되고 현실세계와 다른 세계의 사회 '상상'
- The Psychology Times 2021-04-30
- 고려대 심리학부 허태균 교수는 2015년 『어쩌다 한국인』이라는 저서를 출판했다. 그 제목도 파격적이지만 그 내용도 제목 못지않게 파격적이고 당황스럽기까지 하다. 그는 이 책에서 한국은 지금 사춘기를 겪고 있다고 단정한다.사춘기는 소위 '질풍노도(疾風怒濤)의 시대' 혹은 '이유 없는 반항(反抗)의 시대'라고 명명되고 있다. 하지만 사춘기 또는 청소년기의 특징을 잘 이해하면 '질풍노도'가 '이유 없는 반항'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청소년기는 말 그대로 '(청)소년'과 '청(소)년'이 함께 공존하는 시기다. 즉, 어린이(소년)와 ...
-
-
- '클레오의 시선'에서 보이는 모습들
- The Psychology Times 2024-01-26
- [The Psychology Times=노민주 ]최근 영화 ‘클레오의 세계’를 보았다. 영화 ‘클레오의 세계’는 2023년 칸영화제 비평가주간 개막작으로 선정된 작품으로, 최근 한국에 1월 3일 개봉하였다. 영화는 주인공 ‘클레오’가 유모 ‘글로리아’의 고향 섬에 찾아가 여름방학을 보내면서 일어나는 일을 다룬다.영화에서는 과도할 정도로 클로즈업을 많이 사용한다. 클로즈업으로 인해 화면의 대부분이 얼굴로 가득 차 있기도 하고, 중심이 되는 물체 외에는 전부 초점이 잡히지 않는 장면도 있다. 그래서 이런 부분들이 영화의 후기에서 호불호 ...
-
-
- 딸아, 엄마는 사랑해서 그러는 건데?
- The Psychology Times 2023-03-12
- [The Psychology Times=우가현 ]‘블랙 미러 시즌 4’의 ‘아크엔젤’이라는 영화를 본 적 있는가? (스포일러 주의)본 영화는 더욱 발전된 미래의 있을 법한 상황을 다루고 있다. 영화의 제목인 아크엔젤은 아이의 뇌 속에 칩을 심어서 위치, 건강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일명 아이 보호 장치이다. 이 장치는 아이가 보는 시야를 그대로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자극적이고 폭력적인 것에 노출될 경우, 아이의 시야를 모자이크 처리하여 가려버릴 수 있다. 주인공 마리는 딸 세라의 뇌 속에 아크엔젤을 심어 '보호’ ...
-
-
- 나는 하버드에서 제일 열등한 사람이에요
- The Psychology Times 2023-04-03
- [The Psychology Times=진다연 ]새 학기가 시작된 지 어언 한 달, 새해를 맞이한 지는 벌써 사 개월이 다 되어가는 지금, 이런저런 변화들이 익숙해졌을 수도, 혹은 여전히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려 부단히 노력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새로운 교복의 옷매무새가 어정쩡해 보이기도, 새로운 등굣길이 어색하기도 하겠지만, 아무래도 주변 사람들의 변화가 가장 확연히 느껴질 것이다. 새 학기, 새 직장, 새 보금자리에서 만난 소위 ‘잘난’ 사람과 나를 은연중에 비교해보았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사람들과 살 부대끼며 살아가다 보면 반 ...
-
-
- 불안은 잠시 내려놓아요
- The Psychology Times 2023-07-05
- [The Psychology Times=정연수 ]우리의 삶에 예고 없이 찾아오는 "불안"불안은 예고 없이 찾아오지만 가급적 피하고 싶은 좋지 않은 감정이다.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는 위험한 상황에서 우리가 경험하게 되는 불쾌하고 고통스러운 반응이다. 인생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불안은 사람이 조금 더 안전할 수 있도록 도우며 알맞은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불안이 정도에 지나쳐 사소한 사건에도 큰 공포와 동요로 받아들이면 심각한 불안이 된다. 불안은 연령에 상관없이 누구에게나 여러 사회와 심리적 요인들로 인해 발생할 ...
-
-
- 너무 친밀해서 불편한 한국
- The Psychology Times 2022-03-17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김혜령 ]어떤 것들은 모르는 채로 살아가는 편이 나을 때가 있다. 이문세의 노래 <옛사랑>에 나오는 ‘이제 그리운 것은 그리운 대로 내 맘에 둘 거야’라는 노랫말처럼 말이다. 하지만 눈치 없는 인터넷은 모든 것을 자판기처럼 뚝딱 알려준다. 가끔은 필요 이상의 정보까지 알려주는 게 요즘의 온라인 세계다. 30~40년 전만 해도 불가능했던 일들이 지금은 쉽게 이루어진다. 멀리 있는 사람과도 쉽게 연결되고, 타인이 어떻게 사는지를 들여다볼 수도 있다. 반대로, 불특정다수에게 내가 어떻 ...
-
-
- 나의 아픔에 공감 받기도, 위로 받기도 원치 않습니다. 제발 나를 더 비참하게 만들지는 말아주세요.
- The Psychology Times 2023-03-04
- [The Psychology Times=신선경 ]글을 시작하기 전에, 성범죄는 다양한 성별과 나이를 가리지 않고 나타나는 사회적 문제입니다. 특정 성별이나 나이, 인물에 치우치지 않고 글을 즐겨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우리는 여러 성으로 구성된 사회에 살아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단순히 여성과 남성으로 구분했을지 모르겠으나, 최근에는 거기에 다양한 제3의성까지 인정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사회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죠.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성'과 관련된 문제들은 굉장히 큰 이슈들로 다루어지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성범죄입니 ...
-
-
- '가여운 것들'에서 가여워하기까지
- The Psychology Times 2024-04-02
- [The Psychology Times=노민주 ]최근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엠마 스톤에게 두 번째 여우주연상을 거머쥐게 해준 영화가 있다. 바로 영화 <가여운 것들>이다. 영화 <가여운 것들>은 80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최고 영예인 황금사자상 등을 수상하며 극찬을 받은, 성인 여성의 몸에 태아의 뇌를 이식해 탄생한 주인공 ‘벨라’의 모험을 다룬 영화이다. 영화의 주인공 ‘벨라’는 성인의 몸을 가지고 탄생했기에 영화에서 외면의 변화는 거의 없지만, 내면에서는 발달이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일어난다. 처음에는 겨우 옹알이했지만 ...
-
-
- 가장 중요한 건 눈에 보이지 않아요
- The Psychology Times 2021-07-08
- [심리학 신문_The Psychology Times=양다연 ] 지구에 핀 5,000 송이의 장미꽃을 보고 그의 행성에 있는 한 송이의 장미꽃이 사실은 유일한 장미꽃이 아니었음에 충격을 받은 어린 왕자에게 여우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가장 중요한 건 눈에 보이지 않아요.". 프랑스의 작가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Antoine de Saint-Exupéry)가 1943년 발표한 소설 <어린 왕자(Le Petit Prince)>의 한 구절이다. 여우는 어린 왕자가 살던 행성에 있는 한 송이의 장미꽃이 소중한 이유는 어린 왕자가 그것을 위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