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기간
  • 언론사
    언론사 전체보기
  • 기자명

    기자명

    기자 내 포함 단어

  • 옵션유지
  • 상세검색
    꾸미

    기본검색의 결과 범위를 줄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여러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쉼표(,)로 구분해서 입력하세요.

    도움말 초기화

뉴스

161-170 331

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이예지
    심리학, 생각보다 가까이 있어요
    The Psychology Times 2023-08-13
    [The Psychology Times=이예지 ]심리학으로 좀 더 나은 세상을 꿈꾸는 심꾸미의 가치관과 비슷하게 저 또한 전공인 심리학을 제 일상 속에 늘 녹여내고자 하는 마음이 있었습니다. 심리학은 겉보기에 이론적이고 투박해보일지 몰라도 잘 들여다보면 우리의 일상 어느 곳에나 스며들어 있었습니다. 제가 쓰는 기사 주제도 제가 직접 겪은 경험을 토대로 작성했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나의 경험은 심리학의 관점에서 어떻게 바라볼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나에게 왜 일어났는지, 개선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는 게 좋을지 알게 되었습니다 ...
  • 최유진
    비 온 뒤에 땅이 굳어지듯
    The Psychology Times 2021-12-14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최유진 ]심꾸미는 나에게 있어 단순히 기사를 쓰는 활동을 넘어서 작은 소망이 되었다.더 다양한, 더 많은 사람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싶었고, 더 나아가 사람들이 ‘심리학’이나 ‘정신병리’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심꾸미 3기 활동 기간이었던 3개월 동안 작성했던 기사를 정리하고, 간단한 소감을 통해 활동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심꾸미란?먼저 심꾸미란, 대학생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에서의 심리학적 요소를 풀어나가는 활동이다. 대학생 기자단 심꾸미는 심리학적 ...
  • 양현서
    '2주의 반복'이 만들어낸 '그릿'
    The Psychology Times 2023-08-11
    [The Psychology Times=양현서 ]누구나 그렇듯 어떠한 활동을 하기로 결심하기까지는 그에 상응하는 동기가 수반됩니다. 제게 있어 심꾸미 7기 기자가 되기로 마음먹는 데는 ‘새로운’ 글을 쓰고 싶다는 욕심이 동기로 작용했습니다.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글을 기재하는 경험을 해왔지만, 항상 제 시선은 사회 현상의 객관적 진실을 파악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습니다. 심리는 그저 언뜻 들어봤을 뿐 구체적으로 알 기회는 없었던 분야였습니다. 처음이지만 결국은 우리 삶 구석구석에 가까이 맞닿아 있는 심리라는 분야를 알아볼 경험을 ...
  • 한경민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마음껏 한다는 것
    The Psychology Times 2023-08-14
    [The Psychology Times=한경민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한다는 것 저는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고, 전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아서 심리학을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아주 처음부터 저의 목표는 ‘많은 보통의 사람에게 좋은 영향을 주는 사람’이었고, 그 목표는 지금도 변함없습니다. 확연히 치료를 받아야 하는 정신 질환을 앓는 사람이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 것도 매우 의미 있지만, 일상을 사는 것에 아무 문제가 없는 사람들의 삶의 질을 조금 더 높이는 것도 저에게는 큰 의미가 있습니다. 어제와 같은 하루가 ...
  • 박소영
    나의, 내 가족, 친구들, 그리고 내 주위의 소소한 심리 일기
    The Psychology Times 2024-02-14
    [The Psychology Times=박소영 ]안녕하세요, 심꾸미 8기 기자 박소영입니다.심꾸미 기자단을 시작한 게 엊그제 같은데 6기부터 시작해 벌써 8기를 마무리하며 어느덧 일 년 반이라는 시간이 지났습니다. 그동안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기사를 쓰면서 심꾸미 활동은 이제 익숙한 일과가 되어버린 것 같기도 합니다. 긴 시간 동안, 그리고 어쩌면 인생에서 가장 바쁘고, 열정 넘치는 일상을 심꾸미와 함께하다 보니, 나날이 바뀌고 발전하는 제 생각과 시선들이 심꾸미를 통해 그대로 글에 나타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신기하게도, 매 새 ...
  • 양다연
    심리학으로 더 나은 세상을 꿈꾸는 우리들
    The Psychology Times 2021-09-09
    [심리학 신문_The Psychology Times=양다연 ] 안녕하세요.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재학 중인 심꾸미 2기 기자단 양다연입니다.6월부터 매달 두 편의 기사를 작성하면서 이번 소감문을 마지막으로 총 여섯 편의 글을 완성하게 되었는데요, 대학생이 되어 처음으로 맞이하는 방학을 온전히 함께 해준 The Psychology Times와 심꾸미 2기 분들에게 정말 감사한 마음입니다. 이번 기사를 통해 3개월 동안 심꾸미 기자단으로서 활동하며 작성한 기사를 돌아보고, 그 과정에서 배우고 느끼게 된 점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6월 ...
  • 한윤아
    심리학 블로거에서 심리학 신문기자로
    The Psychology Times 2023-02-15
    [The Psychology Times=한윤아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았던 5개월간의 심꾸미 활동이 끝났습니다. 저는 심꾸미 활동을 알기 전에 저 스스로 궁금했던 심리학적 지식들을 방송이나 논문들을 찾아보고 제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며 다른 사람들이 제 글을 통해 심리학 정보를 알게되는 것이 너무 뿌듯했습니다. 이렇게 혼자서 활동을 하다가 심꾸미 활동을 알게되었습니다.심꾸미 7기 모집 공고를 보고 국내에서 손에 꼽히는 심리학 신문사에 제 글이 올라갈 것을 상상하며 너무 설레는 마음으로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아동심리학과 경영학을 전공하 ...
  • 추예솔
    내 글이 어떤 모양새로든, 지친 당신에게 가닿기를 바라며
    The Psychology Times 2022-05-17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추예솔 ] 내게 경이로운 해방의 경험을 안겨준 그 여정의 시작을 기억한다. 당시 나는 오지 않는 지하철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런데 뜻밖에도 지하철 대신 심꾸미 합격 문자가 왔다. 그렇게 입을 틀어막은 채 지하철에 타는 것도 잊고 제자리에 정지했더랬다. "됐다." 짧게 탄성을 내지르는 내 주변으로 사람들이 느릿하게 지나쳐갔다. 감격스러웠다. * 골방 속에 틀어박힐 때가 잦은 나는 줄곧 넘쳐나는 사유와 감정에 잠식되곤 한다. 그것들은 외면하고 싶을 만큼 추레하고 구차하다. 그래서 필 ...
  • 한소현
    일거다(多)득이었던 6개월을 마무리하며
    The Psychology Times 2024-02-19
    [The Psychology Times=한소현 ]2023년 여름은 한반도에서 가장 더웠던 여름으로 기록되었다고 한다. 그렇게 푹푹 찌던 여름날, 심꾸미 원고형 기자라는 타이틀을 걸고 심리학 신문에 글을 기고하는 활동이 시작되었다. 2023년 여름은 유난히도 내가 잘하고 있는게 맞을까? 라는 생각이 많이 들던 계절이었다. 처음 시작되었던 대학원 생활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성적을 받고, 글을 쓰는 행위에 대한 자신감이 바닥을 치던 시점이었다. 그래서 더 많은 글을 써보자 라는 생각이 들었고, 검색을 통해 심꾸미 기자 활동을 알게 되었다. ...
  • 이유진
    안녕은 영원한 안녕은 아니겠지요
    The Psychology Times 2023-02-17
    [The Psychology Times=이유진 ]심꾸미 6기는 대학교에 입학한 후 처음 도전해보는 대외활동이었다. 설레는 마음으로 지원서를 썼을 때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이 활동을 마무리 한다니 감회가 새롭다. 첫 대외활동을 마무리하다 보니 기분이 싱숭생숭하다. 심꾸미를 처음 지원하게 된 계기는 두려움 때문이었다. 재수를 한 후 대학에 입학하다 보니 사회에 뒤쳐진 거 아닐까 하는 두려움이 항상 존재했다. 그러던 중 대외활동 홈페이지에서 심꾸미 6기를 선발한다는 공고를 발견하여 지원했다. 어릴 적부터 심리상담 분야에 종사하시던 어머니 ...
15 16 17 18 19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