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기간
  • 언론사
    언론사 전체보기
  • 기자명

    기자명

    기자 내 포함 단어

  • 옵션유지
  • 상세검색
    무엇인가

    기본검색의 결과 범위를 줄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여러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쉼표(,)로 구분해서 입력하세요.

    도움말 초기화

뉴스

211-220 10,806

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박정훈
    깊은 생각의 비밀(김태훈·이윤형 지음)
    The Psychology Times 2024-03-25
    책 소개김경일 교수 · 최재붕 교수 · 유영만 교수 · 정민식 CP 추천! “당신은 지금 생각하고 있는가?” 세상은 스마트해지고 인간의 생각은 게을러진 시대, 당신의 파괴된 사고력을 소생시킬 생각 CPR 전략!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생각하지 않는 사회에서 생각하는 존재로 살아남기 위한 생각 훈련 수업OTT, 숏폼 영상을 종일 켜놓고 엄청난 양의 콘텐츠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는 시대, 우리는 수많은 정보를 받아들이고 있기는 하지만 점점 스스로 생각하기를 소홀히 하고 있다. 궁금하거나 모르는 점이 생기면 즉각 검색을 시도할 뿐 ...
  • 김승룡
    [새책] 이인권 대표, ‘블리스풀 마인드’-“삶의 레벨업” 지혜서 펴내
    전남인터넷신문 2023-09-23
    [전남인터넷신문/김승룡 기자] 문화커뮤니케이터로 활동 중인 이인권 문화경영미디어컨설팅 대표가 참다운 삶의 가치를 제시한 ‘Blissful Mind-블리스풀 마인드’-‘삶을 레벨 업 시키는 지혜’(도서출판 더로드)를 펴냈다. “재력, 권력, 명예 등 세상의 물리적 표상들은 단속적(斷續的)인 행복에 불과하다. 어떻게 보면 잠시 스쳐 가는 만족감이지 ‘지복’과 같이 영속적인 행복감을 주지 않는다. 다시 말해 물질적인 것들은 잠시 동안만 우리를 행복하게 할 수 있다.” - 본문 중에서 - 저자는 책에서 ‘지복’(至福) ‘더없이 참된 행복감 ...
  • 노상현
    당신의 삶이 무기력하다면
    The Psychology Times 2024-08-01
    [한국심리학신문=노상현 ]‘가슴 뛰는 삶’이 모토인 나에게 정반대의 친구가 찾아왔다. 그 이름은 바로 ‘무기력증’이다. 열정적으로 무언가를 하다가도 갑자기 힘이 쭉 빠지거나, 이게 의미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거나, 아무것도 하기 싫고 그냥 잠만 자고 싶다거나. 이러한 무기력증에서 벗어나고 싶어, 기사를 쓰며 무기력증이 무엇인지, 그 원인은 무엇인지, 그에 대한 해결책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려고 한다. 무기력증이란 사람에게 나타나는 무기력감, 회의감, 피로감, 의욕 저하 등의 일련의 증세이다. 이를 뇌과학적으로 설명한다면, 뇌의 동기 ...
  • 신지아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The Psychology Times 2024-09-30
    [한국심리학신문=신지아]욕심과 탐욕의 차이혹시 남의 것이 탐나 훔치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적 있나요? 아니면 원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 도전해 본 적은요? 두 가지 경우 모두 내가 바라는 걸 이루고 싶은 마음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그 결과는 전혀 다릅니다. 세상에 욕심 없는 사람은 없습니다. 어느 곳에든 있기 마련이지만, 이게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가거나 부정적인 동기로 시작된다면 개인과 조직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욕심과 탐욕을 구분할 줄 알아야 합니다.욕심과 탐욕, 한 끗 차이욕심과 탐욕은 비슷한 말처럼 보 ...
  • 박은지
    슈드비 콤플렉스: 쉬지 못하는 사람들
    The Psychology Times 2022-02-10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박은지 ]의미 있는 하루를 보내야 한다. 게으름은 죄악이다. 그는 쉬면서도 불안함을 느꼈다. 일정을 짜면서 남는 시간이 있으면 그 시간을 어떻게든 의미 있게 보내기 위해 할 일을 생각했다. 그리고 마침내 빽빽한 스케줄을 보고 만족감을 느꼈다. 계획을 지키지 못하면 게으른 자신을 자책하고, 지켰다면 성공적인 하루를 보낸 것이다. 습관처럼 대외활동 사이트를 뒤적거리고, 끊임없이 할 일을 찾았다. 그러다가 그는 문득 생각했다. ‘나는 지금 뭘 하는 거지? 왜 이걸 하고 있지?’슈드비 ...
  • 김민정
    자기합리화, 결국 만족하시나요?
    The Psychology Times 2024-07-12
    [한국심리학신문=김민정 ]본인이 판단할 때 옳지 않은 일을 옳다고 하면서, 또는 해야할 일인데 실제로는 하지 않고 있는 행동을 하는 경우가 있다. 내일 시험인 상황에서, 30분 공부하고 열심히 했다고 생각하고 쉰다는 상황도 해당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경험할 수 있는 상황이며, 매일 경험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자기합리화’는 무엇일까. 자기합리화란?자신의 태도나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합리적인 것처럼 보이는 이유를 찾아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자기합리화는 인지부조화를 줄이기 위한 방어기제라고 볼 수 있다. 인지부조 ...
  • 이종수
    나의 무기력이 유기력해질 수 있도록
    The Psychology Times 2024-08-05
    [한국심리학신문=이종수 ]나는 게으른 걸까? 무기력한 걸까? 먼저, 게으름이란 내부에서 생겨나며 일종의 습관으로 외부에서 쉽게 드러나고 관찰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무기력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유기체에 반하는 의식·무의식적 자극으로 ‘행위하지 않으려고 하는 힘’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기에 무기력이 게으름보다 우리를 더 힘들게 하고 극복하기 더 어렵게 만든다. 무엇이 우리를 무기력하게 만드는가?무기력과 관련된 이론에는 셀리그만의 ‘학습된 무기력’이 있다. 해당 이론을 간단히 설명해보자면 피할 수 없는 전기충격을 수십 번 경험한 ...
  • 백진민
    이 일이 나와 맞는지 모르겠어요!
    The Psychology Times 2022-03-07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백진민 ]의무 교육 시기부터 꿈과 진로에 대한 문제는 큰 고민으로 다가온다. 내 꿈이 무엇이고, 어떤 일이 나한테 잘 맞을 것인지 우리는 계속 질문받아 왔다. 그 질문은 특별히 한국 대학 입시에서 극대화 된다. 한국에서 입시란 곧 자신의 적성과 관심 분야에 맞는 학문을 선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진로 고민은 언제쯤 그만할 수 있을까? 그렇게 대학과 학과를 선택해도 끝이 아니다. 좁게는 계속 공부할 것인지 취업을 선택할 것인지에서부터, 넓게는 무슨 직업을 택할 것인지에 관한 모든 과 ...
  • 박지우
    누군가에게 귀를 기울인다는 것
    The Psychology Times 2024-04-25
    [한국심리학신문=박지우 ]필자의 세대는 어릴 적부터 자기 자신을 삶의 중심에 두고 살았다. 타인보다 잘나지는 않았어도 못나지 않은 탓에 종종 나르시시즘에 빠질 때도 많았다. 이에 내가 아닌 타인의 입장을 헤아리는 행위에 상당히 미숙했다. ‘배려’라는 용어조차 익숙지 않았기에 남을 위해 시간과 마음을 내어준다는 것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했다. 필자에게 타인은 그저 ‘낯선 이’였다. 이에 남들 앞에선 늘 내 얘기를 하기 바빴다. 사람들의 공통된 대화 주제가 ‘나’를 중심으로 이뤄지길 바랐다. 남들의 입장은 궁금하지 않았다. 오히려 타인의 ...
  • 김민정
    연쇄살인을 저지르는 이유
    The Psychology Times 2024-08-02
    [한국심리학신문=김민정 ]1986년부터 1991년까지 약 6년에 걸쳐 이춘재는 화성에서 연쇄살인을 저질렀다. 10명의 피해자는 모두 여성이라는 공통점이 있었지만 연령은 10대부터 70대까지 매우 다양했다. 범인은 논두렁이나 수풀 등에 숨어 밤 늦게 귀가하는 여성을 노려 납치하고 성폭행 후 스타킹이나 양말 등 피해자의 소지품을 이용하여 살해하였다. 이러한 연쇄살인의 특징은 무엇일까. 연쇄살인이란?‘연쇄살인’ 용어는 미국의 연쇄 살인자인 테드 번디(Ted Bundy)가 약 30여 명의 여성을 살해한 범죄를 설명하기 위하여 처음 사용되었 ...
20 21 22 23 24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