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31-40 142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누군가가 나를 해치려고 해’ 조현병에 대하여 2부
- The Psychology Times 2023-09-11
- [The Psychology Times=이지현 ]지난 글에서는 칼부림 사건의 급증과 관련해 조현병의 정의와 핵심 증상인 근거 없는 사실, 경험, 논리에 정정되지 못하는 믿음인 망상, 현실을 왜곡해 비현실적으로 받아들이는 환각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글에서는 조현병의 발병 원인과 함께 치료 방법 까지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대체 왜 발병할까?조현병은 생물학적 요인과 매우 밀접히 관련되어있다. 첫 번째로 뇌의 구조적 결함이다. 조현병 환자들의 뇌는 일반인보다 작은 뇌실, 적은 피질 양, 자기 통제를 담당하는 전두엽의 구조적 ...
-
-
- "사랑하는데 못 믿겠어, 괴로워"
- The Psychology Times 2022-02-11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추예솔 ]흔히 ‘의심과 집착’은 ‘사랑’과 양립할 수 없다고 한다. 사랑은 “절대적 신뢰를 기반으로, 상대방이 어떤 모습이든 온전히 받아들이고 품어주는 것”이라는 게 그 주장이다. 그런데도 불쑥 의심이 피어오를 때가 있다. 사회적 통념에 의한다면 이는 곧 상대방을 사랑하지 않는 것이라고 봐야 할까? 어쩌면 맞을 수도 있겠다. 그러나 필자는 여기에 완전히 동의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가벼운 정도의 의심은 ‘관심의 척도’로 보는 편이다. 이유는 이러하다. 필자는 가족이나 친구와 같은 ...
-
-
- 대학에 합격하면 더 이상 불안하지 않을 것 같았습니다.
- The Psychology Times 2022-06-16
- [The Psychology Times=조민경 ]고등학교 시절, 내가 가장 많이 했던 말은 ‘대학 가기만 하면, 난 무엇이든 다 할 수 있어’이다. 화자를 바꾸어 ‘대학만 합격하면 하고 싶은 거 다 해’라는 말은 들어본 적이 있는가?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2021년 고등학교에서의 상급학교 진학률, 즉 대학 진학률은 70%에 이르렀다. 그 수치는 해마다 증가세에 있다. 이렇게 높은 대학 진학률을 보이는 우리나라에서 고등학생들에게 대학은 어떤 의미일까? 그들에게 대학은 정말 전부일까?나의 고등학교 시절, 나는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망 ...
-
-
- 지난해 교수들이 뽑은 사자성어 아시타비...'인간 본능의 방어기제'
- 뉴스포인트 2021-03-11
- (사진=이미지투데이)[뉴스포인트 이상지 기자] 지난해 12월 20일 교수신문은 교수 9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588명(32.4%·복수응답)이 올해의 사자성어로 아시타비(我是他非)를 선택했다고 밝혔다.아시타비(我是他非)는 나는 옳고 상대는 틀렸다는 이중잣대를 한자어로 옮긴 것으로 신조어에 가깝다. 1990년대 정치권에서 이중잣대를 비판하는 관용구로 쓰이던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하면 불륜'이 '내로남불'로 줄여 쓰이면서 아시타비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한 것이다.하지만, 심리학에서는 아시타비의 현상은 어쩔 수 없는 인 ...
-
-
- "울 수 없으니까 웃는 것이다"
- The Psychology Times 2022-04-25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김혜령 ]내 약점 하나를 밝히면, 남을 웃기는 데에는 영 재주가 없다는 것이다. 그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실컷 남을 웃기고 나는 웃지 못하는 사람보다는 낫지 않을까 하는 거다. 비록 남을 웃기는 재주는 없지만 나는 웃을 일이 많다. 유머감각을 발휘해도 웃어주는 사람이 없으면 소용이 없으니, 잘 웃는 재능은 타인의 유머를 완성시켜주는 것이라고 자위해본다.마지막으로 배꼽 빠지게 웃은 날이 언제였던가 생각해보자. 화내고 짜증내고 눈물 흘릴 일은 많아도 깔깔거리고 웃을 일은 좀체 ...
-
-
- 책임을 넘겨받은 사람들의 이야기
- The Psychology Times 2024-12-31
- [한국심리학신문=김정민 ]'희생양'이라는 단어는 오래된 유래를 가지고 있다. 성경에 따르면, 유대인들은 속죄의 날에 두 마리의 염소를 선택했다고 한다. 한 마리는 신에게 제물로 바치고, 다른 한 마리는 마을의 모든 죄를 상징적으로 떠안고 광야로 쫓겨났다. 이렇게 죄를 짊어진 염소가 바로 '희생양'의 기원이다. 1. 희생양 (scapegoat)이란 무엇일까?오늘날 '희생양'은 어떤 문제나 실수를 해결하기 위해 특정 개인이나 집단이 부당하게 비난받는 상황을 묘사할 때 쓰인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는 한 자녀가 "문제아"로 낙인찍혀 가족 ...
-
-
- 지난 6개월의 마침표
- The Psychology Times 2023-08-07
- [The Psychology Times=남혜원]안녕하세요, 심꾸미 7기 원고형 기자 남혜원입니다.약 6개월 동안 진행한 심꾸미 기자단 활동을 마무리하며 활동 후기를 작성합니다. 시간이 어떻게 흘렀는지 모를 정도로 빠르게 지나갔는데요. 지난겨울에 제가 처음 심꾸미 기자단을 지원할 때가 다시 생각납니다. 그때에 비하면 저도 심꾸미 활동을 통해 많은 것을 얻은 것 같습니다. 저는 총 12편의 기사를 발행하였습니다. 오늘 후기 기사 작성을 통해 제가 이때까지 발행한 기사를 다시 한번 회고하며 여정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주로 일상에서 ...
-
-
- 사랑의 준비물
- The Psychology Times 2023-05-02
- [The Psychology Times=김은수 ]다른 심꾸미 기자님들의 기사에서도, 주변에서도 자주 나오는 이야기가 사랑에 관한 것 같다.대학생, 한창의 청춘인 데다가 봄까지 찾아오니 사랑하기에 적절한 시기가 아닐 수 없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기사에는 윤홍균 정신과 전문의께서 집필하신 <사랑 수업>이란 책을 통해, 사랑을 담아보고자 한다. 여러분의 애착 대상은 누구인가? 혹은 무엇인가?애착이란 친밀한 사이에서 형성되는 정서적 관계를 의미한다.우리는 살면서 다양한 사람을 만나고 관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관계에서 신뢰가 생기고 정서적 ...
-
-
- 당신도 누군가에겐 팅커벨일 수 있지 않을까?
- The Psychology Times 2023-01-09
- [The Psychology Times=안혜린 ]혹시 어린 시절, <피터팬> 이야기를 보면서 네버랜드로 가고 싶다는 상상을 한 적이 있는가? 해당 이야기의 주인공인 피터팬은 영원히 어른이 되지 않은 채 마음껏 꿈을 꿀 수 있는 공간인 이 네버랜드 속에서 살고 있는 등장인물이다.그리고 그러한 네버랜드와 피터팬의 속성을 가지고 이름 붙인 ‘피터팬 증후군’에 대해서는 흔히들 자주 들어봤을 것이다. 1983년 카일리란 심리학자가 명명한 해당 증후군은 성인이 돼서도 현실을 도피하고자 스스로 어른이라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심리를 가진 것을 ...
-
-
- 심리학으로 더 나은 세상을 꿈꾸는 심꾸미 1기 활동 마침
- The Psychology Times 2021-06-09
- [심리학 신문_The Psychology Times=강다희 ]안녕하세요. 심꾸미 1기 강다희 기자입니다.이번 활동 후기 글을 마지막으로 심꾸미 1기 활동이 종료됩니다. 이번 글을 통해 심꾸미 활동을 하며 제가 쓴 기사를 다시 돌아보고. 활동 후기를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2월 프로젝트는 여러 분야의 이슈 안에서 발견하는 심리학을 자유롭게 기사로 작성하는 과제였습니다.그래서 2월 1차 기사로 <이상하다는 걸 알면서도 빠져든다고? - 신천지에 숨은 심리조작>을 작성했습니다. 신천지가 사람들에게 접근하는 방식에서 심리학을 발견할 수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