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기간
  • 언론사
    언론사 전체보기
  • 기자명

    기자명

    기자 내 포함 단어

  • 옵션유지
  • 상세검색
    무언가

    기본검색의 결과 범위를 줄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여러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쉼표(,)로 구분해서 입력하세요.

    도움말 초기화

뉴스

421-430 812

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김가은
    혼자서는 아무 것도 못하는 로봇이라고?
    The Psychology Times 2024-07-25
    [한국심리학신문=김가은 ]흔히 ‘로봇’이라는 말을 들으면 미래에 인류를 정복할지도 모르는 무서운 존재, 인간보다 신체적 조건이 우수해서 어려운 일을 쉽게 해내는 존재 등의 이미지가 머릿속에 그려진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꽤 오래전부터 이와 반대되는 ‘약한 로봇’이 신선한 충격을 가져다주고 있는데, 이 로봇은 사회적인 통념과 다르게 인간의 도움이 필요하며, 목표 행동도 어딘가 어설프기에 종종 실패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일본에서 이러한 로봇을 만든 이유는 단순히 재미를 위한 것일까? 본 기사를 통해 약한 로봇이 사회적, 심리적 측면에서 ...
  • 이채현
    참새야 짹짹해봐, 고양아 야옹해봐!
    The Psychology Times 2024-10-17
    [한국심리학신문=이채현 ]이 기사를 쓰고 있는 지금은 2024년 고려대학교와 연세대학교의 대학교 정기전이 열리는 날이다. 흔히 알려져 있는 고연전, 연고전이라 불리는 바로 그것이다, 1962년 보성전문학교, 연희전문학교 시절부터 뿌리깊게 이어져 온 깊은 전통으로, 매년 매 해마다 열리는 고려대 연세대 양측의 가장 중요한 행사 중 하나로 여겨진다. 기사의 제목인 참새와 고양이는 고려대학교의 상징 동물인 호랑이, 연세대학교의 상징 동물인 독수리를 가지고 정기전에서 서로를 놀릴 때에 사용되는 말이다. 두 학교 사이의 경쟁 의식을 보여주는 ...
  • 노민주
    씨네필과 심리가 만나면 세상을 바꾼다
    The Psychology Times 2024-07-31
    [한국심리학신문=노민주 ]하루 종일 영화와 함께해도 질리지 않고, 영화를 진심으로 사랑하는 영화광이라 불리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씨네필’이다. 이들은 수많은 영화를 보고 감상하는 것에 재미를 느끼고 영화와 관련된 많은 것들에 열광한다. 씨네필이 심리를 만나면 어떻게 될까? 다시 말해 씨네필이 심리학자라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심리적인 관점에서 본 영화씨네필이자 심리학자인 ‘씨네필 심리학자’는 영화라는 매체가 매력적인 이유를 심리적인 관점에서 해석한다. 우선 영화는 주관성을 통해 이미지를 해석할 수 있는 ‘놀이적인 속성’을 가지고 ...
  • 오성욱
    잘해줄 땐 잘해줘요.
    The Psychology Times 2024-07-23
    [한국심리학신문=오성욱 ]무더운 여름 어느 날 오랜만에 B양을 만나 차 한 잔을 마셨다. 연애에 푹 빠져서 시간 내기가 어려웠다고 말하며 카페라테를 홀짝홀짝 마시는 B는 여전히 밝고 유쾌한 모습이었다. 그런데 이상하다. 좀 전부터 내 눈에 뭔가 계속 거슬렸다. 시야에 은은한 보랏빛의 무언가가 걸렸다. 내 눈이 삐었나? 아니다. 힘겹게, 조심스럽게, 최대한 내 눈동자의 이동을 들키지 않게 훔쳐보았다. 멍 자국이었다. B의 가녀린 왼쪽 팔에 내 주먹만 한 시퍼런 멍 자국이 주먹 모양으로 찍혀 있었다.물어보고 싶었다. 어쩌다 생긴 멍 자 ...
  • 정연수
    중독이란 무엇인가?
    The Psychology Times 2024-06-07
    [한국심리학신문=정연수 ]보상회로란?자연보상과 인위적 보상 음식, 물, 양육 같은 자연 보상은 우리가 먹고, 마시고, 자녀를 낳아 양육할 때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생존에 필요한 이러한 즐거운 감정은 보상효과와 연결되어 행동을 반복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보상에는 이러한 자연 보상뿐 아니라 술, 담배, 약물과 같은 인위적인 보상도 있다.보상회로와 도파민 보상회로의 중요 부위는 복측피개 부와 중격측자핵 그리고 전전두엽 피질이다. 복측피개부는 보상회로를 통해 중격측자핵과 전전두엽피질과 연결되며 뉴런을 통해 이들 구조에 정보를 ...
  • 서정원
    주의력 전쟁에서 승리하는 방법
    The Psychology Times 2024-04-26
    [한국심리학신문=서정원 ]주의력 전쟁에서 승리하는 방법거리 곳곳에 벚꽃이 휘날리는 걸 보며 괜스레 맘이 들뜨게 되는 계절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벚꽃 소식은 동시에 대학생들의 중간고사 기간이 돌아왔음을 알리는 소식이기도 합니다. 학생들 사이에서는 우스갯소리로 ‘벚꽃의 꽃말은 중간고사’라고 할 정도입니다. 벚꽃에 홀려 밖에서 열심히 놀다 오고 나면, 어느새 산더미처럼 쌓인 시험공부 분량들을 마주할 수 있습니다. 분명히 몇 주 전부터 시험공부를 시작한다고 되뇌며 살았지만 눈앞에 닥친 과제부터 처리하느라 공부해 놓은 것은 없고, 어느새 코 ...
  • 서정원
    머릿속의 바다에 닻이 걸리다
    The Psychology Times 2024-08-05
    [한국심리학신문=서정원 ] 인간의 합리성에 딴지걸기‘인간은 합리적인 존재이다.’ 여러분은 이 말에 얼마만큼 동의하시나요? 얼핏 들으면 자연스레 고개가 끄덕여지는 말일 것 같습니다. 인간 존재를 설명하는 수많은 말이 이를 대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철학이 처음 꽃피운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합리성, 이성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어주는 최고의 가치처럼 여겨져 왔습니다. 현 인류의 종인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는 ‘지혜가 있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이성, 사고력은 다른 생물 종들과 인간을 확연히 구 ...
  • 서성열
    [기고]인생 2막 서두르지 말자, 멀리 보면 늘 행복하다
    전남인터넷신문 2024-10-07
    33년의 군 생활을 마무리하며 꿈꾸었던 인생 2막을 시작한다.2014년 12월 12일, 내 생의 스물일곱 번째 이사가 마지막이 되기를 기대하며 남원시 산내면 원천마을에 짐을 풀고 인생 2막을 시작하였다. 이사하는 날 눈이 내리면 잘 산다고 했던가? 축하라도 하듯 떡가루 같은 눈송이가 하얗게 날리며 반겨 주었다. 귀촌을 준비하며 1년간 아내와 함께 한국벤처농업대학을 다녔고, 졸업식 날 180여명의 동기생들 앞에서 아내에게 귀촌 프러포즈를 하였고, 살며시 웃으며 손 잡아준 아내의 배려로 가슴 뛰는 삶이 시작되었다. 지리산 뱀사골에서 시 ...
  • 서정원
    언제나 꿈에서 깨어남을 느끼는 삶
    The Psychology Times 2024-06-03
    [한국심리학신문=서정원 ]언제나 기억상실증에 걸리는 주인공들‘기억상실증’이란 단어를 들으면 어떤 장면이 먼저 떠오르시나요? 기억상실증은 여러 영화나 드라마에서 소재로 많이 쓰여왔기에 전형적으로 생각나는 틀에 박힌 몇몇 장면들이 있습니다. 사고로 정신을 잃었다가 병원에서 깨어난 주인공이, 앞에 있는 연인을 보고 “이 사람은 누구야?”하고 묻는 장면같이 말입니다. 이 주인공들은 흔히들 사고 전의 몇 년간의 과거 기억이 없어져서 연인에 대한 기억이 전부 날아가 버렸음을 경험하고는 합니다. 이처럼 기억상실증은 로맨스 작품에서 주인공의 사랑 ...
  • 김혜령
    아이를 통해 '나'를 키워갈 뿐
    The Psychology Times 2024-05-07
    [한국심리학신문=김혜령 ]# "제가 이렇게 화를 잘 내는 사람은 아니거든요"같은 개월 수의 아들을 키우는 엄마 P와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본인은 살면서 좀처럼 화 낼 일이 없었는데 아이를 키우면서 자꾸 화 내는 일이 잦아진다고 해요. 어제도 물건을 자꾸 던지고 부엌을 엉망으로 만든 아이에게 저도 모르게 소리를 질렀다고 합니다. 감정의 기복이 거의 없어보였던 그녀의 남편도 가끔 버럭하는 걸 보니 육아는 원래 이런건가 싶기도 했다고 해요. 저는 P가 했던 말 중에 '제가 이렇게 화를 잘 내는 사람은 아니거든요.' 라는 말이 가볍게 들리 ...
41 42 43 44 45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