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501-510 4,101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상추와 졸음
- 전남인터넷신문 2023-01-17
- [전남인터넷신문]틱톡(TikTok)에 올라온 동영상 하나가 화제를 일으키고 있다. 샤플라 호케(Shapla Hoque)라는 여성은 양상추 열수 추출물을 마시면 졸음이 온다며 상추 추출물을 만드는 법을 공개했다. 동영상 속에서 샤플라 호케는 상추를 씻어서 머그컵에 넣고, 끓는 물을 붓고, 민트차 티백을 넣고 마신다. 그리고 동영상 말미에서 샤플라 호케는 매우 졸린다며, 잘 자요! 라고 말한다. 이 동영상은 조회수가 700만 회 이상을 기록했으며, 해시 태그는 3000만회 이상 조회수를 기록했다. 그리고 많은 사람이 동영상을 따라서 양 ...
-
-
- 나비완두콩 꽃 색소, 국내는 불법 미국은 합법
- 전남인터넷신문 2022-02-25
- [전남인터넷신문]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나비완두콩(Butterfly Pea) 꽃 색소 사용을 단속함에 따라 이 꽃이 화제에 오르고 있다. 청색 색소를 갖는 나비완두콩 꽃은 인도와 동남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 꽃과 꽃 추출 색소를 다양한 식품에 상용하고 있다. 청색이 아름답고, 열 안정성이 높아 매력적이며 동남아시아에서는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국내에서 사용하는 것은 불법이다. 국내에서 불법인 이유는 “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이며, 그 기준은 식약처의 식품공전 ‘식품원료’목록에 없어서이다. 국내에서는 언제 합법이 될지 ...
-
-
- [독자기고] 황새의 희생
- 전남인터넷신문 2022-01-28
- 황새의 희생 황새는 예로부터 길조(吉鳥)로 여겨졌는데 황새가 군락을 이루면 큰 벼슬을 할 사람이나 만석꾼이 태어난다는 속설이 있을 정도로 친근한 우리나라 농촌의 텃새다. 하지만, 현재는 줄어드는 개체로 인해 멸종위기종이 된 황새는 다른 새들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먼저 황새는 한번 짝을 맺으면 평생 자신의 짝을 보살피는 독특한 새인데 심지어 수컷이 죽으면 암컷은 죽기까지 혼자 사는 일도 종종 있다고 한다. 그리고 깊은 부부애만큼이나 더 특별한 것이 있는데 그건 바로 '자녀 사랑'이다.대부분의 새는 수컷과 암컷이 번갈아 가며 먹 ...
-
-
- 구례장에서 만난 질경이와 소멸 음식
- 전남인터넷신문 2022-04-06
- [전남인터넷신문]지난 4월 3일 구례 읍내에 있는 구례장을 방문했다. 구례에서 생산되는 봄철 식자재 조사차 방문한 구례장은 사람들로 가득했다. 각종 봄나물을 팔려 나온 시골 어르신들. 곡성에서 구례로, 하동과 광양에서 구례로 이어진 섬진강변의 벚꽃 가로수 길을 따라 구례로 온 관광객들 간에 물건을 팔고 사는 모습은 시골장이라고 보기 어려울 정도로 활기찼다. 붐비는 사람들 틈에서 식자재 종류 하나하나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눈에 띈 것 중의 하나는 질경이였다. 질경이는 잎이 다소 질긴 편이며, 길가에 잘 자란다. 그러므로 질경이 이름의 ...
-
-
- 투잡 뛰는 공무원…국가 및 지방 공무원 겸직 허가 5천 명 넘어
- 서남투데이 2023-10-17
- 더불어민주당 송재호 의원(제주시 갑·행안위)이 중앙 정부와 지자체로부터 받은 ‘공무원 겸직 허가 현황 자료’에 의하면 중앙부처 공무원 2022년 기준 3,270명, 지방공무원 2,503명이 겸직 허가를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중앙부처 겸직 공무원 현황 자료에 의하면 총 49개의 중앙부처 중 겸업이 많은 부처는 경찰청(581명), 농촌진흥청(324명), 교육부(254명), 보건복지부(191명), 법무부(164명) 순이다. 이외에도 부동산임대업과 개인 방송 등 특정 유형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경찰청 등의 부처가 눈에 띄게 증가한 수치를 ...
-
-
- 해남 월동 배추겉절이
- 전남인터넷신문 2023-02-15
- [전남인터넷신문]배추는 약 95%가 수분이다. 나머지 5%에는 칼륨, β카로틴, 비타민 C, 칼슘, 마그네슘 등 몸에 필요한 영양소가 있고, 많이 먹어도 저칼로리이다. 배추는 외부 잎과 중심의 심지 부분에 포함된 영양소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외부의 녹색 잎은 비타민 C와 베타카로틴이 많고, 중심의 하얀 심에는 칼륨이 많은 편이다. 배추는 단맛이 강하고 아삭거리는 식감이 좋아 겉절이로도 많이 이용된다. 겉절이는 김치의 한 종류로 배추 등의 채소를 즉시 양념에 무쳐 먹는 반찬이다. 저장을 위해 염장하는 김치와는 달리 겉만 절이기 때문 ...
-
-
- 전남산 계란, 특색을 입히자
- 전남인터넷신문 2020-11-19
- [전남인터넷신문]전남에서 생산된 계란 매장을 찾았다. 왕란, 유정란, 동물복지란, 무항생제 인증란, 1등급 판정란, HACCP 지정 받은 란 등이 판매되고 있었다. 계란의 크기, 사육 양식, 위생에 관한 것들이 계란에 반영은 되어 있었지만 위생 등은 기본이라고 할 때 전남 및 농가별 고유의 특색은 없었다. 계란 간에 차이가 없기 때문에 특정 브랜드 및 농가가 생산한 계란에 대한 소비자 충성도가 높지 않았다. 가격 또한 우월적 차별성에 의한 안정성을 갖지 못한 채 공급과 수요에 따른 변동이 큰 것으로 나타나 대책이 요구되었다. ...
-
-
- 재미 농업과 퇴직자의 농촌 이주
- 전남인터넷신문 2024-01-02
- [전남인터넷신문]새해 첫날 태국 치앙마이에 있는 지인으로부터 안부 문자를 받았다. 문자를 주신 분은 70세가 넘는 분으로 태국에서 거주 한지 상당히 오래되었다. 코로나19 유행 기간에 잠시 한국에 거주했다가 코로나19 유행이 끝나고 다시 치앙마이로 떠났다. 그분이 태국 치앙마이 시골 마을로 떠난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인 문제였다. 그분은 과거에 성직자로 살다가 공예가로 전직했다. 공예가로의 삶은 정신적으로 행복했으나 노후에 금전적으로 걱정하지 않을 만큼의 소득을 올리지 못했다. 노후 소득은 기초연금 외에는 없었다. 연로해서 일할 곳 ...
-
-
- 일본 장례에서 생화제단 확산 동력이 된 모티브
- 전남인터넷신문 2024-06-07
- [전남인터넷신문]일본 장례에서 생화제단이 기존의 시라키 제단(白木祭壇)과 큰 차이점 중의 하나는 모티브이다. 생화제단에는 모티브를 넣는 경우가 많은데, 제단의 보급에 장애가 되는 특정 종교와는 별로 관련이 없다. 특별히 모티브가 없는 단체 장례식도 있으나 일종의 모티브나 의미가 있는 장례식이 꽤 많았고, 지금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생화제단에서 모티브는 생화제단의 보급과 발전에 큰 역할을 해왔음은 과거의 모티브 생화제단 사례에서도 찾아볼 수가 있다(山田慎也. 2001. 死をどう位置づけるのか : 葬儀祭壇の変化に関する一考察. 国立歴史民 ...
-
-
- 나 말고 다른 사람들이 하겠지, 뭐
- The Psychology Times 2022-10-17
- [The Psychology Times=김예원 ]이번 기사에서는 심리학 현상 하나를 소개하고자 한다. 농업공학자이자 사회 심리학자인 Max Ringelmann이 제시하였기 때문에 링겔만 효과라고도 불리는, 사회적 태만 현상이다. 이는 집단 속에 참여하는 사람의 수가 늘어갈수록 오히려 성과에 대한 1인당 공헌도가 떨어지는 집단적 심리 현상을 뜻한다. 그러므로 링겔만 효과는 매우 역설적인 특성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링겔만 효과의 발견농업공학자로서 말을 연구하던 링겔만은 말 한 마리보다 두 마리가 수레를 끌면 2배의 힘이 작용할 것으로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