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기간
  • 언론사
    언론사 전체보기
  • 기자명

    기자명

    기자 내 포함 단어

  • 옵션유지
  • 상세검색
    불행

    기본검색의 결과 범위를 줄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여러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쉼표(,)로 구분해서 입력하세요.

    도움말 초기화

뉴스

631-640 722

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페르세우스
    제32장. 비인지 능력(눈치, 끈기 등)을 키워줄걸
    The Psychology Times 2022-12-19
    [The Psychology Times=페르세우스 ]AQ(Adversity Quotient)를 키우는 교육 5 : 비인지 능력(눈치, 끈기 등)을 키워줄걸재치는 스스로 환영받고 모든 차이를 무너뜨린다. 그 어떤 위엄성, 학력, 강인한 품성도 적절한 재치에는 상대가 되지 않는다. - 랠프 월도 에머슨 - 요즘 부쩍 비인지 능력이 있는 사람이 진정한 인재라는 주장이 요즘 들어 점점 힘을 얻고 있습니다. 비인지 능력은 지능, 기억력 등으로 대표되는 인지능력과는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열정, 소통, 끈기, 집념, 눈치 등을 뜻하죠. 단어만 ...
  • 한성열
    닮고 싶은 어른이 사라지는 한국…아버지부터 달라지자
    The Psychology Times 2020-10-08
    1975년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를 공동 창업해 30대 초반인 1995년부터 세계 최고의 부호(富豪)가 된 빌 게이츠(Bill Gates)의 부친 빌 게이츠 시니어(Bill Gates Senior)가 지난 9월 14일 향년 94세를 일기로 별세하였다. 그의 사망을 계기로 그와 아들과의 관계가 새삼 주목받고 있다. 왜냐하면 오늘날의 빌 게이츠는 아버지가 없었다면 존재하지 않았을지도 모를 만큼 아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빌 게이츠도 "아버지는 내가 되려는 모습 전부였다"라며 아버지를 애도(哀悼)한 것을 보면 잘 ...
  • 김민지
    만남과 연애, 이제는 감정적으로 하지 말고 이성적으로 하세요(?)
    The Psychology Times 2023-05-12
    [The Psychology Times=김민지 ]데이트 앱. 막상 나의 주변 지인들 중에서는 쓰는 사람을 못 봤는데, 신기하게도 실 수요는 날이 갈수록 늘어나다 못해 치솟고 있는, 각종 앱스토어에서도 늘 상위권에 당당히 자리 잡고 있는 앱들.이렇게 데이트 앱의 사용자 수는 날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도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에 대한 사회의 시선은 곱지 않고, 오히려 빈말로라도 좋다고 할 수 없는 편견들만이 가득하다. 당신은 어떠한가? 앱을 통한 만남, 그것은 그저 가볍고 위험한 짓이며 해당 앱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렇게 해야만 ...
  • 김혜령
    사랑은 삶을 버티게 한다
    The Psychology Times 2022-05-17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김혜령 ]당신이 나를 더 좋은 사람이 되고 싶게 했어이것은 사랑고백이다. 영화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의 대사인 이 문장은 괴팍한 성격에다 까탈스런 성격의 남자, 멜빈이 사랑하는 여인에게 어렵게 건넨 진심이다.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고 결점을 극복해보고 싶다는 뜻이며, 당신으로 인해 달라지고 싶어졌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그래서 이 고백은 ’사랑해‘라는 말을 대신하기에 충분하다.멜빈의 마음처럼 사랑은 기꺼이 자신이 더 나은 사람이 되고 싶게 한다. 완고함을 녹이고, 스스로를 겸 ...
  • 김남금
    장비발, 자신감이 아닙니다
    The Psychology Times 2023-08-23
    [The Psychology Times=김남금 ]관계 중심의 집단 문화에서는 옷이나 취미 장비조차 소속 기호로 받아들여지는 경향이 있다. 옷을 비롯한 장비를 마치 집단으로 들어가는 패스로 여긴다. 똑같은 장비를 사용하지 않을 때 집단 바깥에 머무는 것으로 받아들인다. 옷이나 장비를 기능적 면에서 보아야 할 하지만, 실제로 잘 안 보일 때가 종종 있다. 소비 심리는 소속감으로 자아 정체성을 드러내려는 욕구라고 알려져 있다.집단 맥락에서만 정체성을 찾게 되면, 스스로를 ‘미운 오리 새끼’로 만들기 쉽다. 물론 우리는 사회적 동물이라 우 ...
  • 한성열
    머리만 좋은 '반쪽인재'보다 도덕지능 갖춘 균형잡힌 인재가 필요한 시대
    The Psychology Times 2021-12-23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성열 ]인간의 행동을 경험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심리학에서는 다양한 검사를 개발한다. 이 검사를 통해 객관적인 자료를 얻고 그 자료의 의미를 통계적 처리를 통해 검증한다. 다양한 심리검사 중에서도 제일 먼저 개발되고 일반인에게도 널리 알려진 것이 지능(知能, intelligence)검사이다.중세 봉건사회에서는 소수의 귀족 자녀들만이 개인교사를 두고 공부할 수 있었다. 그 과정을 통해 세습된 신분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쌓았다. 하지만 대다수를 차지하는 평민과 노예는 비싼 교 ...
  • 추부길
    "과거에 발목 잡혀선 안 돼"…文대통령, 한일관계 복원 타진
    와이타임즈 2021-03-01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열린 제102주년 31절 기념식에 참석해 만세삼창을 하고 있다.[사진=뉴시스]"위안부 문제 해결에 있어서도 가해자인 일본 정부가 '끝났다'라고 말해서는 안 된다. 전쟁 시기에 있었던 반인륜적 인권범죄행위는 끝났다는 말로 덮어지지 않는다."(2018년 3월1일)"과거에 발목 잡혀 있을 수는 없다. 과거의 문제는 과거의 문제대로 해결해 나가면서 미래지향적인 발전에 더욱 힘을 쏟아야 한다."(2021년 3월1일)문재인 대통령의 3·1절 기념사에선 대일 정책 기조 변화가 ...
  • 노주선
    심리만만. 슈퍼맘 & 슈퍼대디, 나도 될 수 있을까요?
    The Psychology Times 2022-02-15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노주선 ]1. ‘슈퍼맨’이라는 영화에 대한 추억최근에는 소위 “히어로 영화”라는 것이 가히 전성시대를 이룰 정도이다. 마블이나 DC코믹스 등 소위 만화에만 나오던 영웅들이 스크린을 통해 좀 더 현실적이고 있을 법한 캐릭터로 만들어지더니, 급기야는 ‘어벤저스’와 같이 떼를 지어 나와 지구를 구원하고 우리를 보호해준다. 분명히 영화적 허구임을 알기는 하지만 그래도 이제는 어디에 진짜로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까지도 들 정도로 우리에게 친숙해져 버렸다.이와 같은 히어로 영화의 원조는 단 ...
  • 한민
    매국노와 애국지사의 차이
    The Psychology Times 2022-10-26
    [The Psychology Times=한민 ]매국노와 애국지사. 친일청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이만큼 대비가 선명한 용어도 없을 겁니다. 우리는 매국노(賣國奴)를 거의 최상급의 욕으로 씁니다. 그만큼 매국노라는 말에는 온갖 부정적인 이미지들이 결합되어 있습니다. 매국노들은 오로지 돈과 권세에 눈이 먼 자들이었고, 도덕적으로도 못된 놈들이었다는 이야기죠. 매국노의 대명사 같은 경우는 며느리와 정을 통해 아들이 자살했다는 소문이 퍼지기도 했었습니다. 이러한 이미지들에는 그 정도로 부도덕적인 놈이니까 나라를 팔아먹을 ...
  • 한성열
    美 인종차별 반대시위 핵심요소는 '편향된 시각'에 대한 분노
    The Psychology Times 2020-08-03
    서울 종로구 주한미국대사관 외벽에 걸린 Black Lives Matter 현수막. /주한미국대사관 트위터 현재 미국 사회를 혼란의 도가니로 만들고 있는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시위는 2020년 5월 25일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서 경찰의 과잉진압으로 비무장 상태의 흑인남성 조지 플로이드가 사망하면서 촉발되었다. 플로이드 사건은 편의점에서 위조된 20달러 지폐가 사용됐다는 신고에서 시작됐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미니애폴리스 경찰은 현장 인근에서 술에 취해 자신의 차에 앉아 있던 플로이드를 체포했다. 다음 날인 5월 26일, 한 행 ...
62 63 64 65 66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