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61-70 188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집중력 제로, 성인 ADHD인가?
- The Psychology Times 2024-01-16
- [The Psychology Times=김나연 ]ADHD로 불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는 아동기나 청소년기에만 존재하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증상이 호전되는 특징을 보이는 정신적인 문제로 여겨져왔다. 그러나 시간이지나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치유되지 않은채 남아있던 증상이 성인기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ADHD 진단을 받은 아동의 33%에서 66%가 성인 ADHD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성인 ADHD 진단 비율 ...
-
-
- 행복한 다문화 가족을 만드는 "부모 교육"의 비밀 3가지
- The Psychology Times 2023-02-24
- [The Psychology Times=성지은 ] 대부분의 사람들은 각자 나라에서 태어나고 자라며, 그들의 정체성을 당연히 인정받고 살아가는데 문제가 없다. 하지만 내국인과 외국인이 결혼한 다문화 가족의 자녀라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이들은 외모가 한국인과 다르다는 이유로 차별을 받고, 심지어 자신의 정체성을 부정하며 세상과 담을 쌓기도 한다.그렇다면 이들이 올바른 가치관을 함양하여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우선적으로 다문화 가족의 화합을 위한 부모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다음으로 다문화 가족의 화합에서 가장 중요한 ...
-
-
- 심리적 낭떠러지에 있는 청소년, 이대로 괜찮은가
- The Psychology Times 2023-10-23
- [The Psychology Times=김나연 ]최근 뉴스에서 '우울증 갤러리' 사이트를 통한 청소년 자살이 자주 언급되었으며, 청소년 자살과 우울증이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추세이다. 청소년 우울증에 대한 이해와 해결책 부진으로 인해 청소년들이 온라인 그루밍, 성착취, 그리고 심지어 동반자살과 자살 부추김 등의 범죄의 대상이 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청소년 우울증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이 필요하다.[청소년 우울증 현황]흔히 '질풍노도의 시기'라고 불리며 감정의 변화가 큰 청소년 시기에 우울감 ...
-
-
- 나는 부모 이전에 자녀, 자녀 이전에 '나'이고 싶다
- The Psychology Times 2022-03-18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박은지 ]인간은 태어나면서 사회 환경에 노출되고 그 안에서 변화하고 성장한다. 그중 개인이 성장하고 발달하는 데 가장 영향력이 있는 사회 환경이자, 처음으로 만나게 되는 사회화 기관이 바로 가정일 것이다.아무것도 몰랐던 아이는 양육자의 보호 아래서 가족 밖의 세계를 탐색하고,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사회의 규칙과 질서를 배우게 된다. 그리고 언젠가 자신을 책임질 힘이 생기게 되면 부모와 분리된 독립적인 성인이 될 것이다. 하지만 모두가 이러한 성장 과정을 거치는 것은 아니다.아 ...
-
-
- 묻지마 범죄, 왜 발생할까?
- The Psychology Times 2023-09-18
- [The Psychology Times=백지혜 ]묻지마 범죄최근 대한민국을 떠들썩하게 만들고 있는 사건들이 연달아 발생하고 있다. 바로, ‘묻지마 칼부림 사건’이다. 묻지마 칼부림 사건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도 이미 우리 사회는 충분히 패닉에 빠져있지만, 인터넷에 실시간으로 업로드되는 수많은 묻지마 칼부림 예고들이 우리 사회의 혼란을 더더욱 가중하고 있다. 이런 칼부림을 예고한 사람 중 검거된 사람의 대부분이 10대 청소년들이었고 이는 또 다른 사회에 또 다른 충격을 가져다주며 사법 체계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지고 있다. 묻지마 ...
-
-
- '나 좀 살려주세요'라고 외치는 위험한 흔적
- The Psychology Times 2024-01-29
- [The Psychology Times=김나연 ]*해당 기사는 민감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살고 싶어서 자해를 했어요.”언뜻 보면 앞뒤가 맞지 않는 말이다. 그러나 이것이 현실에서 발생하고 있는, 그것도 꽤 높은 수치로 발생하고 있는 일이라면 믿을 수 있겠는가?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2 손상유형 및 원인 통계'에 따르면 10대 청소년의 자해, 자살 시도 비율은 2012년 11.4%에서 2021년 18.2%까지 증가하였다. 자해를 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나쁜 기분을 멈추기 위해서가 44.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
-
-
- ‘면접 필승 전략’, 언제 주목을 끄는게 좋을까?
- The Psychology Times 2023-11-08
- [The Psychology Times=김나연 ][오늘의 이야기]오늘의 이야기는 인상 형성 과정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이야기의 주인공인 A는 예상치 못했던 서류전형에 합격을 하게 되었고, 이틀 후 면접을 보게 된 상황에 놓여있다. 시간의 한계가 있는만큼 주인공은 면접관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남기고 나올 것을 다짐한다. 그렇다면 면접에 합격하기 위해 어떠한 전략을 활용해 면접관에게 인상을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일까? 지나친 경우 외모지상주의로 이어질 수 있어 언급하기 조심스러운 것이 사실이지만, 한 사람이 새로운 사람의 인상을 형성하는 ...
-
-
- 자살, 극단적 선택 아닌 질병이다
- The Psychology Times 2023-12-12
- [The Psychology Times=방주원 ]사람들은 흔히 자살을 '극단적 선택'이라는 단어로 표현한다. 실제 대화를 나누거나 글을 작성할 때, 텔레비전 프로그램 자막이나 뉴스 기사의 헤드라인에도 자살을 '극단적 선택'이라고 바꾸어 말하는 경우가 다수다. 이는 자살을 완곡하게 표현한 것이지만, 사실 자살은 극단적 선택이 아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자살은 '자살행위로 인하여 죽음을 초래하는 경우'로, ‘죽음의 의도와 동기를 인식하면서 자신에게 손상을 입히는 행위’이다. 세계보건기구는 ‘우울증은 치료 가능하고, 자살은 ...
-
-
- 트라우마 이겨내기: 의도적 반추를 활용한 외상후 성장
- The Psychology Times 2023-09-14
- [The Psychology Times=김나연 ]사회를 살아가다 보면 범죄, 질병, 사고와 같이 우리의 삶을 위협하는 일들을 많이 접할 수밖에 없다. 뉴스를 보면 크고 작은 사건 사고들이 매일같이 발생하고 있는 최근이다. 이외에도 우리는 잘 알려져 있는 '대구 지하철 사고', '삼풍 백화점 붕괴 사고', '세월호 사고', '이태원 압사 사고' 등 많은 사고들이 발생하는 사회를 살아가고 있다.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와 외상 후 성장]외상(trauma)은 극도의 충격과 스트레스를 받은 경험을 지칭하는 것으로 '죽음 혹은 심각한 상처를 실 ...
-
-
- 모든 사이코패스는 악마이다?
- The Psychology Times 2023-11-28
- [The Psychology Times=김나연 ]사이코패스를 생각하면 보통 연쇄살인범, 강간범, 테러리스트 등 흉악 범죄를 저지른 악마와 같은이미지를 떠올리곤 한다. 실제 그럴 수밖에 없는 것도 한국 사회에서의 연쇄살인범들의 사이코패스 테스트인 'PCL-R'의 점수가 상당히 높게 나와 사이코패스로 분류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말 모든 사이코패스는 범죄자이고 흉악한 악마인 것일까? 꼭 그렇다고 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앞으로 언급할 이야기를 통해 그렇지 않은 사이코패스도 있다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다. 사이코패스란?사이코패스는 성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