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171-180 5,197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머릿속의 바다에 닻이 걸리다
- The Psychology Times 2024-08-05
- [한국심리학신문=서정원 ] 인간의 합리성에 딴지걸기‘인간은 합리적인 존재이다.’ 여러분은 이 말에 얼마만큼 동의하시나요? 얼핏 들으면 자연스레 고개가 끄덕여지는 말일 것 같습니다. 인간 존재를 설명하는 수많은 말이 이를 대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철학이 처음 꽃피운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합리성, 이성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어주는 최고의 가치처럼 여겨져 왔습니다. 현 인류의 종인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는 ‘지혜가 있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이성, 사고력은 다른 생물 종들과 인간을 확연히 구 ...
-
-
- 빛과 어둠의 경계에서
- The Psychology Times 2024-10-22
- [한국심리학신문=윤서정 ]‘오컬트 영화’의 경계적 특징영화는 근대의 산물처럼 느껴진다. '근대'라는 단어를 단순하게 전근대의 반대 용어로 사용한다면 말이다. 영화의 발명은 기술의 발전을 전제로 한다. 영화가 발명되기 위한 세 가지 조건을 살펴보자면 첫째, 휘어질 수 있는 감광판(필름)이 발명되어야 하고, 둘째, 감광판 자체가 일정한 속도로 이동할 수 있는 새로운 카메라가 발명되어야 하고, 셋째, 찍힌 연속사진들을 통해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도록 이 사진들을 카메라 내부에서 이동시키면서 영사할 수 있는 영사기가 발명되어야 한다. 이렇 ...
-
-
- 차지호 의원, ‘컴퓨터 생명과학’ 분야 거장 데니스 노블 교수와 대담
- 오산인터넷뉴스 2025-03-04
- 【오산인터넷뉴스】더불어민주당 차지호 의원(경기 오산시)이 컴퓨터 생명과학 분야의 거장 데니스 노블(Denis Noble) 옥스퍼드대 명예교수와 대담을 갖고, AX 시대의 생명과학과 정치의 역할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나눴다. 이번 대담은 생명과학의 최신 연구 동향과 AI 기술 발전이 인간 개인과 사회에 미칠 영향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유전체와 시스템 생물학 분야의 AI 융합 ▲정치와 과학의 상호작용 ▲AI 시대 윤리적·사회적 과제 ▲미래사회의 새로운 불평등과 극복 노력 ▲ 미래세대를 위한 AI-바이오 융합 발전의 정책 방 ...
-
-
- 인간의 한계는 어디까지?
- 전남인터넷신문 2021-03-18
- [전남인터넷신문/김동국 기자]제28차 un 기후변화 협약당사국총회 대한민국 유치를 위해 도전의 아이콘 세계최강 맨발의 사나이 조승환이 다시 한번 인간한계 도전을 넘어 초인적인 도전을 한다. 오는 3월 18일 한국해양 극지연구소 도움을 받아 맨발의 사나이 조승환의 ‘빙하의 눈물을 보여주다’ 얼음 위 맨발퍼포먼스를 위해 쇄빙아라온호가 남극 영하40~70도 온도에서 수만 년 된 얼음(빙하)을 배에 싣고 광양항으로 입항한다. 입항된 빙하는 곧바로 한국해양 극지연구소에 특수보관된 다음 제28차 un 기후변화 당사협약국총회 대한민국 유치를 위 ...
-
-
- 페로몬으로 이성을 유혹 할 수 있다고?
- The Psychology Times 2024-07-18
- [한국심리학신문=신연우 ]사람이라면 한 번쯤 길을 지나가다 “어?” 하고 뒤를 돌아볼 때가 있다. 수많은 사람을 만나고 마주치지만 뒤를 돌아본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이러한 순간들은 종종 우리 몸에서 뿜어져 나오는 특정 화학적 신호로 인해 뒤돌아보았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우리 현대 생활의 분주함 속에 인간관계에 조용히 영향을 미치는 힘, 페로몬이다.숨겨진 과학과 진실 페로몬 (Pheromone)은 동물과 인간이 똑같이 방출하는 생화학 물질로, 같은 종의 다른 사람들로부터 반응을 이끌어낸다. 인간의 경우, 이 화합물들은 종종 사회적 행 ...
-
-
- [정세분석] ‘AI 킬러 로봇’ 등장한 우크라전쟁, 전쟁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 와이타임즈 2024-07-04
- [현실로 다가온 AI전쟁, ‘무기 실리콘 밸리’로 변한 우크라]우크라이나 전쟁터에 자율살상 무기인 '인공지능(AI) 킬러 로봇'이 투입되면서 그동안 영화에서만 보던 AI전쟁이 현실화되고 있다. 중요한 것은 AI킬러 로봇이 과연 전쟁 상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가 하는 점이다.뉴욕타임스(NYT)는 2일(현지시간) “러시아의 침공에 맞서고 있는 우크라이나가 공격용 AI 무인기(드론) 등 무기의 '실리콘밸리'(기술혁신의 상징이자 중심부)가 되고 있다”고 보도해 눈길을 끌었다.NYT에 따르면 러시아군의 전력에 밀리는 우크라이나가 ...
-
-
- 삶의 풍요로움을 더하는 인문학적 접근
- The Psychology Times 2024-07-01
- [한국심리학신문=손상훈 ]현대사회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노력을 통해 물질적 풍요를 누리고 하고 싶은 것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인간의 삶에서 이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정신적 만족감과 행복감이다. 이에 심리학계에서는 인문학적 접근이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앤비디아 CEO 젠슨 황은 "코딩 공부? 난 발댈세"라며, 더 이상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울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제 인공지능 기술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해 철학적 사상과 인문학적 요소들을 결합해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 ...
-
-
- 그때가 행복했었는데
- The Psychology Times 2024-11-27
- [한국심리학신문=신지아]예전이 그리워연인과 이별하고 시간이 지나 보고 싶을 때, 힘들었던 대학 시절이 그리울 때가 종종 있을 겁니다. 분명 그 당시에는 연인과 잘 맞지 않아서, 학업과 취업 준비가 너무 힘들었을 텐데 우리는 옛날을 그리워합니다. 그 이유는 바로 기억이 '미화'되기 때문이죠. 이는 다른 말로 '기억 왜곡'이라고도 합니다.사람은 불과 몇 초 전에 발생한 일도 왜곡해 기억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갖고 있던 지식과 기대에 따라 상황을 재구성하기 때문이죠. 학계에서는 이를 '단기 기억 착시 현상'이라는 용어를 붙였습니다.마르 ...
-
-
- 아기는 악인가?
- The Psychology Times 2025-04-07
- [한국심리학신문=김동연 ] 저기 저 악을 쓰며 우는 아기를 보라. 부모의 표정은 가관이다. 어쩔 줄 모른다. 아기 눈치 보랴, 다른 사람 눈치 보랴, 눈칫밥에 배가 불렀다. 그러나 아기는 부모의 속도 모른 채, 여전히 악, 악, 악, 악을 쓴다. 이쯤 되면 우리말만 그렇다지만, ‘악’과 ‘아기’의 어휘적 상관관계를 떠올릴 수밖에 없다. 아기는 악인가?오늘날에도 성선설과 성악설 악을 논하려면 선이 필요하고, 선악을 말하려면 춘추전국시대를 지나칠 수 없다. 그 시대상과 학자는 모르더라도, 성선설과 성악설 정도는 한 번쯤 들어보았을 것이 ...
-
-
- 정작 “얼음!”이 필요했던 사람은
- The Psychology Times 2025-04-17
- [한국심리학신문=김동연 ] * <오징어 게임2>에 대한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은 거대한 심리학 놀이터이다. 인간을 극한으로 몰아넣으면, 인간 본연을 확인할 수 있다는 무시무시한 실험을 성공적으로 끝마쳤다. 실험은 계속되었다. 전작의 후광을 등에 업은 채, 2024년 12월 26일 <오징어 게임2>로 돌아왔다. 게임의 주제는 단순히 ‘살아남으면 돈을 가질 수 있다’이지만, 그 이면에는 ‘타인을 죽여야 자신이 살 수 있다’는 부제가 숨어있다. 이 독한 게임을 멸하기 위해서, 우승 전적이 있는 성기훈(이정재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