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71-280 2,916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외모, 당신에겐 얼마나 중요한가요?
- The Psychology Times 2022-04-27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김지영 ]외모차별, 겪어보셨나요? “여자는 공부 좀 못해도 얼굴 예쁘면 괜찮아.” 최근 필자가 카페에 갔다가 근처에 앉은 어른들의 대화에서 우연히 듣게 된 말이다. 이 말 자체가 충격적이었지만, 한창 꾸미는 데 관심이 많은 필자 또래의 젊은 사람이 아닌 어른들이 한 말이었기에 더욱 충격적으로 다가왔다. 왜 이렇게 우리 사회는 나이에 상관없이 모두가 외모를 중시하는 것일까?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취업준비생의 44%는 구직활동을 하면서 외모 때문에 차별받은 경험이 있다고 한다 ...
-
-
- [5년 전 오늘의 베프] 씨스타 'I Like That'
- 베프리포트 2021-06-21
- ▲ 5년 전 오늘 발매된 씨스타의 'I Like That' / 사진: 앨범 커버 [베프리포트=김주현 기자] 베프리포트가 'N년 전 오늘의 베프' 코너를 연재합니다. N년 전의 명곡을 되돌아보고, 그 명곡을 부른 가수의 근황을 소개합니다. 오늘의 주인공은 2016년 6월 21일 발매된 SISTAR(이하 씨스타)의 'I Like That(아이 라이크 댓)'입니다. ♬ I Like That 씨스타의 네 번째 미니앨범 '沒我愛(몰아애)'의 타이틀곡이다. 소속사 스타쉽엔터테인먼트는 "씨스타는 여느 걸그룹의 성공 패턴을 거부한다. 시작은 귀여 ...
-
-
- 모두를 만족시킬 결말이 있다고 생각해?
- The Psychology Times 2023-04-18
- [The Psychology Times=남지민 ]한창 인기몰이를 했던 ‘응답하라’ 시리즈는 그 안에 ‘여주인공의 배우자 추측하기’와 같은 깨알 디테일이 포함 되어있다. 그중 응답하라1988’에서 ‘어남류(어차피 남주는 류준열)’과 ‘어남택(어차피 남주는 택이)‘가 시청자들 하에서 유행어처럼 퍼져갔다. 그만큼 애청자들은 드라마 내용이 전개되면서 결말의 마무리를 작가가 어떻게 끝맺음을 지을지에 관심을 쏟는다. 자신이 예측한 결말이 나온다면 맞췄다는 성취감을 얻으면서 결말에 대한 아쉬움은 적을 것이다. 반면에 예측이 빗나갔다면 의외의 반 ...
-
-
- 큰 병일까 두려움에 떠는 사람들, 질병 불안 장애
- The Psychology Times 2023-10-13
- [The Psychology Times=장윤정 ]질병 불안 장애란,‘머리가 좀 아픈데 뇌에 문제 생겼나?’ ‘배가 아픈데 장에 심각한 문제가 생긴 것 아닌가?’ ‘다리가 너무 아픈데 뼈에 문제가 생겼나?’몸이 조금만 아파도 큰 병의 초기증상인 것 같다고 생각하며 걱정해 본 경험이 있는가? 필자의 주변 지인 중 조금의 아픔과 통증이 느껴지면 증상을 검색해 보며 깊은 걱정과 불안에 빠지는 사람이 있다. 이 지인을 보며 ‘나도 걱정이 많은 편인데 더욱 심한 것 같다. 무엇 때문에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일까?’라는 궁금증이 생겼다. 몸에 ...
-
-
- ‘나’에 대해 표현하는 습관들이기
- The Psychology Times 2023-07-06
- [The Psychology Times=남지민 ] ‘참을 인 세 번이면 살인을 면한다’라는 말이 있다. 또한 ‘눈에는 눈, 이에는 이’도 대중적인 문장이다. 하지만 이 둘의 의미는 상반된다. 전자는 상대방이 자신에게 화를 부르는 행동을 해도 참고, 참고 끝끝내 3번까지 참을 수 있으면 참으라는 의미를, 후자는 자신이 타인에게 받은 만큼 똑같이 느끼게 해야 함을 표현한 문장으로 보았다. 하나의 행동을 보고 어느 시선을 가졌냐에 따라 조언을 하는 방향이 정반대로 흘러간다. 두 문장의 방향성이 다른데 어떻게 행동해야 ‘적절한 행동’으로 ...
-
-
- 당신은 몸의 신호를 제대로 알아차리고 있나요?
- The Psychology Times 2024-01-05
- [The Psychology Times=현은정 ]우리는 사회에 섞여서 살게 됩니다. 좋든 싫든 다른 사람과 계속 교류를 해야 하죠. 그리고 우리는 사람들과 교류하면서 안정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주변에 자신을 지지해 주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 자체가 도움이 되기도 하죠. 필자도 힘들 때 사람을 찾게 되는 거 같습니다. 특히, 저를 언제나 믿고 응원해 주는 가족들에게 자연스럽게 기대게 되는 거 같습니다.가족들이 항상 도움이 되는 건 아닙니다. 각자의 분야가 다르기 때문에 효과적인 조언을 해주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가족이 제 ...
-
-
- 과거의 일을 바꾸고 싶나요?
- The Psychology Times 2023-08-01
- [The Psychology Times=남지민 ]‘내가 ~~때로 돌아간다면 그때는 절대 그렇게 안 했을 텐데..’, ‘다시 돌아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와 같은 말들을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어렵지않게 들을 수 있다. 사람들은 살면서 되돌릴 수 없는 과거를 많이 회상하고 곱씹는다. 그럴 때마다 과거보다 성숙해진 자신이 당시의 자신에게 ‘왜 그렇게 했어’, ‘왜 그거 밖에 못했어’란 꾸중을 하곤 한다. 바꿀 수 없는 과거, 이러한 과거를 너만 바꿀 수 있는 기회를 준다면 어떤 결정을 내릴 것인가. 이러한 주제를 가지고 이야 ...
-
-
- 어른이 왜 그림책을 읽어요?
- The Psychology Times 2023-05-09
- [The Psychology Times=남지민 ]그림책테라피, 처음 들어봐요우리는 어린 시절 가장 먼저 접하는 책이 ‘그림책’이다. 가족, 친구, 동물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진 그림책에는 내포되는 의미들은 가득하다. 미취학아동 때부터 초등학교 저학년 때 집중적으로 읽는 시기 말고는 우리는 딱히 그림책을 접할 상황도, 동기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면서 더더욱 ‘그림책은 어린아이들만 읽는 책’이란 의미로 굳어간다. 하지만 자존감, 자아, 힐링과 위로 등의 요소들이 화두에 오르면서 그림책에 대한 수용자가 어른들까지 넓어지고 있다. 단순한 ...
-
-
- 임플란트, 치아교정 등 '치아' 고민, 정밀 진단으로 정확한 치료해야
- 뉴스포인트 2021-03-16
- 이가튼튼치과 응암점 김현성 대표 원장100세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건강을 가장 신경 써야 한다. 우리 신체의 곳곳은 노화로 인해 퇴행을 하고 점점 그 기능이 떨어져 가게 되는데, 그 중에서도 재생이 되지 않는 기관이나 조직은 특히 건강 관리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특히 8세 전후로 자라난 이후 노인이 되어서까지 사용해야 하는 '치아' 건강은 더 주의해야 한다.치과치료 가운데 임플란트의 경우 노년층이 가장 많이 하는 치료이지만 최근에는 20~30대의 젊은 연령층에게서도 증가하고 있다. 충치치료를 방치하고 치아 관리 ...
-
-
- 국내 최초로 마음 상태·정신 장애 주제로 한 ‘제1회 매드영화제’ 개최
- The Psychology Times 2021-09-29
- 신경 다양성과 정신 다양성을 주제로 한 ‘제1회 매드영화제’가 10월 8일부터 10일까지 매드영화제 홈페이지 온라인 상영관을 통해 개최된다. 올해 상영 규모는 총 17편(장편 3편, 단편 14편)이며 정신장애 예술단체 ‘안티카’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후원한다. 이번 영화제는 ‘ㅁ ㅁㅇ ㄱㄱㅇㅇ 몸 마음 경계없음’이라는 슬로건 아래 다채롭게 펼쳐질 예정이다. 안티카 심명진 대표는 안티카가 2019년 ‘매드프라이드’, 올해 ‘매드연극제’에 이어 매드영화제를 여는 이유에 대해 “영상을 전공했기 때문에 더더욱 영화가 가진 힘에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