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561-570 3,040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완벽주의와 '나'
- The Psychology Times 2022-07-08
- [The Psychology Times=편지희 ]한국인 2명 중 1명이 완벽주의자라고?연세대학교 상담심리연구실에서 한국인 성인 51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53.62%가 완벽주의 성향을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잡코리아와 출판사 시공사가 남녀 직장인 1,17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에서, ‘직장에서 완벽주의를 추구한다’는 응답자가 무려 전체의 67.2%로 과반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장인 10명 중 7명 가까이가 회사에서 완벽주의를 추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당신은 완벽주의자인가? 그렇다면 ...
-
-
-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
- The Psychology Times 2022-12-24
- [The Psychology Times=백이서 ]지난 12월 3일,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의 감동적인 순간을 기억하는가? 대한민국이 포르투갈을 2:1으로 역전승을 거두며 12년 만에 16강 진출을 했다. 사실 한국 우루과이와의 이전 경기(이번 월드컵 첫 경기)에서 무승부, 그리고 비교적 승리의 가능성이 컸던 가나와 3:2로 패배하면서 16강 진출 여부가 불투명해진 상황이었다. 한국의 16강 진출 여부가 달린 포르투갈전, 이를 앞두고 여러 소셜 미디어의 반응들을 봐도 ‘솔직하게 불가능하다.’, ‘9%의 확률을 어떻게 뚫냐?’라는 ...
-
-
- 오늘은 어떻게 하면 행복해질 수 있을까?
- The Psychology Times 2023-10-06
- [The Psychology Times=정연수 ]긍정적인 경험보다 부정적인 경험을 더 잘 기억하는 우리의 뇌 당신은 행복한가요? 얼마 전 전공 수업 때 교수님께서 우리에게 하신 질문이다. 그 당시 어쩔 수 없이 형식적으로 그렇다고 대답하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나는 그 순간 과연 이 질문에 선뜻 "네"라고 대답할 사람은 몇 명이나 될 것인가? 라는 의문이 들었다. 다시 행복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나에게 진정한 행복이란 무엇일까?우리의 뇌는 긍정적인 경험보다 부정적인 경험을 더 잘 기억하는 '부정적 편향' 특성을 가지고 ...
-
-
- 장기 목표까지 흔들리지 않고 나아가는 방법 1
- The Psychology Times 2024-01-17
- [The Psychology Times=채수민 ] 새해가 밝았다. 이 시기에는 새출발을 위해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한 해를 계획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작심삼일이라는 말이 있듯이 계획을 끝까지 실천하는 것은 쉽지 않다. 마음먹은 것을 3일 동안 지키기도 어려운데 몇 달, 몇 년짜리 계획을 지키기는 더 어려울 것이다. 어떻게 해야 장기적으로 계획한 목표를 이룰 수 있을까? 실현이 가능한 목표 생각하기꼭 이룰 수 있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처음에는 목표를 쉽게 이룰 수 있을 것 같아 보였지만, 나중에 그것은 터무니없는 목표 ...
-
-
- 새해를 시작하기 좋은 방법 세 가지
- The Psychology Times 2023-01-18
- [The Psychology Times=황선미 ]2022년 12월 31일 밤 11시 59분과 2023년 1월 1일 새벽 12시 00분의 사이 시간, 전 세계 사람들이 새해를 맞이하였다. 그들이 속한 문화에 따라 누군가는 종소리를 들었으며 누군가는 기도를 드렸다. 사랑하는 사람과의 키스로 새해를 맞이한 사람도 있을 것이다. 모양새는 다르나 그 시각 우리 모두는 한 해를 보냈고 새해에 입문하는 의식을 치렀다. 밤 11시 59분과 새벽 12시 00분의 사이 시간은 엄밀히 따지고 보면 우리가 매 순간 스쳐 보냈던 60초와 다를 것이 없다. ...
-
-
- 슈드비 콤플렉스: 쉬지 못하는 사람들
- The Psychology Times 2022-02-10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박은지 ]의미 있는 하루를 보내야 한다. 게으름은 죄악이다. 그는 쉬면서도 불안함을 느꼈다. 일정을 짜면서 남는 시간이 있으면 그 시간을 어떻게든 의미 있게 보내기 위해 할 일을 생각했다. 그리고 마침내 빽빽한 스케줄을 보고 만족감을 느꼈다. 계획을 지키지 못하면 게으른 자신을 자책하고, 지켰다면 성공적인 하루를 보낸 것이다. 습관처럼 대외활동 사이트를 뒤적거리고, 끊임없이 할 일을 찾았다. 그러다가 그는 문득 생각했다. ‘나는 지금 뭘 하는 거지? 왜 이걸 하고 있지?’슈드비 ...
-
-
- 내게 악덕 지휘관이 산다면
- The Psychology Times 2023-02-23
- [The Psychology Times=김혜선 ]얼마 전 뉴스에 보도된 모텔 방화 사건을 들어본 적이 있을지 모르겠다. 투숙객의 고의에 의한 화재였는데, 그의 진술에 따르면 사건의 경위는 이러하다. 모텔에서 잠을 청하던 그는 깨어나면서 개운하지 않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한다. 그 불편감에 대해 모텔 주인이 자신의 방에 독가스를 살포한 것이 원인이라 여겨 방에 불을 질렀다는 것이다. 불행 중 다행으로 건물에 불이 번졌으나 건물에 있던 투숙객 중 사상자는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모텔의 주인은 얼굴과 귀 등의 부위에 화상을 입어야 했다. ...
-
-
- 질투는 나의 힘! 내가 나쁜 건가..?
- The Psychology Times 2023-07-23
- [The Psychology Times=유시연 ]사람은 살면서 누구나 ‘질투’라는 감정을 한 번씩은 느껴보기 마련이다. ‘질투’는 타인에 대하여 시기하고 미워하는 마음을 가리킨다. 다른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사회에서, 누군가의 존재를 아예 의식하지 않기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1984년 개봉한 영화 <아마데우스(Amadeus)>를 살펴 보자. 영화의 등장인물이자, 음악가 살리에리(Antonio Salieri)는 자신과 동시대에 활동하며 시대를 풍미한 음악가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로부터 열등감을 느낀다 ...
-
-
- 실패하면 뭐 어때
- The Psychology Times 2023-01-13
- [The Psychology Times=정세연 ]우리는 살면서 수많은 실패를 경험한다. 실패는 우리에게 약이 되기도 하지만 충분히 독이 될 수도 있는 존재이다. 특히 실패만 지속적으로 반복될 경우 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무력감과 공허감을 겪을 수 있다. 여기서 정도가 더욱 심해질 경우 우리는 ‘실패 공포증’에 빠지게 될 수 있다. 실패 공포는 특히 전세계 대학생들에게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뉴욕타임즈에서는 미국의 명문대생들이 작은 실패를 마치 인생 전체의 실패처럼 생각하며 실패에 대한 두려움으로 불안과 우울증에 시달리기도 한다고 ...
-
-
- '무의식' 속에서 우리도 '하트시그널'을 보낼 수 있다고?
- The Psychology Times 2023-06-08
- [The Psychology Times=이예빈 ]삐빅,누군가에게 경동맥을 보인다면!상대방에게 호감이 있다는 신호입니다.이 말 진짜일까?하트시그널에서 패널로 출연한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양재영은 이를 '경동맥 법칙'이라고 설명한다. 이는 무의식적인 행동 심리에서 비롯된 거라고. '경동맥 법칙'은 "호감 가는 이성에게 자신의 가장 연약한 부위를 나타냄으로써 당신을 믿을 만큼 호감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여기서 주목해야하는 점은 '무의식'이라는 것이다. 정말 '무의식'적으로 인간은 호감 표시를 할 수 있을까? 스웨덴의 앤절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