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기간
  • 언론사
    언론사 전체보기
  • 기자명

    기자명

    기자 내 포함 단어

  • 옵션유지
  • 상세검색
    무언가

    기본검색의 결과 범위를 줄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여러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쉼표(,)로 구분해서 입력하세요.

    도움말 초기화

뉴스

721-730 832

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이해연
    당신은 MZ입니까?
    The Psychology Times 2023-07-11
    [The Psychology Times=이해연 ]MZ세대. 이제는 우리에게 그리 낯선 단어가 아니다. 요즘 흔하게 접할 수 있는 ‘MZ세대’라는 말은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를 통칭하는 말이다. 우리나라는 MZ세대 이전에도 베이비부머세대, X세대, M세대, Z세대 등 각 세대에 명칭을 부여했고 분류해왔다. 이렇듯 세대에 명칭이 부여되면 특정 세대의 특징과 특성 같은 새로운 정보도 속속 등장하기 마련이다. 또 이러한 것들이 사회 조직원들 간의 새로운 담화를 생성해 내기도 한다. 그렇다면 우리 사회는 무슨 이유로 세대를 분류하고 정의하며 ...
  • 끌로셰
    교황, “진짜 위험은 전쟁의 이면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것”
    가톨릭프레스 2022-06-21
    ▲ 프란치스코 교황과 예수회 월간지 편집장들의 만남(사진출처=La Civiltà Cattolica)예수회 월간지 편집장들을 만난 프란치스코 교황은 우크라이나 사태, 교회 쇄신 등 여러 주제에 대해 폭넓은 대화를 나눴다. 해당 대화 전문은 지난 14일 예수회 월간지 < La Civiltà Cattolica > 에 게재되었다. 먼저 프란치스코 교황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의도적으로 유발된 것, 혹은 예방하지 못한 것”이라고 말하면서 분쟁이 벌어질 징후가 충분히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번 분쟁은 선과 악을 명확히 가르는 ‘빨간 두건 ...
  • 우가현
    언제쯤 어른이 될 수 있을까?
    The Psychology Times 2023-06-28
    [The Psychology Times=우가현 ] 어른은 언제부터 시작된다고 생각하는가? 20살부터? 혹은 부모로부터 금전적, 공간적 독립을 시작할 때?필자는 특정한 나이부터 어른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자신의 욕구를 바람직한 방법으로 잘 조절하고 충족시킬 수 있는 시점부터 진정한 어른이 된다고 생각한다. 그 시점은 20살이 될 수도, 혹은 40살 이후가 될 수도 있다. (다만 그 이전의 나이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성장하는 시기이므로 어른이라 칭하지 않겠다) 그렇다면 ‘욕구를 잘 조절하는 사람’이란 정확하게 어떤 것을 뜻하는가? 잘 ...
  • 이해연
    아니 이 기사를 누가 읽음ㅋㅋㅋㅋ 안녕하세요 ‘누’입니다.
    The Psychology Times 2023-06-18
    [The Psychology Times=이해연 ]기사의 제목을 읽고 당황해 클릭하기를 망설였다면, 여전히 뒤로 가기를 고민하고 있다면 만류하고 싶다. 요즘 젊은 세대 사이에서는 제목과 같은 언어 놀이 문화가 만연하다. 보통 오프라인보다는 온라인상에서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놀이이다. 일명 ‘주접’이라고 하는데 사전적 의미의 주접이란 ‘옷차림이나 몸치레가 초라하고 너절한 것’을 말한다. 그러나 놀이 문화로 확산된 ‘주접’은 의미가 다르다. 좋아하는 대상을 향해 한껏 과장된 말로 애정을 표현하는 것, 색다르고 기발한 언어유희로 마음을 표 ...
  • 임철환
    피어나라 대한민국, 심수봉, 어머니의 마음 담은 포근한 한가위 콘서트
    전남인터넷신문 2021-09-20
    한가위 대기획 <피어나라 대한민국, 심수봉>’ 방송 캡처[전남인터넷신문/임철환 기자]KBS ‘2021 한가위 대기획 <피어나라 대한민국, 심수봉>’ 심수봉이 영혼을 울리는 목소리로 감동과 전율을 배가시키며 전 국민과 하나된 시간을 가졌다. 그들의 꿈과 사랑을 담아 새로운 희망을 이야기하는 어머니의 마음 같은 한가위 콘서트에 현재까지도 뜨거운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19일(일)에 방송된 KBS ‘2021 한가위 대기획 <피어나라 대한민국, 심수봉>’(연출 이태헌 편은지)은 세대를 관통하고 대한민국이 사랑하는 심수봉의 26년만의 ...
  • 한민
    바보의 문화적 의미
    The Psychology Times 2022-11-23
    [The Psychology Times=한민 ]한국사람들은 똑똑한 사람들입니다. 전세계인을 대상으로 한 IQ조사에서 늘 최상위권에 자리하고 있고,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역시 OECD 1~3위 내에 꼭 들 정도지요.한국사람들이 이렇게 똑똑한 것은 우선 교육열 때문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세계적으로 IQ가 높고 학생들이 공부를 잘 하는 나라들 중에는 아시아 국가들이 많은데(일본, 중국, 홍콩, 싱가포르, 대만 등), 이들 나라들은 유교문화권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유교문화권의 나라들은 입신양명과 같은 사회적 성취를 중시하며 그를 위해 교육 ...
  • Voyager
    7. 거짓되지 말라, 적어도 스스로에게는
    The Psychology Times 2021-12-15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Voyager 기자]"이 드라마의 유일한 단점은 실화라는 것이다"2019년 드라마 <체르노빌> 한국 왓챠를 통해 공개되었을 때 리뷰의 내용이다. 드라마가 수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부문에서 트로피를 들어 올린 <체르노빌>은 1986년 4월 26일 일어난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를 소재로 만들어졌다. 실제 사건 현장에 있는 듯한 극사실주의 연출,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로 전대미문의 위기 속 다양한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았다.드라마에 관심이 별로 없던 나도 베스 ...
  • 김정현B
    나도 예술가가 되려면 우울해야 할까?
    The Psychology Times 2023-08-29
    [The Psychology Times=김정현B ]유명한 예술가는 우울증 환자다?헤밍웨이, 빈센트 반 고흐, 버지니아 울프.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우울증을 앓았던 예술가라는 점이다. 이들 외에도 예술가 중에서 정신질환, 특히 우울증을 겪은 사람들이 많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예술적 생산력과 정신질환의 관계에 많은 관심이 있었고, 심리학자인 ‘프로이트’는 “예술창조는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방식인 본능의 승화”라며 의미 있는 관계로 여겼다. 우울증과 예술이 관계가 있을까?우울증과 예술이 관계가 있을까? 정말 예술을 하려면 정신 ...
  • 백진민
    심꾸미 4기 후기
    The Psychology Times 2022-05-13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백진민 ]시간이 정말 빠르게 지나간 것 같습니다. 심꾸미 4기로 발탁되어 신기하고 또 열의가 가득했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이제 모든 활동을 정리해야 할 때가 왔습니다.제가 처음 심꾸미 4기에 지원할 때 가장 관심 있었던 주제는, 사회적 문제에 담긴 심리학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세상에는 너무나 많은 문제 현상들이 일어나고 있는데, 인간의 심리도 그 중 큰 부분을 차지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심꾸미 활동을 하며 제가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한 책과 논문들을 찾아 읽고, 원고를 작성하 ...
  • 백지혜
    '뭐 먹고 싶어?', 한국인 고유의 특성
    The Psychology Times 2023-11-01
    [The Psychology Times=백지혜 ]우리 자신을 한 번 되돌아보자. 누군가와 함께 음식점에 들어섰을 때, 상대에게 ‘혹시 어떤 거 먹을 거야?’라고 물어본 적이 있는가? 아마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해당 경험이 존재할 것이다. 본인 또한 누군가와 함께 음식점에 들어가거나 무언가를 주문해야 하는 가게에 들어서면 상대에게 꼭 무엇을 원하는지 물어보곤 한다. 그런데, 상대방이 무엇을 원하는지 먼저 물어보는 것이 한국인만의 고유한 특징임을 혹시 알고 있었는가? 필자는 최근 사회심리학자가 출연한 ‘유퀴즈 온 더 블록’이라는 프로그램 ...
71 72 73 74 75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