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71-80 425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국민의힘 “마은혁 헌재 재판관 임명 유감…정치 편향·절차 무시한 인사”
- 서남투데이 2025-04-08
- 국민의힘이 8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단행한 마은혁 헌법재판관 임명에 대해 “정치적 편향성과 절차적 정당성을 모두 결여한 인사”라며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신동욱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공식 논평을 통해 “마 후보자는 과거 ‘인민노련’ 활동 경력을 갖고 있어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의혹이 끊이지 않았고, 반체제 조직 출신이라는 점에서 민주주의 수호 기관인 헌법재판소 재판관으로 부적합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고 밝혔다. ‘인민노동조합총연맹(인민노련)’은 과거 혁명을 지향하며 활동한 급진적 조직으로, 국민의힘은 이를 “헌법기관 구성 ...
-
-
- [Why EDU] 누구를 위한 민주시민 교육인가?
- 와이타임즈 2020-12-16
- 이 글의 목적: 1. 민주시민교육의 특징과 내용 2. 바람직한 자유민주시민교육의 방향 모색II. 민주시민교육의 내용과 특징1. 민주시민교육의 내용 가. 외형적 내용: 헌법 및 기본권, 보편적 복지, 기본소득, 시민주권, 노동, 인권, 역사 바로 알기, 성인지 감수성, 성 평등, 평화통일, 글로벌 시민의식 등의 내용 나. 실제 내용: - 대한민국 자유 민주주의 체제 및 헌법정신 부정- 대한민국 정통성 부정 - 북한 정권 찬양-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비판- 역사 왜곡 및 반일 정서 고취- 5. 18 광주 및 제주 4. 3 정신 강조 및 ...
-
-
- 헤어진 연인을 쉽게 잊지 못하는 이유
- The Psychology Times 2022-12-19
- [The Psychology Times=강도연 ]'회자정리(會者定離)'라는 고사성어에서도 알 수 있듯, 모든 관계는 만남과 더불어 헤어짐이 필연적으로 수반된다. 하지만 이별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언제나 아쉽고 슬픈 법이다. 특히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은 '공감'이 가장 중요한 대중가요에서 '사랑'과 더불어 가장 많이 언급되는 주제이기도 하다. 이별 후 느끼는 슬픔과 상실감을 잘 극복하는 것은 인생을 살아가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일종의 과업과도 같다. 그렇다면 우리가 헤어진 연인을 잊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이고, 어떻게 하면 성숙하게 ...
-
-
- 이익의 기쁨보다 2.5배 더 크게 다가오는 것
- The Psychology Times 2022-01-28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이해림 ]인간의 손실 회피 편향실패한 일에 대한 기억은 떠올리는 것조차 고통이기 때문에 인간에게는 실패를 회피하려는 성향이 있다. 실패만 피하면 최소한 유지는 가능하다는 생각에 한 발짝 더 나아가면 성공일 수도 있지만, 불안한 예감에 도전을 멈추기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손실 회피 편향’이 자주 보이는 곳이 바로 주식 시장이다. 주식은 선형적으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예측이 어렵고, 사회에서 통용되는 합리적인 생각들이 들어맞지 않는다. 손실을 인정하고 싶지 않아 적절한 시기에도 ...
-
-
- <지옥>의 현실판, 온라인 마녀사냥
- The Psychology Times 2021-12-10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재원 ]넷플릭스 <지옥>의 현실 버전 넷플릭스의 <지옥>을 본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이 드라마에서는 갑자기 지옥의 사자들이 나타나 사람들에게 지옥행을 선고하고, 선고된 시간이 되면 고통스럽게 죽임을 당하는 현상이 나타난다.그러나 주목할 점은 이 현상 자체보다는 이 현상을 해석하는 사람들의 모습이다. 사람들은 어떤 사람이 지옥행을 선고받는 이유가 그 사람이 큰 죄를 지었기 때문이라고 믿는다. 그래서 영문도 모른 채 지옥행을 선고받은 사람들을 비난하고, 인터넷에 신상을 공개하고, ...
-
-
- 기억의 과정
- The Psychology Times 2023-04-15
- [The Psychology Times=전예은 ]기억은 우리에게 과거를 꺼내보고 현재를 살아가며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꼭 필요한 능력이다. 그렇다면 당신은 기억이 정확히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기억은 우리의 경험을 그대로 담는가? 혹 때로는 왜곡되진 않는가? 기억을 경험의 복사체라 하기에는 떠오르는 문제들이 있을 것이다. 기억은 그저 우연히 우리 머릿속에 입력되어 가지게 되는 능력인지, 기억은 어떤 과정을 거쳐 우리 머릿속에 들어오게 되는지 알아보자. 더불어, 기억이 때로는 어떤 오류들을 낳는지 알아볼 것이다.기억이란 정보를 저장하 ...
-
-
- 행복을 뇌에 새기는 법
- The Psychology Times 2024-04-05
- [The Psychology Times=김혜령 ]앞선 글에 이어지는 내용입니다.인간의 생각이 부정적인 정보에 치우쳐져 있는 특성은, 과거에는 맹수의 침략이나 적의 공격과 같은 정말로 목숨이 위협받을 수 있는 정보를 파악하게 해주니 무척 유용했습니다. 실제로 우리의 생명을 지켜주었죠. 하지만 현대에 와서 이 부정편향은 우리의 주의력이 생명과 관련이 없는 것들. 예를 들면, 발표에 대한 불안, 미래에 대한 걱정, 스트레스 사건, 자신의 결점과 같은 곳에 치우쳐져 있어 심리적인 고통을 야기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어요. 이 심리적 고통 때문 ...
-
-
- 잉여사고(剩餘思考)를 아십니까?
- The Psychology Times 2021-10-01
- 1. 잉여사고를 아십니까?Photo by Yaoqi on Unsplash인간을 지칭하는 다양한 표현 중 호모 사피엔스라는 말이 있습니다.즉, 생각하는 사람이라는 의미입니다.인간은 생각하는 동물이며, 이는 인간의 가장 큰 차별적 특징이라고 합니다.이와 같은 사유과정은 인간을 즐겁고 행복하게 만들 수도 있으며, 때로는 우울감이나 불안감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됩니다.또한 사람의 성격이나 특성에 따라서 생각의 양이나 생각하는 방법도 크게 다릅니다.보통 생각의 양 자체가 적으며 행동지향적인 사람에게는 '넌 왜 그렇게 생각이 없니?! 생각 좀 ...
-
-
- 사람은 공간을 만들고 공간은 사람을 만든다
- The Psychology Times 2022-03-11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김송하 ]공간에 대한 관심 증가1인 가구의 증가, 코로나19로 인한 원격근무와 원격수업의 활성화 등의 이유로 사람들이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공간에 대한 관심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오늘의 집', '집닥', '자취남' 등의 공간과 관련된 서비스와 콘텐츠가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이 공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해 주고 있는데 이러한 공간에 우리는 어떤 의미를 부여하며, 공간은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공간의 의미와 영향같은 구조를 가진 ...
-
-
- [칼럼] 숫자로 살펴보는 코로나 백신 효능에 대한 데이터
- 더밸류뉴스 2022-09-18
- [윤진기 경남대 명예교수·전 한국중재학회장] COVID-19와 관련한 통계는 초기부터 말이 많았다. 그런데 최근까지 전문가의 의견들도 다양하고 천차만별이어서 꼼꼼하게 살펴보지 않으면 그 진위를 알기가 어렵다. 사실 꼼꼼하게 살펴보더라도 어떤 데이터나 통계가 진실에 가까운지는 알기가 쉽지 않다.최근에 조회수 160만회를 초과하는 “백신 맞고 오미크론 걸린 사람 피검사 해보았더니”라는 동영상이 있어서 살펴보았더니 생각과는 다르게 근거가 되는 논문의 연구방법론에 다소 문제가 있는 듯하여, 이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 동영상에서는 백신을 적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