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81-90 514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MMCA 이건희컬렉션 특별전: 한국미술명작 기획 연재 - 18 김은호(1892-1979)간성
- 여성일보 2021-09-29
- 김은호는 문인화가 윤영기가 설립한 최초의 근대적 미술교육 기관인 서화미술회화과에 들어가 당대 최고의 화가인 조석진, 안중식에게 그림을 배우고, 이후 서과에서도 수학했다.1912년 서화미술회에서 그림을 배우기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아 고종과 순종의 어진화사로 발탁되어 일찍부터 재능을 인정받았으나 현재는 순종어진 초본만 전하고 최근 1935년에 그린 세조어진 초본이 공개된 바 있다. 그는 초상화뿐 아니라 인물, 화조영모, 산수풍경 등 다양한 화제를 잘 그렸다. 1920년에는 창덕궁 벽화사업에 참여하여 대조전의 <백화도>를 그렸다. 일본 ...
-
-
- MMCA 이건희컬렉션 특별전: 한국미술명작 기획 연재 - 17 이도영(1884-1934) 기명절지
- 여성일보 2021-09-23
- 조선시대 말에는 오늘날의 정물화에 해당하는 '기명절지화'가 인기를 끌었다. 기명절지화는 중국의 오래된 청동기와 도자기, 꽃과 과일 등을 그리는 그림을 지칭하는데, 그림 속의 기물들은 부귀, 장수와 같은 길상적인 의미를 상징하고 부유하고 학식 있는 문인의 고상한 분위기를 드러내어 다양한 계층에서 폭 넓게 감상되었다.기명절지화는 20세기 초에 이르러 서양 정물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는데 기명절지화에서 정물화로의 변화를 선도한 화가가 바로 관재 이도영이다.<기명절지>에는 다리가 긴 세탁과 책을 중심으로 꽃, 그릇, 과일 ...
-
-
- MMCA 이건희컬렉션 특별전: 한국미술명작 기획 연재 - 08 장욱진(1918-1990), 마을
- 여성일보 2021-08-27
- 장욱진(1918-1990), 마을, 1951, 종이에 유채, 25x35cm.‹마을›도 ‹나룻배›처럼 한국전쟁 시 고향에 머물면서 제작한 작품으로 캔버스를 구할 수 없어서 종이에 그린 유화 작품이다. 당시 장욱진은 두 명의 아이들과 함께 부산에서 돌아오지 못한 부인을 기다리며 작품을 제작하고 있었다. 전면에 있는 초가집에는 어른 한 명과 아이들이 그려져 있고, 그 뒤편에 좌우대칭으로 있는 초가집에도 누군가를 기다리는 듯한 모습으로 아이와 어른이 묘사되어 있다. 그의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나무, 집, 아이, 마을 풍경, 가축 등이 화폭 ...
-
-
- MMCA 이건희컬렉션 특별전: 한국미술명작 기획 연재 - 11 박수근(1914-1965), 유동
- 여성일보 2021-09-09
- 박수근은 자신이 거주했던 동네의 풍경, 길가에서 노는 아이들의 모습, 시장을 오가는 여인들의 모습, 휴식을 취하는 노인의 모습, 시장과 노점 풍경 등 한국전쟁 후 서울에 자리잡은 서민들의 일상생활을 소재로 그림을 그렸다. 아이를 업고 있는 소녀, 쪼그리고 앉아 놀이를 하는 아이들의 모습은 다른 작품에서 자주 발견되는 소재이다. 하지만 이 작품에서 배경은 농가로 바뀌었고, 대개의 작품에서 인물의 배경으로 등장하는 집들은 소략하게 표현되는 데 반하여 아이들을 둘러싼 집의 모습이 매우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그림 전체에 풍기는 온화한 ...
-
-
- MMCA 이건희컬렉션 특별전: 한국미술명작 기획 연재 - 25 박항섭(1923-1979)가을
- 여성일보 2021-10-19
- 박항섭은 황해도 장연 출생으로 도쿄의 가와바타 미술학교에서 수학하였다. 그는 일본에서 돌아와 모교에서 교편생활을 하였고, 1.4 후퇴 때 부인과 함께 월남했다. 그는 서울에서 <미술가협회전>,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창작미술협회전>, <구상전>등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특히 1950년대 후반 국전에서 수차례 특선을 하여 초기 박항섭의 작품은 구상적인 형태 묘사를 기본으로 하면서도 인체를 길게 변형하는 등의 기법을 써서 환상적인 화면을 구사하였다. 내용적으로는 생명, 설화, 원시, 문학성을 담으면서 초현실주의적인 새로운 경향을 추구 ...
-
-
- MMCA 이건희컬렉션 특별전: 한국미술명작 기획 연재 - 06 이중섭(1916-1956), 흰 소
- 여성일보 2021-08-24
- ‹흰 소› 또한 이중섭이 즐겨 그린 소재이다. 붉은 배경의 황소 머리를 클로즈업한 작품과는 달리, 흰 소는 주로 전신을 드러내고 화면의 한쪽 방향을 향해 걷고 있는 모습을 담았다. ‘흰 색’은 백의민족인 조선인을 암시하는 색이고, ‘소’라는 동물 또한 억압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성실하고 끈기 있게 노동하는 이미지를 담고 있어 조선인의 상징으로 읽힌다. 일제강점기에는 암암리에 금기시되었던 소재였던 만큼, 해방과 전쟁을 거친 후 이중섭은 이 소재를 더욱 당차게 적극적으로 재소환 하였다. 여러 점의 ‹흰 소› 중에서 이 작품은 다소 지친 ...
-
-
- MMCA 이건희컬렉션 특별전: 한국미술명작 기획 연재 - 23 장욱진 부엌과 방
- 여성일보 2021-10-07
- 장욱진이 즐겨 그리는 소재는 나무, 집, 새, 아이, 가축 같은 소박한 자연주의에 근거한다. 동시에 이 소재들을 전개하는 방식은 일상적 내용으로 수렴된다. <부엌과 방>은 장욱진이 덕소 화실 시기(1963-75)에 그린 작품으로, 집을 부엌과 방으로 구획하여 각 장소를 대표하는 사물을 배치시키고 있다. 최소한의 조형 요소만으로 뼈대만 그리고 있는 이 작품은 이 시기의 대표적인 구성 방식을 보여준다. 부엌을 대표하는 물건인 솥과 방에 기거하는 사람의 표현에서 우리는 장욱진의 해학과 풍류를 느끼며 입가에 미소를 머금는다. 글. 박미화 ...
-
-
- MMCA 이건희컬렉션 특별전: 한국미술명작 기획 연재 - 14 변관식(1899-1976) 산수춘경
- 여성일보 2021-09-14
- 변관식은 공업전습소를 졸업한 1916년부터 도화서 화원을 지낸 외조부 조석진에게 조광준, 김창환 등과 그림을 배움과 동시에 서화미술회 연구생으로 그림을 본격적으로 학습하였다. 이때 만난 이상범, 노수현, 이용우와 1923년 3월 결성한 동연사를 중심으로 신구화법의 절충을 시도하였다. 1925년 일본에 유학한 그는 고무로 스이운에게 사사하였고, 신남화를 절충한 작품들은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이상범이나 노수현보다 주목받지 못하였다. 그러자 1930년부터 <조선미술전람회>를 외면하였고, 1937년 금강산 여행을 시작으로 전국의 명산을 주 ...
-
-
- MMCA 이건희컬렉션 특별전: 한국미술명작 기획 연재 - 15 변관식(1899-1976) 무창춘색
- 여성일보 2021-09-17
- 변관식은 이상범 처럼 우리 산천을 스케치하며 자신만의 독특한 표현기법으로 한국적 실경산수화의 전형을 제시했던 대표적인 인물이다. 해방 후 그는 관전을 외면한 덕분에 미술계의 주요 직책을 맡았을 뿐만 아니라 1949년 창설된 <대한민국미술전람회>의 심사위원으로 화단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게 되었다. 이러한 시기에 그는 명승지가 아닌 평범한 농촌 풍경에 도원경의 이미지를 절충하여 한국 산천을 이상향으로 전환하는 작품들을 다수 제작하였다.<무창춘색>은 작가의 사회적 위상이 높았던 1955년 가을, 전라북도 전주의 완산을 여행하며 그린 것 ...
-
-
- MMCA 이건희컬렉션 특별전: 한국미술명작 기획 연재 - 13 나혜석(1896-1948)화령전작약
- 여성일보 2021-09-13
- 나혜석은 한국 근대기 최초로 서양화를 전공했던 여성 화가다여성화가다. 수원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1913년 도쿄 여자미술학교(현재도쿄여자미술학교(현재 조시비여자미술대학)서양화과에 입학했다. 대부분의 당시 여성 유학생들이 '자수와자수과'에 입학하여 자수를 전공한 데 비해, 나혜석은 과감하게 서양화를 선택, 고희동, 김관호 등과 함께 한국에 서양화를 도입한 1세대 화가가 되었다. 그녀는 일본에서 당시 유행했던 여성 운동에 큰 관심을 기울여, 김일엽 등과 함께 [신여자] 등 여성 잡지를 만드는 선구적 활동을 가담했고, [경의경희]를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