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 세상이 한 가지 말을 쓰고 있었다. 물론 낱말도 같았다. 사람들은 동쪽으로 옮아 오다가 시날 지방 한 들판에 이르러 거기 자리를 잡고는 의논하였다. "어서 벽돌을 빚어 불에 단단히 구워내자." 이리하여 사람들은 돌 대신에 벽돌을 쓰고, 흙 대신에 역청을 쓰게 되었다. 또 사람들은 의논하였다. "어서 도시를 세우고 그 가운데 꼭대기가 하늘에 닿게 탑을 쌓아 우리 이름을 날려 사방으로 흩어지지 않도록 하자." 하느님께서 땅에 내려 오시어 사람들이 이렇게 세운 도시와 탑을 보시고 생각하셨다. "사람들이 한 종족이라 말이 같아서 안 되겠구나. 이것은 사람들이 하려는 일의 시작에 지나지 않겠지. 앞으로 하려고만 하면 못할 일이 없겠구나. 당장 땅에 내려가서 사람들이 쓰는 말을 뒤섞어 놓아 서로 알아듣지 못하게 해야겠다." 하느님께서는 사람들을 거기에서 온 땅으로 흩으셨다. 그리하여 사람들은 도시를 세우던 일을 그만두었다. 하느님께서 온 세상의 말을 거기에서 뒤섞어 놓아 사람들을 흩으셨다고 해서 그 도시의 이름을 ‘바벨’이라고 불렀다.
창세기(11장)의 바벨탑 이야기다. 저자는 언어의 기원에 대해 말하고 싶었다. 이스라엘인들은 '바빌론 유배(기원전 587~538)' 상황에서 ‘바벨탑’ 이야기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그들은 키루스의 칙령으로 해방되어 고국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고국에 귀환한 이스라엘인은 예루살렘에 성전을 재건하고, 모세의 율법을 엄격하게 지켜나가기로 다짐한다. 페르시아 제국 아래서 하느님을 경배하는 민족적인 종교로 형성된 것이 유대교이며, 그때부터 그들은 '유대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바벨’은 히브리어로 '혼돈'이란 뜻이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