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의 DID 서비스 개념도 (사진=SK텔레콤)

SK텔레콤이 국내 최초로 블록체인 기술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융합한 DID(Decetralized Identifier: 분산신원확인) 서비스를 시작하며 본격적인 사물 DID 시대를 열었다.

SK텔레콤은 자사 블록체인 모바일 전자증명 서비스인 '이니셜' 기술을 IoT에 적용해 건축물의 고유식별자를 확인하고 위험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수행하는 사물 DID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7일 밝혔다.

DID는 온라인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신원증명을 관리하는 전자신분증 시스템을 일컫는다. 그동안 개인의 신원증명을 위해 이용됐는데 이번에 국내 최초로 사물의 식별자 확인에도 이용 가능하게 됐다.

SK텔레콤은 시티랩스, 씽크제너레이터, 지노시스, 방재시험연구원의 '시티랩스 컨소시엄'의 블록체인 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사업에 자사의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전자증명 서비스 이니셜을 지원한다.

SK텔레콤은 시티랩스 컨소시엄에 이니셜의 DID 기술 지원을 통해 건축물의 DID 구현과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한 노후 건축물의 기울기와 크랙 모니터링을 담당한다.

기존 노후 건축물 안전진단 수행 시 불특정 안전진단업체가 현장에서 직접 측정하고 보고서를 작성해 데이터 분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됐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신뢰도에 대한 문제가 제기돼 왔다.

하지만 이니셜 DID 기술은 다양한 IoT 디바이스에 사물 DID를 부여할 수 있어 블록체인을 통한 데이터 수집과 전송 시 위·변조 위험성이 없고 진단 데이터 확인이 쉽다.

이니셜은 블록체인 기반 DID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가 본인의 단말에 다양한 증명서를 발급, 저장, 제출하는 서비스로 위·변조와 진위 검증 등에 높은 보안성을 갖췄다.

오세현 SK텔레콤 인증CO장은 "이니셜을 통해 국내 최초로 사물 DID 시대를 열게 돼 매우 고무적이다"며 "노후 건축물 안전진단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은 국민의 안전한 삶에 기여하는 ESG 경영의 좋은 사례이며 앞으로도 이니셜의 DID 기술을 다양한 산업군과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