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서울시 1인 가구는 전체 가구의 33.3%로, 가구형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청년 1인 가구가 41.2%로 가장 많았다. 노인 1인 가구는 22.6%, 중장년 1인 가구는 16.2%다.

2020년 서울시민 가구별 비율 (자료=서울시)

혼자 살면서 가장 힘든 점으로는 ‘몸이 아프거나 위급할 때 대처의 어려움’을 32.5%로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는 ‘외로움’ 23.3%, ‘경제적 불안감’ 20.3% 순이다.

서울시는 1인 가구를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전담조직인 `1인 가구 특별대책TF`를 19일부터 가동 중이다.

시는 이번 조사결과에 대해 TF가 출범하며 꼽은 1인 가구의 ▲안전 ▲질병 ▲빈곤 ▲외로움 ▲주거 5대 고통을 실제 1인 가구가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시는 TF 형태로 운영을 시작하고, 규칙개정을 거쳐 다음 달 시장 직속의 정규조직을 출범한다. 130만 가구에 이르는 1인 가구 지원의 실행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한편, 시는 1인 가구 현황을 포함한 `2020년 서울시 복지실태조사`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서울시민의 생활실태와 복지 이용현황, 복지수요, 복지인식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조사다. 조사는 작년 11월부터 두 달 간 서울시내 4000여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서울시에서는 1인 가구 비중이 33.3%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 33.3%, 2인 가구 25.8%, 3인 가구 20.6%, 4인 가구 19.2% 순이다.

2020년 서울시민 연평균 가구소득 및 가처분소득 (자료=서울시)

연평균 가구 총소득은 5082만원으로 2018년에 비해 소폭 증가했다. 연평균 가구 총소득은 5082만원(중위소득 4440만원), 가처분소득 4587만원(중위소득 3950만원), 자산 평균액은 5억 1351만원이었다.

한편, 서울시 가구 중 44.2%가 부채를 보유했으며 평균액은 9978만원으로 조사됐다. 서울시 전체가구 평균부채액은 4408만원이다.

부채를 갖게 된 1순위 이유는 전월세 보증금 마련 43.2%, 거주용 주택구입 38.7%, 투자목적 5.0% 순이다.

부채 발생 사유가 30~40대 가구는 주택 전월세 보증금 마련이 58.7%, 50~60대와 70대 이상 가구는 주택구입비용이 각각 53.8%, 48.6%로 가장 높았다.

서울시 주택소유자의 평균 주거비용은 7억 5857만원, 전세는 평균 3억 1929만원이다. 주택점유형태는 자가 소유 비율이 42.4%, 전세 37.0%, 보증금이 있는 월세 18.8%, 보증금이 없는 월세 0.9%로 2018년에 비해 자가 소유와 월세는 증가한 반면에, 전세 비중을 줄어들었다.

19~34세 청년 가구주 가구 비율은 19.0%, 월평균 소득 271만원, 주거 점유형태는 보증금이 있는 월세가 51.8%로 가장 높았다.

20대 가구주 가구 비율은 12.0%, 30대 가구주 가구는 7.0%였다. 20대 가구주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224만원이며, 30대 가구주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351만원이다.

청년 가구주의 소득 중 근로소득은 91.8%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가족으로부터 받는 사적이전소득이 20대 8.8%, 30대 0.2%로 20대 청년의 가족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반대로 노인 가구주 가구의 비율은 18.0%, 빈곤율은 15.2%로 전체 가구 빈곤율 4.2%보다 높게 나타났다. 노인 가구주 가구 월평균 소득액은 286만원, 월소득구성은 근로소득 37.5%, 공적이전소득 21.4%, 사업소득 20.2% 등으로, 다른 세대에 비해 공적이전소득 비율이 높은 편이었다.

서울시는 이번 조사의 대상별 생활실태와 분야별 복지이용 현황을 상세히 분석해 5월 중 `2020 서울시 복지실태조사 기초분석 보고서`를 공개할 예정이다.

이번 조사결과에 대한 원자료 및 기초분석보고서는 국가통계포털과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에 공개된다. 정책개발 및 학술연구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김선순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2년마다 이뤄지는 서울시 복지실태조사는 경제활동, 소득 및 자산수준, 주거실태 등 서울시민의 생활실태와 1인가구, 저소득가구, 아동·영유아가구, 노인가구, 청년가구 등 분야별 복지이용 현황 등을 들여다보기 위한 조사”라며 “1인가구 정책 등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해 서울시민의 삶의 질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