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톨릭교회의 사제들은 정기적으로 인사발령이 있습니다. 한곳에 머물지 않고 임지에서 3년에서 5년 정도 일을 하면 인사이동을 합니다. 도시에서 시골로 시골에서 도시로, 때로는 대학, 병원, 사회복지시설 등 사제를 필요로 하는 곳에, 세상에 속해 있는 일이지만, 교회의 일을 하려 직무와 책임을 맡게 됩니다. 인사발령은 지역의 책임자인 주교와 총대리, 그리고 참사들의 의견이 더해져 내려옵니다. 신부들은 인사발령지를 받아들면 그저 짐을 꾸려 다시 자신의 소임지로 떠납니다. 신학교를 다닐 때에는 식탁의 자리, 성당의 자리, 어느 자리도 영원하지 않았습니다. 주마다 월마다 식탁 자리와 성당 자리가 바뀌었습니다. 방도 학기마다 옮겨 다녀야 했습니다. 그래서 어디든 자리에 집착하지 않는 연습을 양성과정에서부터 자연스레 하게 되었습니다.
사제서품을 받고 저도 여기저기 많이 옮겨 다녔습니다. 답동성당의 보좌신부로, 유학사제로, 교구청 신부로, 소래포구, 서창동, 용유동, 송림동에 이르기까지 이리저리 돌아다녔습니다. 저는 그동안 제가 부임한 본당에 사제관(사제생활관)이 되어 있는 곳은 한 번도 가보질 못했습니다. 유학생활 하는 내내 해마다 상황에 따라 기숙사를 옮겨 다녀야 했습니다. 월세 사는 사람들의 마음을 알았습니다. 교구청에 갔을 때는 박문초등학교 교실 한 칸을 막아둔 방에서 생활했습니다. 소래포구에 갔는데 성당도 없거니와 신자 집에 전세보증금 7천만 원에 들어가 6개월을 살았습니다. 첫 주임에 소래포구에 가서 성당을 신축하고 사제관 1년 살자마자 다시 강화도 갑곶으로 갔습니다. 시공사 대기업 건축회사가 부도가 나서 공사가 마무리되지도 않았고, 사제관은 침실도 침대도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한 달을 준비해서 들어가 살 수 있었습니다. 서창동에서는 빌라에서 살다가 10년 동안 지하에 있던 성당을 2층으로 올려놓고 사제관 2주 살고 안식년을 가게 되었습니다. 안식년을 하던 한 해는 강원도 시골 컨테이너 창고 한 칸에 짐을 두고 살았습니다. 용유도에 들어가서는 시골 농가 신자 집에 잠시 머물러 살았습니다. 여기도 사제관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성당 옆 교육관을 칸막이해서 사제관으로 개조해, 만 4년을 살았습니다. 그리고 지금 여기 송림동성당은 도착하니 한겨울에 보일러 바닥이 온통 깨져 수리하는데 한 달 걸렸습니다.
집이란 곳은 사람들에게는 너나 할 것 없이 소중한 공간이고 삶에 지친 몸과 마음을 쉴 수 있는 공간이기에 사람들은 집에 대해 많이 집착합니다. 최근에 부동산 과열문제나 영혼까지 탈탈 끌어서 집을 사려 하는 청년들을 바라보며 그 마음을 이해할만 합니다. 그런데 집의 필요나 요구와는 상관없이 집이 투기의 대상이 되고, 자산을 축적하는 방법이 되어버려 정말 필요한 사람에게는 집이 없고 여러 채의 집을 보유한 사람에게 얹혀살아야 하는 사람들이 꽤 많습니다. 내가 머무는 곳, 몸과 마음을 두는 곳이 의미가 있고, 의미가 있게 해야 나의 삶은 향기로워지고 윤기가 날 텐데, 어느새 우리는 아파트의 메이커와 전철역과의 거리, 아파트 가격, 편의시설의 유무에 따라 살 곳을 결정하는 종속된 집살이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국가경제가 잘못된 부동산투기열로 걷잡을 수 없는 혼란이 계속, 오래,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