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인터넷신문]21세기 농업은 괭이보다 센서, 감보다 데이터의 시대에 접어들었다. 논밭을 날아다니는 드론은 토양의 수분 상태와 작물의 생육 정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인공지능(AI)은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병해충 발생 가능성과 최적의 수확 시기를 예측한다. 이러한 흐름은 전통적으로 농민의 오랜 경험과 감각에 의존해왔던 농업을 예측 가능하고 과학적인 산업으로 전환시키고 있으며, 전라남도 농업 역시 이 변화의 기로에서 생존과 도약이라는 이중 과제를 마주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스마트농업의 선두주자로 꼽히는 나라는 네덜란드다. 이 나라는 협소한 국토와 불리한 기후 조건이라는 한계를 오히려 기술혁신의 자극제로 삼았다. 자동화 온실, AI 기반 생산관리 시스템, 로봇 수확 기술 등 첨단 기술을 조기에 도입함으로써 세계적인 농산물 수출국으로 부상했다. 그러나 이들의 성공 요인은 단순히 기술의 도입에 있지 않다. 생태환경, 인간의 노동, 기술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시스템의 구축’이 핵심이었다. 전라남도 역시 이 사례에서 영감을 얻되, 단순 모방이 아닌 지역 특성과 자산을 바탕으로 한 독창적 모델을 정립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