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무기 통제 국제체제인 핵확산금지조약(NPT)이 핵무기 보유국으로 공식 인정하는 나라는 5개국이다. 1968년 제정된 NPT 헌장 9조3항은 '1967년 1월1일 이전에 핵무기 또는 기타의 핵폭발장치를 제조하고 폭발한 국가'를 핵무기 보유국으로 규정한다. 세계 최초 미국(1945년)에 이어 소련(1949년), 영국(1952년), 프랑스(1960년), 중국(1964년)이 차례로 핵실험을 해 여기에 해당하는 국가다.

1970년 NPT가 발효된 후 최초로 핵실험을 한 나라가 인도(1974년)다. 인도는 NPT 체제 합류를 거부해오다 핵 개발을 했다. 인도가 이웃한 파키스탄과의 갈등 때문에 핵무기를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경 문제를 둘러싼 중국과의 갈등도 상당 부분 고려됐다는 분석이 일반적이다. 이후 인도는 국제사회의 제재로 핵 활동을 자제해오다 파키스탄이 핵무장을 추진하자 1998년 2차 핵실험에 성공했다. 비밀리에 핵 개발을 하던 파키스탄도 같은 해 두차례 핵실험을 했다. 이후에도 양국은 핵억지력을 강화하기 위한 군비경쟁을 계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