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청년기본법 이후, 청년의 자리’를 주제로 '2020 청년정책 협력포럼'을 11월 7일 토요일부터 8일 일요일 14시~18시까지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코로나19로 발생한 청년 고용 충격 등 급변하는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에 조응하고 청년기본법 시행에 따른 새로운 정책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일시적 상황 타개를 넘어 청년의 오늘을 진단하고 지역사회 미래 가능성에 역점을 둔 지방정부 청년정책의 다음 좌표와 과제를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포럼은 총 4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어 운영된다. ▲메인세션: 청년기본법 이후, 변화된 청년문제 상황 진단 및 전망 모색 ▲세션1(지방정부협력): 지방정부 청년정책 성과와 사회적 의미, 향후 과제 ▲세션2(중앙-지방협력):청년기본법 시행 이후 중앙-지방정부 청년정책 협력 방안 ▲세션3(불평등-격차해소): 한국사회 청년불평등 순서로 진행된다.
메인세션은 2020년 코로나19, 청년기본법 시행 등 급변하는 사회경제,정책 환경 속에 달라진 청년의 현실을 진단한다. 이어서 이채은 청년유니온 위원장, 최미랑 경향신문기자, 이길보라 예술가, 조기현 작가가 노동, 소득, 경험, 권리에 대한 강연을 진행하고 대담을 펼친다. 시대 변화에 따른 지금 청년의 현실을 조명하고, 청년정책의 다음 좌표를 모색하는 통찰의 장이 예상된다.
세션1은 전국 청년들이 지방정부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1부 사례 발표에서는 서울, 부산, 대구, 강원, 전북에서 진행되는 주거, 농어촌, 참여기구, 지역 네트워크, 마음건강 청년정책이 소개된다. 2부에서는 지방정부 청년정책 성과와 사회적 의미를 짚고 향후 발전과제에 대한 발표가 이어지며, 전국에서 온라인으로 접속한 청년들과 쌍방향 토론을 펼친다.
세션2는 중앙과 지방의 청년정책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채워진다. 청년기본법 시행 이후 청년정책이 청년의 삶에 더 '촘촘하고, 가까이' 가닿기 위한 방안 마련을 위해 ‘청년정책 전달체계’를 주제로 쟁점 토론을 진행한다. 정책 전문가와 현장에서 정책을 실행하는 청년센터 대표,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청년정책 공무원들이 함께 머리를 맞대 청년정책 전달체계 구축에 대한 토론을 이어간다.
세션3은 한국 사회 청년 불평등에 대해 이야기를 펼치는 시간이다. 이 세션에는 지난 1월 서울시에서 구성한 ‘청년 불평등 완화 범사회적 대화기구’ 구성원들이 모인다. 김종진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의 진행으로 이야기가 시작되며 신광영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조기현 작가, 이정은 금천구청소년의회 인권을 찾았당 대표가 ‘지금 청년 불평등을 말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범세대적 토크쇼를 벌인다. 이어서 공정·격차 해소, 사회·정치참여, 분배·소득 재구성에 대한 세부 논의 후 불평등 완화를 위한 사회적 약속문을 낭독한다.
포럼은 코로나 시기임을 감안하여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되며, 서울시 청년청 유튜브 ‘서울청년생활’을 통해 생생하게 참가자들과 소통할 수 있다. 참여를 원하는 시민은 신청 링크로 신청하면 사전 안내받을 수 있으며, 누구나 실시간 관람할 수 있다.
김영경 서울시 청년청장은 “2020년 코로나19라는 전례 없는 위기와 청년기본법 시행이라는 기회가 동시에 주어졌다”며 “이번 포럼을 통해 달라진 일상을 살아가는 청년의 아픈 현실을 놓치지 않고, 문제를 풀기 위한 새로운 상상력과 다른 차원의 협력을 모색하여 희망의 근거를 찾아가겠다”고 밝혔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