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김경미 ]

육아를 하면서 노력하는 부분이 있다면 실수한 것에 대해서는 관대하려는 것이다. 아이들은 성장하기 위해 무한한 실수와 실패를 반복한다. 그때 엄마의 역할이 참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아이들은 하나를 배우기 위해 수많은 실수들을 반복한다. 스스로 물을 따르려고 하다가 엎기도 하고 엄마가 요리하는 걸 도와주겠다고 덤벼들어 엄마로 하여금 더 많은 일을 하게 하기도 한다. 그럴 때 나만의 원칙은 되도록 기회를 주는 것이며 혼내지 않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아이 안에 잘못된 의도는 하나도 없다. 내 힘으로 스스로 해보고 싶은 모험심과 도전정신이 있는 것이고 건강한 호기심이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직은 서투를 수밖에 없고 서투름에서 나온 모든 실수는 충분히 허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기어 다니던 아이들이 걷기를 배워 갈 때 일어서고 넘어지고, 한 발을 띠고 넘어지고를 반복하는데 그 횟수가 약 8000번에 이른다고 한다. 그렇게 수많은 실수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무수한 시도를 반복하는 동력은 바로 엄마의 감격과 칭찬 때문이라고 한다. 그 많은 실수들을 수용하고 격려하는 엄마의 모습은 아이들로 하여금 실수 앞에 용감하고 당당하게 커가게 하는 힘이 되어 주는 것이다.

우리 집 아이들도 많이 성장했지만 크고 작은 실수들은 계속된다. 더운 여름날이었다. 막내가 물을 먹으려고 정수기로 가 버튼을 눌렀는데 물이 나오지 않았다. 이렇게 저렇게 해도 물이 나오지 않자 엄마를 부른다. 조금 후 큰아이도 “화장실도 물이 나오지 않아요.”하는 것이다. 갑자기 물이 나오지 않으니 당황스러웠다. 지켜보자 말하고 방에 모여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그런데 한 시간 정도 지나 거실에 나간 큰 딸이 비명을 지른다. “아악! 이게 뭐야?”소리가 예사롭지가 않아 바로 뛰어나갔다. 나가보니 거실이 물바다이다. 주변을 둘러보니 정수기에서 물이 흐르고 있었다. 아마도 정수기의 버튼을 누르고 물이 나오지 않자 버튼을 누른 상태로 그냥 두었던 것 같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수도가 다시 나오기 시작하면서 직수 정수기의 물도 계속 나오고 있었던 것 같다. 정지 버튼을 누른 뒤 순간 “누가 그런 거야?”라고 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