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sychology Times=이소연 ]
微妙하다.
미묘하다. 작을 미(微)에 묘할 묘(妙)라는 한자 단어를 사용해서 만들어진 단어로 ‘뚜렷하지 않고 야릇하고 묘하다.’라는 단어입니다. 뚜렷하지 않지만 은은하게, 이 단어는 우리의 생활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한국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이 무급 가사노동에 제한되었던 과거와는 달리, 현대에는 여성이 대학 진학률 및 경제활동 참가율이 높아지면서 노동 시장에서 여성 근로자의 규모와 역할이 눈에 띄게 성장했습니다. 하지만 노동 시장에서 여성의 역할과 비중이 증가했지만, 한국 여성은 여전히 전통적 성 역할에 따른 성별화된 직군이나 남성 중심적 조직 문화로 좌절, 차별, 갈등 등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같은 일을 해도 연령이 높아질수록 시간당 임금의 격차가 커지고, 여성을 상대적으로 중요도나 책임이 덜한 직무에 배치되고, 경력 개발 및 승진이 가능한 직종 혹은 직위 배치에 제한받고 있습니다. 또 가정과 직장에서의 다중 역할에 대한 압박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을 성차별이라고 합니다. 성차별이란 생물학적 성과 사회학적 성에 기초하여 이뤄지는 모든 형태의 배제, 제한을 의미합니다. 성차별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곳이 바로 일과 관련된 것인데, 일의 심리학 이론(PWT)에서는 일이란 생존, 사회적 연결, 자기실현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수단으로, 개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중요하게 기여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일하는 여성들이 겪은 미묘한 성차별이 일과의 관계에 대해서 궁금해하였고, 현재에도 둘의 관계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