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심리학신문=서정원 ]
지난 6개월간 달려온 심꾸미 기자 활동의 여정이 끝났습니다. 한 달에 2건씩 기사를 작성하는 것은 적으면 적다고도, 많으면 많다고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평소 글을 읽는 것을 좋아하는 저에게는 12건의 기사 정도는 후루룩 훑으면 금방 정독할 수 있는 것이었습니다. 때문에 쓰는 것도 비스무리 하겠지 싶은 마음에 부담 없이 심꾸미 활동을 지원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쓰는 사람의 입장이 되어보니, 소재가 각각 다른 12건의 기사는 엄청난 과제였습니다. 저에게 심꾸미 기사를 쓰는 시간은 한 달에 2번씩, 혼자만의 싸움을 하는 시간이었습니다 한 건 한 건 쓸 때마다 고군분투를 하는 시간이 길었기 때문에 12건이라는 횟수가 전혀 적게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기사를 써보기 전에는, 원고를 쓸 때마다 자료 조사를 한 것을 바탕으로 개요를 꼼꼼하게 짜고, 서론-본론-결론 구성에 맞추어 정석적인 글을 쓰려는 생각이었습니다. 심꾸미 9기 지원서를 작성할 때부터 이미 12개가 넘는 기사 소재와 가이드라인을 작성해놓을 정도로 척척 준비가 진행되었습니다. 하지만 막상 실제로 제출해야 하는 마감기한이 잡힌 원고 작성을 시작하니, 제 계획대로는 잘 흘러가지 않았습니다. 애초에 자료 조사를 시작하기 전에 주제를 명확하게 잡는 것부터가 난관이었습니다. 두루뭉술하게 알고 있는 것을 바탕으로 먼저 소재를 선정해놓으니, ‘이 소재를 통해서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무엇이었는지’를 결정하는 것이 많은 시간을 잡아먹었습니다. 글을 통해 무얼 전달하고 싶은지가 정해지지 않으니, 글을 어떻게 펼쳐나갈지 윤곽을 잡는 것이 어려웠습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 해주세요.